•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NodeLink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음성과 데이터가 집적된 패킷통신망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A Simulator for Integrated Voice/Dat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s)

  • 박순;은종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8-121
    • /
    • 1986
  • 音聲과 데이터가 集積된 패킷 通信網의 性能을 豫測하고 시스템 파라메터를 最適化하기 위한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관하여 記述하였다. 具現된 시뮬레이터는 CCITT의 勸告事項에 따라 運用되는 데이터 터미널이나 host는 물론 패킷 音聲터미널도 연결가능한 音聲 및 데이터集積通信網의 性能을 여러 상황에서 豫測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技法으로는 지금까지 알려진 세가지 discrete event 시뮬레이션 技法 중 process interaction 方法이 사용되었는데 이 方法을 사용하면 실제 시스템과 가장 비슷한 시뮬레이터를 具現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는 약 4,000line의 GPSS 시뮬레이션 언어와 PL/I으로 具現되었다. 시뮬레이터의 컴퓨터 run time을 줄이기 위하여 GPSS의 LINK block을 사용함으로써 條件的 event의 數를 줄이는 方法을 사용하였다. 구현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7-node 通信網의 性能을 豫測하였다. 또 개발된 시뮬레이터의 妥當性을 檢證하기 위하여 간단한 音聲과 데이터 multiplexer를 시뮬레이션 모델로 구성한 뒤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解釋的 방법에 依한 결과와 比較하였다.

  • PDF

수치표고모델 정보를 활용한 도로 종단경사 산출 연구 (Research on Longitudinal Slope Estimation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한여희;정영훈;천의범;김영찬;박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4-99
    • /
    • 2021
  •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오르막길 정보를 포함한 경로 안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동모터에 따라 등판 각도가 다르므로 임계치 기준별 오르막길 정보구축이 필요하다. 도로의 선형정보는 주행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전자지도에 종단 경사도에 대한 정보는 부재하다.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하여 구축 중인 정밀도로지도는 기존 국가표준 노드링크와는 달리 고도정보를 추가 생성하였으나 일부 구간에만 고도정보가 있고 도로의 종단경사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의 종단 경사도를 산출하는 방안으로 국내 수치표고모델의 고도정보를 도로의 링크 정보와 매칭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표준링크를 기준으로 4m 단위의 고도를 생성한 후 단위 거리당 개별 경사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도로 링크 별로 대표 경사도를 부여한 후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운행할 수 없는 도로와 폭설시 노면이 미끄러워 운행할 수 없는 도로를 선정하였다. 또한, 도로 기반정보로 활용하는 수치표고모델의 한계점과 이슈를 설명하여 실제 활용 시 주의할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향후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에 부재했던 도로의 종단 경사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융합 분석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UWB 기반 Distributed MAC 시스템을 위한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SoQ-based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tocol for UWB-based Distributed MAC/WUSB Systems)

  • 허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45-35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UWB 기술 기반 WiMedia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D-MAC) 무선 USB 표준 프로토콜에 적용할 수 있는 Satisfaction of QoS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UWB 링크 전송 속도와 QoS 척도에 따른 릴레이 노드 선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은 분산적인 D-MAC 무선 USB 표준 기술과 호환성을 갖고, 각 디바이스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SoQ 기반 Relay Node Selection (RNS) 기준에 따라 실행된다.

일반가로망에서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n-path 알고리듬의 개발 (Development of a n-path algorithm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in general road network)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5-146
    • /
    • 2004
  • 교통정보에 의한 교통량분산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좌회전금지, U-turn, P-turn과 같은 교차로내 회전제약이 존재하는 일반 가로망에서 적정수의 경로를 도출하여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k-path 알고리듬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도출된 경로들간에 중복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차로내 회전제약들을 고려하면서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n개의 최단경로탐색(n-path)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여기서 n-path 알고리듬은 기존 k-path 알고리듬과는 차이가 있는데, k-path 알고리듬은 기종점간 통행비용을 기초로 첫 번째 최단경로외 2번째 최단경로, 3번째 최단경로,....식으로 k개의 최단경로를 찾는 데 비해, n-path 알고리듬은 각 경로간 일정수준 이상의 경로중첩(path overlap)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n개의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탐색된 경로를 중심으로 통행비용과 경로중복수준을 판단하여 이후 경로들을 탐색하게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n-path 알고리듬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교차로상 회전제약을 반영하기 위하여 가로망을 확장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개발된 알고리듬을 몇 개의 예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UDY ON DESIGN AND APPLICATION FOR TRAFFIC THEMATIC MAP LEVEL 1 DATA

  • Kim, Soo-Ho;Ahn, Ki-Seok;Kim, Moon-Gi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62-265
    • /
    • 2008
  • We design level 1 traffic thematic map for common data structure. Level 1 means the road that can passing cars. If public office and private company use this form, they can save amount of money from overlapping update. And widely use of traffic analysis, navig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system. For design common data structure we compared several data structure(traffic thematic map, ITS standard node/link, Car navigation map), and generalization these characteristic data. After generalization we considered about application parts. It can use of public part(traffic analysis, road management, accident management) and private part(car navigation, map product, marketing by variable analysis) etc.

  • PDF

FM DARC용 교통정보 변환알고리즘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raffic Data Converting Algorithm for FM DARC)

  • 이봉규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9-48
    • /
    • 2000
  • 본 연구는 FM DARC(DAta Radio Channel) 부가방송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교통정보 변환알고리즘 개발을 목표로 한다. FM DARC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종 검지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하나의 표준화된 교통정보, 즉 정보의 양과 질 그리고 포맷이 같은 정보로 가공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GIS 노드-링크 체계에 기반을 둔 교통정보 변환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FM DARC 교통정보시스템을 구현하여 보았다. 본 논문은 FM DARC에 관하여 간략하게 서술한 후 GIS DB와 교통정보 변환알고리즘 그리고 구현된 시스템에 내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PDF

비트-맵 기반의 혼합형 고속 IP 검색 기법 (Bit-Map Based Hybrid Fast IP Lookup Technique)

  • 오승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4-254
    • /
    • 2006
  • 본 논문은 고속 IP 검색을 위해 거대한 포워딩 테이블을 인덱싱하는 트라이(trie)를 캐시에 저장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압축하는 복합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복합적 기법은 bit-map과 controlled-prefix 기법을 복합한 것으로 저속의 주 메모리 검색을 약간의 계산을 포함한 고속 메모리 검색으로 대체한다. bit-map 트라이 압축 기법은 트라이의 인덱스와 자식 포인터를 각각 하나의 비트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한 노드가 n bit 대표할 때 bit-map은 노드에서 연결된 $2^n$개의 인덱스와 자식 링크를 $2^{n-1}$ bit로 표시함으로써 높은 메모리 압축효과를 제공한다. controlled-prefix 기법은 주어진 트라이 계층 개수에 대해 각 계층의 깊이(stride) 즉, 트라이의 각 계층의 최상위 노드가 대표할 비트의 개수를 결정한다. 이때 controlled-prefix 기법은 주어진 트라이 계층 개수에 대해 최소의 트라이 크기를 구하기 위해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트라이 계층 개수에 따라 최적의 메모리 크기와 검색속도를 제시함으로써 시스템의 메모리 크기와 요구되는 검색속도에 맞추어 적절한 트라이 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한다.

  • PDF

사무자동화를 위한 근거리 컴퓨터 통신망 콘트롤러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of an Effecient Local Are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ler for Office Automation (Contention Resolution Algorithm Based on CSMA/CD))

  • 이명수;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5
    • /
    • 1986
  • CSMA/CD를 채널 억세스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 평균 정보전송 지연시간을 개선하려는 방법중, 제한된 정보전송 지연시간을 지니면서 채널사용도의 변화에 따른 정보전송 지연시간의 분포가 안정되어 있는 콘덴션 해결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IEEE 802.2의 논리적 링크제어(LLC)와 IEEE 802.3의 Medium Access Control(MAC)을 기준으로 하여 충돌이 발생한 후에 콘덴션을 해결하는 MAC의 일부를 수정, 변경하므로서 노드 콘트롤러를 구성하였다. 노드콘트롤러와 호스트 컴퓨터 IBM-PC/XT와의 정보전송은 2개의 DMA 채널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작은 버퍼들을 연쇄시키므로서 행하여 졌다. 해석적 모델을 사용하여 성능추정을 한 결과 낮은 채널 부하에서는 BEB(Binary Exponential Back-off) CSMA/CD의 지연특성에 접근하며 채널 부하가 높아진다 하더라도 네트워크가 dead lock되지 않으며 제한된 최대 전송지연 시간에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작된 노드 콘트롤러는 사무자동화 환경은 물론 시간적인 제약내에서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연구소나 공장자동화 환경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 Network Provisioning System with User-driven and Trusty Protection Management

  • Lim, H.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1호
    • /
    • pp.4720-4738
    • /
    • 2015
  • Proper management on user-driven virtual circuits (VCs) is essential for seamless operation of virtual networks. The Network Provisioning System (NPS) is useful software for creating user-driven VCs automatically and must take fault management into account for physical layer impairments on user-driven VCs. This paper addresses a user-driven and trusty protection management in an NPS with an open standard Network Service Interface (NSI), as a contribution to show how to implement the user-driven and trusty protection management required for user-driven VCs. In particular, it provides a RESTful web service Interface for Configuration and Event management (RICE) that enable management of a distinguished data and control plane VC status between Network Service Agents (NSAs) in the event of a node or link fault and repair in a domain. This capability represents a contribution to show how network and protection events in a domain can be monitored between NSAs (NPSs with the NSI) in multiple domains. The implemented NPS controls and manages both the primary and backup VC with disjoint path in a user-driven manner. A demonstration to verify RICE API's capability is addressed for the trusty protection in the dynamic VC network.

선박 내 Relay-based WUSB/DRD/WLP 연동 프로토콜 설계 (Relay-Based WUSB/DRD/WLP Cooperative Protocol Design in Ship Area)

  • 이승범;정민아;권장우;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9호
    • /
    • pp.789-80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선박 내 WiMedia 환경의 WSS에서 릴레이 기반 WUSB/DRD와 WLP 디바이스의 통신을 위한 연동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릴레이 기반 협력 통신에 사용되는 RNT 테이블 구성과 RNS 릴레이 노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본다. 또, WL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를 알아보고 WUSB/DRD/WLP 디바이스의 통신을 위한 연동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WLP 연동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기존의 표준 DRP 예약과 WUSB 프로토콜의 DRP 예약을 이용하여 WUSB/DRD/WLP 디바이스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