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bility of $O_3$

검색결과 1,792건 처리시간 0.03초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mulsification of Natural Sunscreen with Green Tea Extract : Optimization Using CCD-RSM)

  • 이승범;줘청량;쉬양;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1권5호
    • /
    • pp.532-5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shea butter, 올리브 유화왁스, 녹차추출물 등을 원료로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의 최적화는 CCD-RS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안정도지수(ESI),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등을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녹차추출물의 첨가량 및 유화시간을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해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자외선 차단크림 O/W 유화공정의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3.70 wt.%), 녹차추출물의 첨가량(2.47 wt.%) 및 유화시간(15.4 min)이었으며, 이때 예측된 반응치는 7 days 경과 후 유화액의 MDS (1173.8 nm), ESI (99.56%), 그리고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2.4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0 ± 1.5%로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CCD-RSM 최적화 과정이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의 카르복실산이 전기방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xylic Acid Group of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on Properties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PAN) Fibers)

  • 박옥경;김주형;이성호;이중희;정용식;김준경;구본철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72-477
    • /
    • 2011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의 표면이 산성기로 처리된 MWNT가 polyacrylonitrile(PAN) 섬유의 열적,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질산, 황산으로 처리한 MWNT(O-MWNT)를 디아조늄염 반응을 이용하여 MWNT 표면에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O-MWNT와 비교하여 볼 때 이소프탈산으로 처리된 MWNT(IPA-MWNT)가 극성용매 내에서 더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호모 PAN과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공기 중에서 열안정화 반응을 모사하였을 때 호모 PAN과 비교시 발열량이 감소하였다. PAN 공중합체와 IPA-MWNT를 혼합한 용액을 전도성 수조 콜렉터를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한 결과 연속상의 배향된 섬유제조가 가능하였다. 1 wt%의 IPA-MWNT를 포함한 연속상의 전기방사된 PAN 섬유는 순수한 PAN 섬유와 비교하여 볼 때 인장강도가 100% 증가하였으며, 탄성률은 160% 증가되었다.

흡착관과 탈착용매에 따른 나프탈렌의 탈착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desorption efficiency of naphthalene by adsorbing media and desorbing solvent)

  • 최진희;조지훈;최성봉;이권섭;신현화;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3-411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appropriate conditions suited to the analysis of naphthalene by comparing desorption efficiencies under various conditions. 1. As to influence by adsorbing media and desorbing solvent on desorption efficiency of naphthalene, when adsorbed by CCT, o-xylene gave the highest desorption efficiency of $73.96{\pm}0.53%$ while the lowest of $1.14{\pm}0.03%$ desorbed by ether. Both XAD-2 and Chromosorb 106 showed around 90% of desorption efficiencies for each solvent, especially desorption efficiencies more than 95% were achieved when adsorbed by Chromosorb 106 and desorbed by $CS_2$ or o-xylene. 2. Desorption efficiencies descended over the storage period in any condition(p<0.05). For all three adsorbing media, while desorption efficienc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room temperature and refrigeration a day of loading, samples kept in room temperature had higher desorption efficiencies than refrigerated ones in 7 and 14 days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5).Also, desorption efficiencies dropped drastically in 7 days, from that point the decreasing tendency went mild. 3. When respective 1 TLV and 0.1 TLV of naphthalene were spiked on CCT and desorbed by CS2($46.45{\pm}0.59%$ vs. $30.15{\pm}0.81%$), o-xylene($73.96{\pm}0.53%$ vs. $67.51{\pm}1.34%$), and ether($1.14{\pm}0.03%$ vs. N.D.) desorption efficienci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loading increased(p<0.05).On the other hand, naphthalene spiked on XAD-2 and Chromosorb 106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desorption efficiencies between 1 TLV and 0.1 TLV. In conclusion, in order for favorable desorption efficiencies of naphthalene it is important to select appropriate adsorbing media and desorbing solvent accordingly. The result revealed that adsorbing media of XAD-2 and Chromosorb 106 outperformed CCT and desorbing solvents of $CS_2$ and o-xylene achieved over 90% of desorption efficiencies when adsorbed on XAD-2 and Chromosorb 106. Also, considering the tendency that desorption efficiencies of naphthalene decrease with time, the samples should be analyzed as soon as possible.

Chaetomium globosum 이 생성(生成)하는 Cellulose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조효소(粗酵素)의 성질(性質)-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s Produced by Chaetomium globosum -Part . 1 ; Properties of Crude Cellulolytic Enzymes-)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23-31
    • /
    • 1968
  • Chaetomium globosum의 Cellulase 생산(生産)과 조효소(粗酵素)의 성질(性質)은 시험(試驗)한바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소생성배양(酵素生成培養)은 맥피고체배양(麥皮古體培養)이 다른 어떤 액체(液體) 혹(或)은 진탕배양보다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낸다. 2. 효소생산(酵素生産)은 $8{\sim}10$일(日)이 최고(最高)이며 그 후(後)는 감소(減少)된다. 3. 환원당(還元糖) 측정(測定)에 의(依)한 Cellulase 활성(活性) 측정법(測定法)으로 최적(最適) pH, 최적(最適) 온도(溫度), pH 안전(安全) 및 열안전(熱安全)은 다음 같다. (1) 조효소(粗酵素)의 최적(最適) pH는 $4.0{\sim}4.5$이다. (2) 조효소(粗酵素)의 최적(最適) 온도(溫度)는 $40^{\circ}C$이다. (3) 조효소(粗酵素)의 안전(安全) pH는 $.3.5{\sim}6.5$이다. (4) 조효소(粗酵素)의 열안전(熱安全)은 $50^{\circ}C$ 이하(以下)이다. 4. 투석조효소(透析粗酵素)는 $Mn^{2+},\;Mg^{2+},\;Fe^{2+},o^{2+}$에 상당(相當)히 부활(賦活)되며 $Hg^{2+}$은 현저히 저해(沮害)된다.

  • PDF

Zn3(PO4)2 Protective Layer on Zn Anode for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Aqueous Zn-ion Batteries

  • Chae-won Kim;Junghee Choi;Jin-Hyeok Choi;Ji-Youn Seo;Gumjae Park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162-173
    • /
    • 2023
  • Aqueous zinc-ion batteries are considered as promising alternatives to lithium-ion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owing to their safety and cost efficiency. However, their lifespan is limited by the irreversibility of Zn anodes because of Zn dendrite growth and side reactions such as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 and corrosion during cycling. Herein, we present a strategy to restrict direct contact between the Zn anode and aqueous electrolyte by fabricat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Zn foil via phosphidation method. The Zn3(PO4)2 protective layer effectively suppresses Zn dendrite growth and side reactions in aqueous electrolyte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Zn3(PO4)2@Zn anode, such as the overpotential,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and hydrogen generation reaction, indicate that the protective layer can suppress interfacial corrosion and improve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compared to that of bare Zn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active sites of Zn. Remarkably, MnO2 Zn3(PO4)2@Zn exhibited enhanced reversibility owing to the formation a stable porous layer, which effectively inhibited vertical dendrite growth by inducing the uniform plating of Zn2+ ions underneath the formed layer.

공간 메인 메모리 DBMS를 위한 효율적인 회복 시스템 (An Efficient Recovery System for Spatial Main Memory DBMS)

  • 김정준;주성완;강홍구;홍동숙;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4
    • /
    • 2006
  • 최근 실시간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갖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LBS)와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공간 메인 메모리 DBMS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 메인 메모리 DBMS에서는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메인 메모리상의 모든 공간 데이타를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데이타베이스의 안정성을 위한 회복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회복 시스템에서 로그와 체크포인트 수행 과정 중 발생하는 디스크 입출력은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저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공간 메인 메모리 DBMS에서 디스크 입출력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회복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메인 메모리 DBMS를 위한 효율적인 회복 시스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먼저 로그 기법으로는 디스크 입출력을 줄이고 트랜잭션의 동시성 향상을 위해 사전 완료 기법을 사용하였고, 전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퍼지-핑퐁 체크포인트 기법에서 발생하는 동일 페이지에 대한 중복 디스크 입출력 문제를 해결한 퍼지-쉐도우 체크포인트 기법을 제안하여 회복 시스템 구현 시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회복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Appraisal of Concrete Performance and Plan for Stable Use of EAF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 of Concrete)

  • 조봉석;이훈하;양승규;이웅종;엄태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367-375
    • /
    • 2009
  • 최근 골재 수급불균형 문제 및 천연자원 고갈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종래 철강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슬래그 중 전기로 산화슬래그는 그 물리적 특성이 일반 골재와 유사한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나 슬래그 중 함유되어 있는 free-CaO에 의한 표면결함을 야기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화학적 안정성 확보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안정화된 슬래그 골재를 용도별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골재입경 조정, 소정 기간동안의 자연 에이징 처리에 의해 팝아웃 등의 표면결함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 용도별 대체율에 따른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은 일반 골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 활용시에는 콘크리트의 미관저해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충분한 사전 에이징 또는, 가공처리 등 안정성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철강부산물의 친환경적인 자원순환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에 대한 품질관리 지표 구축과 더불어 다양한 용도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종 공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임도성토사면(林道盛土斜面)의 토질역학적(土質力學的) 특성(特性)과 안정해석(安定解析) (Soil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Analysis on Fill Slope of Forest Road)

  • 지병윤;오재헌;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75-284
    • /
    • 2000
  • 본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하여 임도사면의 붕괴가 발생된 변성암지역 및 화성암지역의 임도를 대상으로 성토사면의 토질역학적 특성파악과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일분류법에 의한 임도성토사면의 토질의 분류는 화성암과 변성암지역 모두 토사사면은 SW, 풍화암사면은 SP, 연암사면은 GP로 나타났으나, 호박돌 섞인 토사사면에서는 화성암지역은 SP, 변성암지역은 GW로 나다났다. 2) 화성암지역의 성토사면 흙의 건조말도는 $1.34g/cm^2{\sim}1.59g/cm^2$, 비중은 2.57~2.61, 간극비는 0.66~0.93으로 나타났고, 변성암지역의 흙의 건조밀도는 $1.35g/cm^2{\sim}1.51g/cm^2$, 비중은 2.67~2.77, 간극비는 O.78~1.01로 나타났다. 3) 흙의 강도정수인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의 시험결과, 화성암지역에서의 내부마찰각은 $29.51^{\circ}{\sim}41.82^{\circ}$ 점착력은 $0.03kg/cm^2{\sim}0.38kg/cm^2$, 변성암지역에서의 내부마찰각은 $21.43^{\circ}{\sim}41.43^{\circ}$, 점착력은 $0.05kg/cm^2{\sim}0.44kg/cm^2$로 나타났다. 4)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한 결과 안전율은 전체적으로 화성암지역의 경우에는 풍화암사면, 변성암지역의 경우에는 토사사면과 풍화암사면이 1 이하로 붕괴발생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ep Blue LED 광원과 형광체를 이용한 초고연색 백색 인공태양광 LED 소자의 개발 (Development & Reliability Verification of Ultra-high Color Rendering White Artificial Sunlight LED Device using Deep Blue LED Light Source and Phosphor)

  • 안종욱;권대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9-68
    • /
    • 2023
  • Currently, yellow phosphor of Y3Al5O12:Ce3+ (YAG:Ce) fluorescent material is applied to a 450~480nm blue LED light source to implement a white LED device and it has a simple structure, can obtain sufficient luminance, and is economical. However, in this method, in terms of spectrum analysis,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white LEDs having the same color coordinates due to color separation cause by the wide wavelength gap between blue and yellow b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optical properties such as color stability and color rendering. In addition, this method does not emit purple light in the range of 380 to 420nm, so it is white without purple color that can not implement the spectrum of the entire visible light spectrum as like sunlight. Because of thi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color rendering index(CRI) of 90 or higher, and natural light characteristics such as sunlight can not be expected. For this, need for a method of implementing sunlight with one LED by using a method of combining phosphors with one light source, rather than a method of combining red, blue, and yellow LEDs. Using this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an artificial sunlight LED device with a spectrum similar to that of sunlight were demonstrated by implementing LED devices of various color temperatures with high color rendering by injecting phosphors into a 405nm deep blue LED light source. In order to find the spectrum closest to sunlight, different combinations of phosphors were repeatedly fabricated and tested. In addition, reliability and mass productivity were verified through temperature and humidity tests and ink penetration tests.

간.담도계 질환 진단용 $^{99m}Tc$ 표지 3-요오도-2,4,6-트리메틸 이미노 2초산$(^{99m}Tc-IOTIDA)$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99m}Tc$ Labelled 3-Iodo-2,4,6-trimethyl-iminodiacetic acid $(^{99m}Tc-IOTIDA)$ for Diagnosis of Hepatobiliary Disease)

  • 박경배;오옥두;김재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55
    • /
    • 1990
  • For the development of $^{99m}Tc-labelled$ 3-iodo-2,4,6-trimethyl-iminodiacetic acid $(^{99m}Tc-IOTIDA)$, various experiments such as synthesis of IOTIDA, establishment of labelling conditions, determination of radiochemical purity, examination of stability, and organ distribution of rat were carried out. 1) IOTIDA was synthesized with a total yield of 42% from the starting material of 2,4-6-trimethylaniline via chloroacetylation, iodination, and condensation with iminodiacetic acid (IDA). 2) Freeze-dried instant labelling kits were prepared from aqueous solution $(pH\;5.8\sim6.0)$ so as to contain 40 mg IDA compound and 0.4 mg $SnCl_2$, per vial. Labelling of the contents of kit vials with $Na^{99m}TcO_4$, exhibited formation of two kinds of complex which was identified by ITLC-SA. After labelling, complex ( I ) was gradually converted to complex (II) with time. Labelling yield and radiochemical purity were above 99.5% based on the two complexes over-all. 3) $^{99m}Tc-IOTIDA$ maintained high radiochemical purity of above 99% until 6 hours after preparation at room temperature. Instant labelling kits stored at $4^{\circ}C$ for 6 month period also exhibited high labelling yield of above 99%. 4) Results obtained from animal experiments showed that most of the $^{99m}Tc-IOTIDA$ was rapidly excreted through hepatobiliary track into the intestines but with negligible renal excre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