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aisal of Concrete Performance and Plan for Stable Use of EAF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 of Concrete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 Cho, Bong-Suk (Resources Recycling Research Dept. Environment&Energy Research Center, RIST) ;
  • Lee, Hoon-Ha (Resources Recycling Research Dept. Environment&Energy Research Center, RIST) ;
  • Yang, Seung-Kyu (Concrete Reserch Office, Technology Research Center, SsangYong Cement Industrial Co.) ;
  • Lee, Woong-Jong (Concrete Reserch Office, Technology Research Center, SsangYong Cement Industrial Co.) ;
  • Um, Tai-Sun (Concrete Reserch Office, Technology Research Center, SsangYong Cement Industrial Co.)
  • 조봉석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환경에너지연구본부 자원리싸이클링연구실) ;
  • 이훈하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환경에너지연구본부 자원리싸이클링연구실) ;
  • 양승규 (쌍용양회공업(주) 기술연구소) ;
  • 이웅종 (쌍용양회공업(주) 기술연구소) ;
  • 엄태선 (쌍용양회공업(주) 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Recently, more focus is shift to imbalances in aggregate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an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situation,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EAF slag) has high application possibility as aggregate for concrete due to similar property with general aggregate. However, it is inherent the problem which causes pop-out by free-CaO contained in slag In this study, we've got the plan to assure the chemical stability of EAF slag, and then experimentally tested the mechan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for the fine aggregate used EAF slag. On this test result, we suggest the application plan. At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EAF slag would reduce the surface defect such as pop-out due to natural aging for the fixed hour and adjustment the grain size of EAF slag. And mechan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rate of concrete service, were revealed more than equal or equal compare to general aggregate. Hereafter, quality control must precede not to impede the beauty of concrete surface as assure the safety for aging and processing. And,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resource recycling system for by-products of steel, it should be made development of various application and guideline of quality control for the EAF slag aggregate. Moreover, it must be constantly studied all kind of engineer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for related to this study.

최근 골재 수급불균형 문제 및 천연자원 고갈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종래 철강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슬래그 중 전기로 산화슬래그는 그 물리적 특성이 일반 골재와 유사한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나 슬래그 중 함유되어 있는 free-CaO에 의한 표면결함을 야기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화학적 안정성 확보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안정화된 슬래그 골재를 용도별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골재입경 조정, 소정 기간동안의 자연 에이징 처리에 의해 팝아웃 등의 표면결함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 용도별 대체율에 따른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은 일반 골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 활용시에는 콘크리트의 미관저해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충분한 사전 에이징 또는, 가공처리 등 안정성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철강부산물의 친환경적인 자원순환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에 대한 품질관리 지표 구축과 더불어 다양한 용도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종 공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만, 조성현, 오상윤, 곽은구, 김형석, 박광석, “철강 슬래그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이용에 관한 최신기술 현황,” 콘크리트학회지, 19권, 6호, 2007, pp. 42-49
  2. 조성현, 김진만, 한기석, 김무한, “급냉 제강슬래그 잔골재 대체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7권, 1호, 2005, pp. 77-84
  3. 이승한, 서승, “전기로 슬래그 노반재의 기초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24권, 2호, 1993, pp. 43-46
  4. 조봉석, 이훈하, “스테인레스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콘크리트용 잔골재 안정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자원리싸이클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08, pp. 81-85
  5. 이훈하, 전기로 슬래그 골재 재활용 방법, 특허등록번호 0067456, 2006
  6. 대한토목학회, 전기로슬래그를 사용한 도로포장 설계.시공지침, 대한토목학회, 1997, pp. 63-69
  7. 김형석, “인공어초용 슬래그 콘크리트의 제조,” RIST 연구논문, 16권, 2호, 2002, pp. 155-159
  8. 森野奎二,兒玉伸明,“電氣爐酸化スラグ骨材を使用した コンクリ一トの實構造物への適用性,” Cement Science and Concrete Technology, No. 53,1999,pp. 507-511
  9. 曺俸碩 外, “コンクリ一ト用ステインレス電氣爐酸化スラ グ細骨材の安定性評,” (社)日本建築學會 學術講演梗槪集, A-1, 2008, pp. 631-632
  10. コンクリ一ト用スラグ骨材第4部, 電氣爐酸化スラグ骨材, 日本工業標準調査, 2003, 24 pp.
  11. 電氣爐酸化スラグ細骨材を用いるコンクリ一トの設計施 工指針(案)·同解說, (社)日本建築學會, 2005, pp. 87-91
  12. Montgomery, D. G. and Wang, G., “Instant-Chilled Steel Slag Aggregate in Concrete-Strength Related Properti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1, 1991, pp. 1083-1091 https://doi.org/10.1016/0008-8846(91)90068-S
  13. Montgomery, D. G. and Wang, G., “Instant-Chilled Steel Slag Aggregate in Concrete-Fracture Related Properti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2, 1992, pp. 755-760 https://doi.org/10.1016/0008-8846(92)90098-G

Cited by

  1. Study of Polymer Rapid Setting Cement Concrete Using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vol.21, pp.1, 2012, https://doi.org/10.7844/kirr.2012.21.1.030
  2. Development of Concrete and Evaluation of Properties of Combined Steel making Slag Aggregates for Offshore Structure Production (I) vol.25, pp.2, 2016, https://doi.org/10.7844/kirr.2016.2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