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돌개(Squalidus)속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Squalidus (Cyprinidae, Pisces))

  • 김익수;이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8
    • /
    • 1984
  • 1972년부터 1983년 사이에 우리 나라 남부지방 주요하천에서 채집한 Squalidus 속 어류의 많은 표본을 검토한 결과, Gnathopogon 속과 분리하여 4종 및 아종으로 분류하여 새로운 검색표와 함께 재기재하였다. 즉, 한국산 Squalidus 속에는 S. gracilis majimae(긴몰개), S. chankaensis tsuchigae(참몰개: 국명신칭), S. japonicus coreanus(몰개)가 출현 확인되었다. 그 가운데 S. gracilis majimae (Jord and Hubbs)는 종래의 G. majimae에 해당되며, 종전의 G. coreanus(not Berg)는 S. chankaensis tsuchigae(Jordan and Hubbs)와 S. chankaensis ssp., 및 S. japonicus coreanus(Berg)로 분리 구분되었다. S. chankaensis tsuchigae는 우리 나라 전역에 골고루 분포하였고, S. japonicus coreanus는 서해안에 유입하는 하천의 일부 제한된 수역에서만 채집되었으며, S. chankaensis ssp.는 영덕오십천에서만 출현하였다. S. chankaensis ssp.는 측선린수가 $34{\sim}35$개로 비교적 적고, 눈의 크기가 작으며, 체장범위도 $42.1{\sim}56.1mm$로 작아서 여러 기지종 및 아종과도 구별되었다.

  • PDF

남한강에 서식하는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Cyprin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Cyprinidae) in the Namhan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7-373
    • /
    • 2012
  •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개체군 생태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남한강(양평군 양평읍 창대리)에서 조사하였다. 본 종은 하천 하류에 분포하며 하상구조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식지 수심은 80~120cm이었고 유속은 0.14~0.38m/sec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성비는 1 : 0.82 이었고 산란기는 6~7월이며 산란기 수온은 $18.5{\sim}24.3^{\circ}C$이었다. 만 2년생 이상부터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전장이 34~50mm의 집단은 만 1년생, 51~74mm의 집단은 만2년생, 75mm 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된다. 포란수는 평균 1,871개이었고 먹이생물은 남조류(Cyanophyta), 녹조류(Chlorophyta), 규조류(Bacillariophyta), 윤충류(Rotatoria), 갑각류(Crustaceae), 요각류(Copepod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파리목(Diptera), 선충류(Nematoda) 등이었다. 잡식성이었으며 깔다구류(Chironomidae) 유충을 주로 섭식하였다.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Gobioninae))

  • 김경무;곽영호;김승용;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2-261
    • /
    • 2021
  • 본 연구는 난과 자치어의 형태 및 생활사가 밝혀지지 않은 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 japonicus coreanus의 친어는 충청남도 공주시의 지천에서 확보하였다. 성숙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흰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난경은 1.12±0.03 mm (1.10~1.16 mm, n=30)였다. 수정란은 수온 23±1℃에서 수정 49시간 후 부화가 완료되었으며, 난황자어의 전장은 3.7±0.1 mm (3.4~3.8 mm, n=16)로 흑색소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부화 5일 후 자어의 전장은 5.3±0.2 mm (5.0~5.5 mm, n=16)로 난황의 흡수가 완료되고 윤충류 섭식을 시작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9일째의 자어의 전장 6.0±0.3 mm (5.4~6.5 mm, n=16)로 척삭말단이 굴곡이 시작되고 꼬리지느러미의 기조가 형성되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29일 후 자어의 전장은 9.6±0.5 mm (8.3~10.5 mm, n=16)로 척색말단의 굴곡이 완료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44일 후 전장 15.5±1.0 mm (13.5~17.0 mm, n=16)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탐진강의 어류상 (On the lchthyofauna of the Tam-jin River, Korea)

  • 나창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4-250
    • /
    • 1994
  • 1990년 9월 10일부터 1993년 10월 20일까지 탐진강 일대의 9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투망과 족대 뜰망, 낚시 등을 이용하여 채집한 어류는 총 13과 26속 34종이었으며, 이중에 최(崔)(1989)의 18과 41속 55종과 비교한바 대부분 유사한 종이나 정보에 따른 종중 Acanthogobius hasta, Macropodus chinensis, Channa argus가 출현하였고, 한국산 특산 어종으로는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yamatsutae, Acanthorhodeus gracilis,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Sualidus gracilis magimae, Microphysogobio yaluensig, Cobitis longicorpus, Psewdobagrus koreanus, Liobagrus mediadiposalis, Odontobutis platycephala 12종이며, 우세종은 Zaccoplatypus, Z. temmincki, Acheilognathus yamatsutae 순이고, Cyprinus의 19종이 가장 많은 종수로 밝혀졌다.

  • PDF

원주천의 어류군집 분석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Wonju-stream)

  • 최준길;신현선;최재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6-54
    • /
    • 2005
  • 2004년 5월부터 11월까지 원주천 어류군집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총 6과 24종이었으며 이들 중 한국고유종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긴몰개(Squalidus gracitis majimae),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퉁가리(Liobagus andersoni) 및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등 10종$(41.7\%)$이었다. 본 조사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가 $54.7\%$로 우점하였고 버들치(Rhynthocypris oxycephalus)가 $16.7\%$로 아우점하였다. 또한 우세종은 붕어(Carassius auratus)가 $5.4\%$, 참종개(I. koreensis) $3.4\%$, 종개(Orthrias toni) $3.3\%$, 돌고기(Pungtungia herzi) $3.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의 분포에 따라, 원주천은 비가중치 평균연결법(UPGMA)에 의해 2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생활형에 따른 어류군집의 변화를 보면 저서성 어종의 수가 감소하였고 하상변화와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 부유성 어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린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erin Stream)

  • 남명모;양홍준;채병수;강영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6
    • /
    • 1998
  • 1996년 6월부터 1997년 9월까지 북한강의 상류인 내린천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10과 28속 36종 또는 아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어류 중에서 한반도 고유종은 7과 15속 16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44.4%를 차지하였다 외래어종으로 Oncorhynchus mykiss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Zacco temmincki(상대풍부도 42.94%), 아우점종은 Moroco kumgangensis(12.91%)였으며, Opsariichthys biden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Misgurnus mizolepis, Leiocassis ussuriensis 그리고 Siniperca scherzeri는 1~2 개체만 채집되어 상대 풍부도가 0.03% 이하로서희소종이었다. 조사지역의 종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0.947, 균등도 0.609, 그리고 우정도 0.218로서 생태적으로 안정된 군집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전북 4개강 민물어류의 간흡충 피낭유충 조사 (A Survey on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from Fresh- water Fishes in Four Rivers at Jeonbuk Province in Korea)

  • 박현;박정옥;전현진;박현모;곽효왕;한종대;공우현;김석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6
    • /
    • 2001
  • 2001년 7월에서 10월 동안 전북 지역 4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에서 민물어류를 채집하여 간흡충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금강 에서는 몰개와 참붕어에서 간흡충 피낭유충이 어체 1g당 평균 12개와, 26개가 검출되었다. 만경강에서는 몰개에서만 4개가 검출되었다. 섬진강에서는 돌고기에서만 7개 검출되었으며, 동진강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섬진강 유역의 순창 지역 주민의 대변 검사 결과 간흡충 충란 양성률은 1999년에 8.9%, 2000년에 6.8%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전북지역의 4개강에 서식하는 참붕어, 몰개, 돌고기 등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다수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지역 주민에서 이들 민물어류의 생식에 의한 간흡충 감염이 만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공수초섬이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on Fish Fauna)

  • 변명섭;박혜경;전남희;최명재;공동수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103-109
    • /
    • 2007
  • 2005년 6월부터 11월까지 팔당호의 경안천 수역에 설치한 인공수초섬을 대상으로 인공수초섬(AVI)영향권역과 자연수초군락지 (NVA) 그리고 비수초대 (VFA)에서 어류의 분포를 조사하여 인공수초섬이 어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인공수초섬 영향권에서는 11과 23속 2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자연수초군락지에서도 같은 수준인 2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나 비수초대에서는 6과 11속 12종의 어류만이 채집되었다. 세조사지점 모두 잉어과 어종이 절대 우점하였으며 인공수초섬 영향권역과 자연수초군락지에서는 소형 어종인 S. japonicus coreanus가 극우점하는 현상을 보였다. 반면 비수초대에서는 중대형 회유성 어종인 H. labeo와 E. erythropterus가 개체수를 기준으로 할 때 5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소형어종은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우점도지수는 인공수초섬 영향권역과 자연수초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도지수와 균등도는 비수초대에서 높게 나타났고 종풍부도는 인공수초섬 영향권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으로는 A. gracilis, S. variegatus wakiyae, S. japonicus coreanus 및 O. interrupta 등이 채집되었으며 외래어종은 C. cuvieri를 포함하여 생태계교란외래생물종으로 지정된 L. macrochirus와 M. salmoides등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 인공수초섬이 자연수초군락지와 비슷한 수준으로 어류 산란처 및 서식처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Digenea: Isoparorchiidae) in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01-507
    • /
    • 2018
  • We described he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Digenea: Isoparorchiidae)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 Total 1,371 freshwater fishes collected in Yangcheon (Stream)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were examined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to survey the infection statu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for 4 years (2013-2016). Adult and larval worms of Isoparorchis sp. were detected in 38 (8.4%) out of 451 fish in 4 species, i.e., Pungtungia herzi, Acheilognathus koreensi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examined. The infection density was 1.1 worm per fish infected. They were mainly found in the subcutaneous tissues and abdominal cavities. Nodules with worms in the subcutaneous tissues were revealed as the blue ink-colored bulges. Adults leaf-like, $21.6{\times}9.84mm$ in average size. The ratio of body length to body width was 2.20: 1. Oral sucker subterminal, $1.03{\times}1.22mm$. Pharynx muscular, $0.55{\times}0.54mm$. Esophagus very short. Ceca convoluted, terminated near the posterior end. Ventral sucker anterior 1/3.75, $1.99{\times}2.10mm$. The ratio of ventral sucker to oral sucker was 1.74: 1. Testes round to elliptical, both sides of ventral sucker, $1.43{\times}1.33mm$. Vitellaria highly dendritic, posterior 1/3 level. Eggs operculated, embryonated, $52{\times}32{\mu}m$ in size. By the present study, 4 fish species aforementioned are to be listed as the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in Korea and additionall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to be described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