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ing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3초

$\gamma$-ray 조사에 의한 제주산 양파의 발아 및 성분변화 (Sprouting and Component Change of Cheju-Grown Onions after $\gamma$-ray Irradiation)

  • 박용봉;김재하;김기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0-236
    • /
    • 2000
  • 제주지방에서 양파 저장에 관한 ${\gamma}$-ray 처리와 저장장소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발아율은 저온저장, 상온저장, 동굴저장에 관계없이 무처리 양파는 약 5개월 째부터 발아와 발근이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으나 8월 상순경에는 0krad에서 동굴에 저장한 것은 50%, 상온에 저장한 것은 2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3krad, 6krad 처리한 것은 6개월까지는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중량 감소는 발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발아가 시작하기 전 40일 까지는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발아가 시작되면서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온저장한 것은 부패율이 약 5~10% 내외로 7개월 후에도 식용이 가능하였으나 상온에 저장한 것은 0krad에서 50%정도 부패한 반면 3krad 및 6krad를 조사한 것은 저온저장인 경우 5%, 동굴저장인 경우 30~35%, 상온에 저장한 것은 30% 정도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조사의 다당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는데 동굴저장과 상온저장에서는 저장초기에는 3krad 및 6krad 조사한 것이 0krad 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역시 처리한 것이 양은 적으나 0krad보다는 증가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llum속 채소류에 많이 들어있는 유황은 저장장소에 관계없이 0krad에서는 저장후반기로 갈수록 적어졌고 냉장저장한 것은 3krad 및 6krad의 선량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초기에는 유황함량이 증가하다가 12월 말경 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혈관내피세포의 발아에 미치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Phellinus Extracts on Sprouting in Porc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 오인숙;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92-2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의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PPAECs 세포의 발아에 미치는 효과 및 그 작용기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을 $10{\sim}50{\mu}g/mL$ 농도로 처리하면 PPAECs 세포의 발아가 약 $38{\sim}58%$ 억제되었으나, $200{\sim}400{\mu}g/mL$ 처리군에서는 약 $1.42{\sim}1.47$배의 발아 증가를 유도하였다. PPAECs 세포에 상황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MP-2는 상황버섯 추출물 농도 $50{\mu}g/mL$까지는 약 30% 정도 분비가 억제되다가 $100{\mu}g/mL$에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00{\mu}g/mL$에서는 약 1.7배의 MMP-2 분비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비해 MMP-9의 분비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MMP-3는 $50{\sim}400{\mu}g/mL$에서 약 $1.5{\sim}1.7$배의 분비 증가 고과를 보였다. 또한 $100{\sim}200{\mu}g/mL$ 농도의 상황버섯 추출물에서 피브린 젤의 용해 및 MMP-2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플라스민의 분비증가가 약 2.4배 유도되었다. 한편 상황버섯 추출물 처리시 고농도($100{\sim}400{\mu}g/mL$)에서 PPAECs 세포의 발아가 촉진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MMPs 및 플라스민 억제제에 의해 약 $40{\sim}44%$ 억제되어 피브린 젤에서 확인된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발아 증가는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증가에 의한 것이라 사료된다.

파종당시의 종서취급방식이 추작 마령서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dling methods of seed tuber pieces at planting on sprouting of fall grown potatoes)

  • 김봉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7
    • /
    • 1970
  • 안성지방에서 8월말경 마령서의 추작을 할때 남작을 2pm의 Gibberellin 용액에 10분간 침적해서 파종할 경우 종서의 취급방식이 파종후의 종서부패와 발아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실험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단종서의 절단면을 직사일광에 조사하면 파종후의 종서부패와 발아생육의 지연을 초래하였는데 조사시간이 3시간이상 되면 피해는 막심하다. (2) 토양수분이 넉넉하고 직사일광에 오래 쏘이지만 ?\ulcorner으면 직파를 해도 최아정식하는 것 보다 종서부패가 많지 않다. (3) 종서부패가 적으면 직파하는 것이 최아정식하는 것보다 본포에서의 호착기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생육이 빠르다. (4) 종서절편을 파종전 3일간 독속에 넣고 대하여 절구의 유상조직형성을 촉진해보려는 시도는 실해하였는데 이는 독속의 고습도유지가 안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5) 처리 및 파종작업이 단기간에 끝인다면 일기의 영향은 청천이나 담천이나 다름이 없다. (6) 포장수분이 부족하지 않으면 관수를 해도 부패경감이나 발아촉진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맹아(萌芽)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Bud sprouting and Tuberization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길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9
    • /
    • 1985
  • 답다년생(畓多年生) 잡초(雜草) 올방개(Eleocharis kuioguwa Ohwi)의 괴경채취(塊莖採取) 시가별(時期別) 맹아력(萌芽力) 및 식물생장(植物生長) 조절물질(調節物質)의 처리(處理)가 맹아(萌芽)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해서 연구(硏究)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월동기간중(越冬期間中) 11월(月) 1일(日)에서 2월(月) 14(日)에 걸쳐 4시기(時期)에 채취(採取)한 괴경(塊莖)은 치송후(置宋後) 50일(日)까지 모두 60% 이상(以上)의 맹아율(萌芽率)을 보여 휴면성(休眠性)이 인정(認定)되나 11월(月) 1일(日)에 채취(採取)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는 20% 미만(未滿)인 것과 1월(月) 및 2월(月)에 채취(採取)한 것과 비교(比較)할 때 초(初)겨울의 저온(低溫)에 의(依)해 휴면성(休眠性)이 상당히 타파(打破)되었다. 2. BA $10^{-6}M$ 및 GA $10^{-6}M$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맹아(萌芽)된 정아(頂芽)와 측아(側芽)의 수(數)가 무처리(舞處理)에 비(比)해 각각(各各) 11배(倍) 및 10배(倍)까지 증가(增加)를 보여 BA는 올방개의 맹아촉진(萌芽促進)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BA의 괴경처리(塊莖處理)는 올방개 괴경(塊莖)의 수(數)를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평균(平均) 34.4% 증가(增加)시켰으며 BA $10^{-5}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은 39.8%의 증가(增加)를 보여 처리(處理)된 생장조절제중(生長調節劑中) 괴경형성(塊莖形成)을 가장 촉진(促進)시켰다.

  • PDF

Studies on Sprouting and Cold Hardiness of Mulberry (Morus)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 Park, Young-Cheol;Kim, Jong-Gill;Park, Ji-Young;Kim, Won-Tae;Kim, Keun-Young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43-4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routing and cold hardiness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in 7-year-old mulberry(Morus) three varieties of Kaeryangppong, Shinilppong and Yongcheonppong. The killing points of the mulberry twigs were investigated using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mitted)

  • PDF

Evaluation of crude protein, crude oil, total flavonoid,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activity in the sprouts from a high oleic acid soybean cultivar

  • Mugisha, James;Asekova, Sovetgul;Kulkarni, Krishnanand P.;Park, Cheol Woo;Lee, Jeong-D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723-733
    • /
    • 2016
  • Soybeans [Glycine max (L.) Merill] are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and other phytonutrients. Soybean sprouts contain many bi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and are rich in polyphenols,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two soybean cultivars, Hosim, with high oleic acid (- 80% in total seed oil), and Pungsannamul, with normal oleic acid (- 23%) in seed,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oil,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ics,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during the sprouting duration of 5 days. The protein content in both the varieties was found to increase by the days of sprouting. The crude oil content of Pungsannamul sprouts was found to be maximum on day 1 (16.9%, w/w) and decreased thereafter to reach to the level of 14.8% on day 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rude oil content of Hosim sprouts from day 1 to 5 were observed. Flavonoid content was found to increase up to day 4 and then dropped on day 5, in both the cultivars. Total polyphenol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p to day 3 and star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from day 4. DPPH activity was found to increase up to day 5 in both the varieties. All the components studied in the high oleic acid soybean sprouts showed a change in content during the sprouting process similar to the change that would occur in normal oleic acid soybeans.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ntioxidant, flavonoid, and polyphenol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sprouting.

공기치환기능이 강화된 콩나물 재배통 개발 (Development of the Soybean Sprouting Bucket with Enhanced Air Circulation Function)

  • 김중만;황호선;전예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95-699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의 콩나물 재배통이 가지는 재배 중 발생하는 재배통 중심부의 고온과 탄산가스 수준의 증가로 인한 부패현상과 생육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리적으로는 콩나물 재배통 내의 공기와 재배실과의 공기치환이 보다 원활히 일어나도록 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통을 재배통과 콩나물 받침그릇으로 구성하였는데 재배통의 바닥에는 직경 10 mm, 높이 2 mm인 배수구 겸 물 고임 턱 다섯 개를 두었고 재배통 벽에는 폭 0.5cm, 길이 10 cm의 홈을 두었다. 재배통 속에 넣어 사용하는 콩나물 받침그릇에는 바닥에 배수구가 592개 형성되고 그 바닥 중앙에 직경 2 mm인 구멍 36개가 형성된 공기 치환파이프를 부착하여 콩나물 받침 그릇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개량콩나물 재배통은 25$\pm$1$^{\circ}C$에서 재배한 결과 기존 재배통보다 재배기간 동안 재배통 내의 탄산가스 수준과 온도가 낮았고, 그 결과 부패율은 낮고 성장 정도는 높은 결과를 얻었다.

Clonal Propagation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 Mishra, Dhruv Kumar;Kumar, Devendr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18-225
    • /
    • 2014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tandardize and develop a suitable macro-propagation technology for large scale production of superior clonal stock through stem cuttings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a data deficient medicinal plant of arid region. For the purpos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was tri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various cutting diameters (0.50-0.75 cm, 0.75-1.00 cm, 1.00-1.50 cm, and >1.50 cm) in combination with varying growing conditions (sunlight, shade house and mist chamber) on shoot sprouting and rooting without using exogenous plant growth regulators. Cutting diameter (size 0.75-1.00 cm) in mist chamber has shown maximum sprouting (90.00%) and rooting (73.33%), primary root (6.67) and secondary root (16.67) followed by 1.00-1.51 cm in mist chamber. Minimum sprouting (40.00%), rooting (33.33%), number of shoot (1.33), primary root (1.00) and number of secondary root (1.00) was recorded in cutting diameter (size >1.50 cm) in sunlight.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optimum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 of rooting hormone (100, 200, 500 and 1000 ppm) of Indole-3-acetic acid (IAA) and Indole-3-butyric Acid (IBA)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on cuttings diameter (size 0.25-0.50 cm) in comparison to control. Maximum rooting percentage (93.33%) was recorded in 200 ppm followed by 500 ppm (86.66%) of IBA as compared to control, which showed only 60 per cent sprouting. Third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newly formed juvenile micro-cuttings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IAA and IBA. The juvenile cuttings (size 6-10 cm, basal dia <0.25 cm) were selected as micro-cuttings. The cuttings treated with IBA (500 ppm) showed 64.30% rooting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s of above experiments indicate that cuttings (size 0.75-1.00 cm dia) may be developed in mist chamber for better performance. While using heavier cuttings, no growth promoting hormones is required however; growth regulator 200 ppm concentration of IBA rooting hormone was observed optimum for promoting macro-propagation in stem cuttings of lower diameter class (0.25-0.50 cm).

포도(자옥) 유목의 월동시 피복한 보온피복재 종류가 발아 및 병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heat covering materials on the sprouting and occurrence of disease, insects during wintering of grape young tree (Shigyoku))

  • 남상영;김태수;김인재;김민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8-212
    • /
    • 2000
  • 보온 피복재 종류가 자옥 포도 유목의 월동시 동해방지, 노동력 절감 및 병해 발생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1월 하순에 짚을 덮은 다음 보온덮개B, 킬딩, 칼라부직A 및 백색니들펀칭부직포 등을 피복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온력은 백색니들펀칭부직포가 가장 불량하였고, 다른 보온재간에는 차이가 미미하였다. 2. 발아는 보온덮개B에서 빨리 시작되었으며, 발아 9일 후에도 발아율이 79.7%로 타 보온재 보다 2.3∼12.5% 높았다. 3. 생육은 보온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병해 발생은 킬딩과 보온덮개B에서 뿌리혹병이 지수 3.0∼3.2로 다소 많이 발생되었을 뿐 기타 병해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거나 미미 하였다. 4. 작업 단계별 소요노력은 보온덮개B에 비하여 킬딩은 6% 많았으나, 칼라부직A는 6%, 백색니들펀칭 부직포는 15%적었다.

  • PDF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mutants generated by the CRISPR/Cas9-geminiviral replicon system in rice

  • Jong Hee Kim;Jihyeon Yu;Jin Young Kim;Yong Jin Park;Sangsu Bae;Kwon Kyoo Kang;Yu Jin Jung
    • BMB Reports
    • /
    • 제57권2호
    • /
    • pp.79-85
    • /
    • 2024
  • Pre-harvest sprouting is a critical phenomenon involving germination of seeds in the mother plant before harvest under relative humid conditions and reduced dormancy. In this paper, we generated HDR mutant lines with one region SNP (C/T) and an insertion of 6 bp (GGT/GGTGGCGGC) in OsERF1 genes for pre-harvest sprouting (PHS) resistance using CRISPR/Cas9 and a geminiviral replicon system. The incidence of HDR was 2.6% in transformed calli. T1 seeds were harvested from 12 HDR-induced calli and named ERF1-hdr line. Molecular stability, key agronomic properties,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arget genes in the ERF1-hdr line were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The ERF1-hdr line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seed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qRT-PCR analysis suggested that enhanced ABA signaling resulted in a stronger phenotype of PHS res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icient HDR can be achieved through SNP/InDel replacement using a single and modular configuration applicable to different rice targets and other crops. This work demonstrates the potential to replace all genes with elite alleles within one generation and greatly expands our ability to improve agriculturally important tra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