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ayer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과수방제기 살포입자의 직경 분포특성 (Size Distribution of Droplets Sprayed by an Orchard Sprayer)

  • 구영모;신범수;김상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31-440
    • /
    • 2001
  • Generated agri-chemical droplets by orchard sprayers are evaporated regenerated and transported along wind streams. The droplets are deposited to targets after changing their sizes, affecting the retention of droplets. An orchard sprayer, designed for spraying grapevines was studi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oplet size.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spray direction (0, 22.5, 45, 67.5 and 90˚), distance(2.5, 3.0 and 3.5 m) and fan speed (2,075 and 3,031 rpm). Droplet sizes were converted and analyzed from spray stains, sampled using water sensitive papers. The number median diameter (NMD)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distance due to disappeared fine droplets (<50 ㎛): however, the volume median diameter (VMD) decreased due to shrunken large droplets (>100 ㎛). Fast fan speed delivered large droplets to 3.5 m, but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NMD and VMD were not uniform. Slower fan speed decreased the possibility of evaporation and drift; therefore, plenty of droplets were maintained up to 3.0 m. The upward blasting distance was limited within 3 m, but the limit to the ground level was extended to 3.5 m. Concentrated wind and droplets to the ground level should be redistributed to upper canopy direction, leading more uniform deposits. High speed wind and system pressure should be avoided because of generating fine droplets, which would be disappeared and drifted away.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실험 (Performance Test for the Long Distance Sprayer by an Image Processing)

  • 민병로;김동우;서광욱;홍준택;김웅;최준홍;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9-16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본 마루야마에서 재발된 방제기의 최대 살포 거리가 120 m 이기 때문에 140 m 이상 살포할 수 있는 방제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 살포가 가능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에 대하여 현장실험을 하여 얻은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분석한 후 현장에 보급하는 것이다. 살포된 색소의 분포도는 육안에 의한 분석을 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방제기 팬은 최고 살포거리가 140 m이고 유효 살포거리가 100 m가 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실험은 10 m 간격으로 지상에서 1 m 위치에 A4 용지를 부착한 후 용지에 흡착한 용액을 2치화 영상처리를 하여 살포량 및 살포거리를 측정하였다. 용지를 수거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그레이레벨은 0에서 255로 나타냈다. 흑색은 0, 백색은 255로 이치화 하였다. 10 m의 경우는 용지에 방제액의 살포량이 많아서 떨어졌고, 30 m 부분은 색소가 흘러내려 흑색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20{\sim}100m$까지 그레이레벨이 200 이하로 방제가 균등하게 이루어졌으며, 180 m까지 살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하여 축산농가의 구제역 등 방제작업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