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t the difference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인과 미국인 대상 기호도 조사를 통한 불고기의 표준 레시피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recipe according to preference of Korean, residents foreigner in Korea and American)

  • 김은미;서상희;곽창근;이은정;위승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63-468
    • /
    • 2013
  • 본 연구는 대표 한식에 대한 품질평가기술개발을 위해 수행하게 되었으며 국내인과 미국 현지인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통한 표준 레시피 설정과정을 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수집한 10개의 레시피를 토대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간장 : 설탕 : 파+마늘의 함량의 비는 7.9% : 4.1% : 5.4%로 조사되었으며 이 비율을 기본 레시피로 선정하였다. 불고기 맛에 대한 조사한 결과 짠맛, 단맛, 고기의 이미 이취로 조사 되어 각각에 항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장, 설탕, 파+마늘을 선정하였으며, 함량에 차이를 두어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인은 간장 : 설탕 : 파+마늘이 6.9% : 5.1% : 5.4(6.4)%의 비율을 선호하였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간장 6.9%, 설탕 4.1%, 파+마늘 6.4%의 함량을 선호하였다. 미국 현지인 불고기 시료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간장 7.9%, 설탕 4.1%, 파+마늘 5.4% 함량을 선호하였으며, 추천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기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그룹 간의 조미성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국 현지인들은 기본 레시피의 조미함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인은 기본 레시피에 설탕을 추가한 불고기를, 국내 거주 외국인은 기본 레시피에 파, 마늘을 추가한 불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현지인의 불고기에 대한 기호특성이 국내인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불고기는 주요 식재료의 현지공급이 가능하다면 현재의 기본적인 레시피를 기준으로도 현지화와 이를 기초로 한 다양한 제품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특징이 반영된 세분시장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되므로 각 세분시장에 적합한 한식 편의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19구급대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ractice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bout Infection Control)

  • 윤형완;정지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9-113
    • /
    • 2008
  • In order to protect Rescue 119 workers exposed on the spot from potential infec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so that it could help preventing them from infection and als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pre-hospital infection control. This study applied questionnaire survey to total 215 Rescue 119 workers at fire stations in Jeonbuk province, Jeonnam province and Gwangju city from July 14 to Sept. 14, 2006 for the benefit of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about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consisted of total 46 times across 6 categories such as washing hands during emergency activities ; fluid therapy and injection ; respirator maintenance; individual hygienics ; disinfectant supplies and equipments maintenance ; and control of infectious wastes. And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In terms of awareness about infection control, our respondents showed highest awareness about infectious waste control, and also showed highest level of practices in washing hands during emergency activities. Throughout all domains, awareness means were higher than practice means. In particular, infectious waste control was the domain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s. In terms of associations between awarenes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female rescue worker group and hospital/general hospital career group (before joining the Rescue 119)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n statistic level. In regard to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it was found that female rescue worker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practices than male group on statistic level. This study also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rescue work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wareness was in correlations with the higher practices across all 6 domains including washing hands. In addition, the higher awareness of a questionnaire item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igher practice of other items. However, our respondents showed high awareness about anti-infection, but low practices in reality. This indicates necessity of devising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 practices as much as awareness. Especially, it was noted that major reasons for insufficient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 come from unhabituated practices and lack of supports for infection-preventing supplies and protective device (mask, etc).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ection-preventing supplies for local rescue workers sufficiently, in parallel with steady habituation of infection control.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manage and study infection control policies even at pre-hospital step in efforts for effectiv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activities.

  • PDF

식물병원성 진균에 항균 효과를 지닌 슈도모나스 균주의 항진균 활성 증진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 (Antifungal Activities of Pseudomonas spp. Strains Against Plant Pathogens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 장석원;최병진;홍점규;노용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8-254
    • /
    • 2010
  • 골프 코스 잔디 뿌리부근의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4종 Pseudomonas spp.의 배양조건과 잔디에 갈색마름병의 원인이 되는 R. solani와 동전마름병의 원인이 되는 S. homoeocarp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조건으로는 pH 7.0으로 $20-25^{\circ}C$에서 배양할 때 생육도 우수하며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량배양을 위한 기본배지로 King's B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원으로 sucrose를, 질소원으로 tryptone을, 무기염류로는 $K_2HPO_4$를 첨가하였을 때 균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며 항진균 활성도 높았다. 갈색마름병과 동전마름병에 대해 전반적인 항진균 활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지역에서 생존하는 YUD-F군(P. mandelii와 P. fluorescens)의 Pseudomonas spp.가 YUD-O군(P. trivialis와 P. jessenii)의 Pseudomonas spp. 보다 항진균 활성이 보편적으로 넓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역별 평균 기온차가 각각의 Pseudomonas spp.의 최적 생육온도와 항진균 활성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YUD-O군의 Pseudomonas spp.는 동전마름병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성을 보이지만, 갈색마름병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약한 항진균 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남은 음식물 사료와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Waste feed and Probiotics Supplement on Productivity in Layer Chicks)

  • 양철주;;박일철;김광현;고흥범;이봉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02-112
    • /
    • 2003
  • 본 실험은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할 경우 난의 생산율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양시험은 일반 사료만으로 구성된 대조구와 Food 30% + Protein 30% + Probiotics (0%, 0.5%, 1.0% 및 1.5%)로 구성된 첨가구로 총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로 120수를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산란률은 생균제 1.5%첨가구가 평균 산란율 9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대조구와 생균제 첨가구들 사이의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P>0.05). 산란량은 생균제 0% 첨가구가 60.40으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여주었다 (P<0.05).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백색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적색도(a)에서는 생균제 0%, 0.5%, 1.0% 및 1.5% 첨가구가 각각 5.35, 6.25, 5.23 및 4.75로 대조구 -0.17에 비해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P<0.05). 하우 유니트(HU)는 생균제1.5% 첨가구의 수치가 63.41로 가장 높았으며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하우 유니트(HU)는 증가하였다 (P<0.05).

  • PDF

Proteomics를 이용한 마우스 조직에서의 방사선 감수성 조절 단백질의 탐색 (Proteomics of Protein Expression Profiling in Tissues with Different Radiosensitivity)

  • 안정희;김지영;성진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98-306
    • /
    • 2004
  • 목적:. 방사선 감수성이 다른 마우스 조직에서 apoptosis 유도 수준을 확인하고 방사선 감수성에 관여 된 인자를 Proteomics를 통해서 확인한다. 대상 및 방법: C3H/HeJ 마우스에 10 Gy 방사선을 조사하고 8시간 후 비장과 간을 채취하여 apoptosis 유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직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2-dimension electrophoresis (2-DE)를 실시하였다. 2-DE에서 방사선에 의해 발현의 변화를 보이는 gel의 spot를 trypsin 처리하여 MALDI-TOF 측정한 후 Swiss-prot database를 통하여 단백질 을 동정하였다. 결과: Apoptosls index는 방사선 조사 후 비장 조직에서 $35.3{\pm}1.7{\%}$, 간조직은 $0.6{\pm}0.2{\%}$로 비장에 비해 간 조직이 낮게 나타났다. Proteomoics 결과에서 방사선 내성 조직인 간은 ROS대사에 관여되는 단백질인 glutathione Stransferase Pi, carbonic anhydrase, NADH dehydrogenase, peroxiredoxin VI, riken cDNA 등이 방사선 조사 후 증가되었고 apoptosis 관련된 단백질인 cytochrome c는 간과 비장 조직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민감 조직인 비장에서는 방사선 조사 후 산화적 Stress에 관련된 단백질, apoptosis 관련 단백질, 신호 전달에 관련된 단백질, 면역반응, cell cycle, Ca 신호 전달, 대사 cycle에 관련된 단백질 등이 방사선에 관련하여 발현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결론 : Apoptosis유도 수준이 다른 조직에서 apoptosis에 관련된 단백질과 redox에 관련된 단백질은 방사성 감수성 조절에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번식기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의 사냥 장소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 of common Kestrel(Falco tinnunculus) hunting areas in breeding session)

  • 원일재;박민철;박현두;조삼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0-356
    • /
    • 2016
  • 동물의 번식 성공에 가장 큰 요인은 먹이의 선택이고 먹이의 선택은 서식지의 질과 양에 의해 결정되어 지며, 생물량이 높은 습지의 경우 생태계 기능의 지표로서 황조롱이의 사냥 장소의 선택은 서식 장소의 질과 양을 알아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충남 공주시 유구읍의 황조롱이 사냥장소에 대해 4가지 유형(초지, 논, 밭, 하천변)으로 구분하여, 번식시기인 3월에서 6월까지 3년간 (2014년~2016년) 황조롱이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조사결과, 사냥의 장소는 하천변에서 높은 사냥행동을 보였고, 비행사냥은 5월과 6월에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행사냥의 주요 획득 먹이는 포유류(쥐), 착지행동의 주요 획득 먹이는 곤충류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하천변에서는 주로 비행사냥이 이루어졌으며, 초지나 논과 밭에서는 착지 행동이 비행행동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사냥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식물이 땅을 덮는 피도는 사냥지역별 차이를 보였으나 식물의 높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냥 방법에 따른 식물의 높이는 포유류(쥐)를 잡기 위한 비행사냥이 착지사냥보다 낮은 높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황조롱이의 번식기 먹이 선택에서 하천변은 매우 중요한 환경 요소로 판단된다.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접착제의 브라켓 주변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 (Effect of a Fluoride - Containing Orthodontic Primer for Preventing Enamel Demineralization around Bracket)

  • 장하영;김종빈;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2-418
    • /
    • 2017
  • 브라켓 주위에 발생되는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불소를 함유하는 교정용 프라이머의 적용이 법랑질 탈회 예방 및 재광화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 된 소의 절치 5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I) 아무처리하지 않은 시편, (II)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프라이머인 Light Bond$^{TM}$로 처리한 시편, (III) 전통적으로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프라이머인 Transbond$^{TM}$ XT Primer로 처리한 시편. 각 군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Q-ray view로 관찰하고, 비커스 표면미세경도 측정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우식 양상을 평가하였다. 인공 탈회 후 프라이머는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 35 - 50% 잔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미세경도는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Light Bond$^{TM}$를 적용한 인접부위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편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소견으로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은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Light Bond$^{TM}$의 인접부위에서는 가장 얕은 우식 양상과 재광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불소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유용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단백질체학을 이용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과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의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FSGS and MCNS Using Proteomic Method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Preliminary Study)

  • 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0-175
    • /
    • 2009
  • 목적 :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들은 어떤 종류의 약물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점차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사이의 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들에 대해 2차원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체로 분리한 후 실버 염색을 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결과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에서 서로 상반된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중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발현되는 부위를 잘라내어 단백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서만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단백질이 발현 되었다. 결론 : 상기 결과는 비록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태생리를 알기 위한 기초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은 향후 질병의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소견으로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경간 슬래브 중앙 소형박스(개구부)주변의 건조수축 거동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Shrinkage around Small Box of Short Span Slab)

  • 김상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323-328
    • /
    • 2016
  • 아파트의 슬래브에는 전기등박스 매입을 위한 소형 박스 개구부가 존재한다. 이 박스 개구부 주변에는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용접철망이나 플라스틱 링 등으로 보강한 상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경제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으로 보강을 한 슬래브 전기박스 주변의 건조 수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등박스 주변의 보강방법 대안은 기존에 여러 건설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철망보강안과 플라스틱링 보강안 및 보강을 하지 않은 무보강안 3가지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대상으로 한 아파트는 전용면적 $59m^2$ 이하의 소형평형을 대상으로 하였고 거실 등의 슬래브 하부에 전등박스 주변에 신축량 측정용 팁을 부착하고 컨텍게이지로 신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3가지 대안들에서 상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반적인 변형량은 $-264{\mu}{\varepsilon}{\sim}+216{\mu}{\varepsilon}$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한 변형량의 추이는 거푸집 탈형일 기준치에서 3~5주까지는 조금씩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수축(-)하는 경향을 띠고 있으며, 한두번의 측정을 제외하고는 변형률이 $+120{\mu}{\varepsilon}$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어, 콘크리트의 인장 균열 발생 가능성이 매우 거의 없었다.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 사구체신염에서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 혈뇨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Manifestation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with Gross Hematuria or Microscopic Hematuria)

  • 박수화;정은수;심창은;김기혁;이종국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159-165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지난 3여년간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 중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관찰하고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경과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일산 백병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3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의 평균 발병 연령은 8.85세 남녀 비는 1.1:1이었으며,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A군)은 17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B군)은 22례이었다. 두 군간의 부종, 핍뇨, 상기도 감염의 기왕력등의 빈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고혈압의 빈도는 A군 17례중 3례(17.6%), B군 22례중 11례(50.0%)로 B군에서 높았다. 검사 소견상 백혈구수, BUN, creatinine, ASO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보체치 C3와 C4는 B군에서 낮게 측정되었고 단백뇨의 정도를 나타내는 소변 내 단백/creatinine의 비와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은 A군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질환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이나 사망은 없었다. 결론: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가진 환아들(A군)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였던 환아들(B군)보다 고혈압의 빈도는 낮았으며, 단백뇨의 양은 많았다. 그러나 두 군간의 임상경과 및 예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상 환아 전례에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