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 Talented Childre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체육영재 프로그램을 통한 주의 집중력 변화 (Concentration Variation through Sport Talented Children's Training Program)

  • 안정덕;한남익;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3-354
    • /
    • 2012
  • 본연구의 목적은 체육영재로 선발되어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주의집중력 변화를 일반 어린이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010년 4월부터 부산대학교 체육영재선터에서 선발되어 훈련중인 59명(남:32, 여;27)이고, 통제군으로는 부산시 해운대구와 금정구, 진구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에서 148명이 참여하였는데, 이들 중 현재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거나 과학 분야에 영재로 선발되어 영재교육원에서 별도로 사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은 제외하고 최종 8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집중력 측정은 H. Moosbrugger & J. Oehlschagel이 제작하고, 오현숙[22]에 의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FAIR 주의집중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SAS 9.1 버전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체육영재집단과 일반학생집단 모두 FAIR 주의집중력 3개 하위요인에서 8개월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간 사후 측정값의 변화에서는 주의집중력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특히 사후 측정값을 활용한 일원변량분석에서도 집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스포츠영재들의 자아존중감 문항적합도 (Self-esteem item goodness-of-fit in sports talented children)

  • 김응준;김종규;이남주;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87-494
    • /
    • 2011
  • 본 연구는 글로벌 스포츠리더 양성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영재의 심리사회특성을 알아보는데 있어 기본적인 요인인 자아존중감의 문항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체육대학교 2010년 체육영재양성사업에 참여하여 체육영재로 선발된 아동 50명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고 통계분석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8문항에 대해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인 크론바 알파는 .785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항적합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WINSTEPS 3.70 (Linacre, 2010)을 사용하여 피험자신뢰도, 문항신뢰도,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척도의 난이도에 따른 적절성을 산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통계분석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피험자 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1~1.03 문항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1~1.01로 적합하였다. 둘째, 척도 범주수의 적절성에서는 단계지수로 판단한 결과 4점척도가 적합하였다. 셋째,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분석에서는 문항 2, 7, 8번 3문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척도의 적절성에서는 스포츠영재의 능력분포와 척도자체의 난이도면에서 판단할 때, 2, 7, 8번 문항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육영재의 영재성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 김광회;김원현;김도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79-586
    • /
    • 2015
  • 어린 초등학교 2~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훈련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권역별 대학교를 중심으로 체육영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2~6학년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및 잠재력 검사를 통해 선발운영토록 한다. 하지만 현재 시행 중인 이러한 선발방법은 체육영재 학생들에 대한 질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측정시점에서의 체력, 체격요인에 의하여 상위 순위에 의하여 체육영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써 대상 학생들에 대한 잠재적 능력의 평가 및 내재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영길(2011)의 경기지능을 바탕으로 체육영재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관찰방법에 기초한 영재성 판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회에 걸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체육영재 판별을 위한 하위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현장 지도자들의 관찰방법에 기초한 훈련지능, 학습능력, 실천지능의 요인별 16개의 평가문항을 개발,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문항은 체육영재 학생들의 질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며, 아울러 체육영재 선발을 위한 내재적 평가 방법으로의 활용도 기대해 본다.

하지근력의 좌우 비대칭성이 드롭랜딩 시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symmetric Muscle Force in the Lower Extremity on Dynamic Balance on during Drop Landing)

  • 김철주;이경일;홍완기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79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nalyse difference in biomechanical factors between dominant legs and recessive ones according to muscular imbalance during drop landing targeting talented children in spor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en primary students who are attending to Sports Program for Talented Children organized by C university (age: $12.28{\pm}0.70$ year, height: $1.52{\pm}0.11$ m, and weight: $45.2{\pm}4.9$ kg). Strength legs were classified into dominant side and strengthless legs were classified into non-dominant legs. For three-dimensional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6 video cameras(MotionMaster200, Visol, Korea) were used. To analyse ground reaction force, two force platforms(AMTI ORG-6, MA) were used and to analyse electromyograghy a 8-channeled wireless Noraxon Myoresearch made in USA was used at 1000 Hz for sampling.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dominants legs controlled knee bending motions more stably than strengthless legs as the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as significantly high in dominant legs(p<.05), and joint moment of knee joints of the dominant legs was high(p<.05).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njury prevention program focusing on muscular balance as well as the existing sports programs for talente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sports programs for talented children.

체육영재의 영재성 평가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 김광회;김원현;김도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65-4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김광회 등(2015)의 체육영재의 영재성 검사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이를 위하여 총 3회에 걸친 지도자 관찰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후 관찰평가 결과의 하위영역(실천지능, 학습지능, 훈련지능)과 영재 학생들의 체력 및 종목적합률(KOSTASS) 향상도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목별 지도자의 영재성 하위 영역간 상관성은 모든 영역에서 0.8 이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제자리멀리뛰기, 50m 달리기, 사이드스텝 테스트 향상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p<.05). 셋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KOSTASS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는 김광회 등(2015)이 제시한 영재성 평가도구가 체육영재 학생들의 기초체력 요인의 향상도 수준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학습과정이 요구되는 체력요인에 대한 상관결과는 체육영재성 평가도구가 학습과정 및 과제습득 수준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포츠탤런트 발굴 참여 아동의 체격 및 체력 요소 비교 (Comparison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in sports talent children with TES program)

  • 이미숙;어수주;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09-315
    • /
    • 2012
  •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스포츠탤런트 발굴육성 프로그램에 참가한 체육영재 아동들의 연도, 연령, 참가한 회수와 성별에 따른 체격 및 체력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스포츠탤런트 발굴 시스템의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TES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3년간 수도권 지역에서 서울 H대학에 지원한 7세~13세 체육영재 아동 (1회 참가자: 506명, 2회 참가자: 104명, 3회 참가자: 58명; 총 668명)들의 체격 및 체력 측정자료가 사용되었다. 성별을 분리해서 프로그램 참가 회수에 따른 체격 및 체력 변수의 변화는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체력과 체격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참가회수 증가에 따라 체격변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력변수에 있어서는 남자아동 (근지구력, p<.01; 순발력, p<.05; 민첩성, p<.01; 유연성, p<.01)과 여자아동 (근지구력, p<.01; 민첩성, p<.01)에 유의한 향상을 보여 스포츠탤런트 발굴육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