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 Leisure Activit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경호.경비요원의 여가 유형과 여가 태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guard Leisure Types and Attitude toward Leisure)

  • 정주섭;박정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31호
    • /
    • pp.101-123
    • /
    • 2012
  • 경호 경비요원의 삶과 생활은 일반인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현재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이미 주 5일 근무가 현실로 다가왔고 현재 일부 사업장의 주 40시간 근무제의 단계적 적용에 따라, 2012년 모든 사업장의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멀지 않은 앞날에 우리는 노동시간보다 개인시간이 많아져 여가를 고민해야하는 시대를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개인의 성향 및 가치관의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발생되고 요구될 만족스러운 여가활동 문화가 충족 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경호 경비요원의 생활 중 약간의 개인 시간 활용이 주어질 경우 경호 경비요원 자신의 충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Bagozzi(1981)는 태도, 의도 그리고 행동 모델에서 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의도는 다시 행동으로 영향을 준다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여가태도의 행동적 태도는 행동의도와 관련이 깊으므로 여가 만족감에 따른 참여의도는 여가활동 참여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활동과 취미 교양활동이 높은 참여를 나타났는데 이것이 바로 행동적 태도에 반영된 것으로 보여 진다. 행동적 태도는 여가활동과 경험에 관하여 개인의 과거의 경험, 현재의 의도 및 행동 패턴 등의 활동적인 면을 말한다. 따라서 행동적 태도는 행동의도와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여가활동 참여가 높은 사람이 그 만큼 여가태도의 행동적 태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여가 유형 중 스포츠 활동이 다른 여가 유형에 비하여 여가태도가 긍정적이다. 한편 여가 유형에 따른 여가태도의 하위 변인에 있어서 여가태도의 차이는 모두 스포츠 활동이 높다.

  • PDF

혈액 투석 환자의 운동 신념, 신체활동과 삶의 질 (The Attitude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 손현숙;이미진;강선미;한영옥;문경희;김동일;이윤주;전용관;추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5-2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s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QOL)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in a hemodialysis unit participated in this study. Physical activity level was measured directly by 6 minute walking test and grip strength test.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lso used for measuring their attitudes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OL. Participa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obtaining their biochemical and clinical inform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nts'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measured b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was found.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measured by Korea Activity Scale/Index (KASI)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QOL.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QOL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경량항공기 및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정보서비스를 위한 구성체계 연구 (The Study on Structures and Contents for Flight Information Service of Light Aircraft and Ultra-light Aircraft)

  • 최현식;문우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
    • /
    • 2014
  • The base of leisure air activities are consistently expanding and its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attributed to GDP growth and people's interest in its activity. Utilizing Visual Flight Rule, light sport aircrafts and ultra-light aircrafts are not under the effect of air traffic control center, which resulted in passenger injury due to emergency landing for adverse weather conditions and technical issues after pulling into mountain area, ocean and even urban area. Such events encouraged safety consciousness toward leisure aircraft activities and developing a measure to prevent a recurrence of the accident. This research focuses on suggesting compositive system for preven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by providing user based Flight information service and operating effective system, necessary for leisure aircraft activities.

보행 시 여성노인의 자세안정성과 지면형태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Postural Stability and Ground Type During Gait in Elderly Women)

  • 우병훈;박양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4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postural stability and ground type in elderly women subjects. Method : Fo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high group - age: $74.29{\pm}4.13yr$, height: $152.44{\pm}5.54cm$, weight: $57.43{\pm}6.16kg$, BMI: $24.77{\pm}2.99$, low group - age: $77.67{\pm}5.16yr$, height: $151.40{\pm}3.93cm$, weight: $60.92{\pm}6.40kg$, BMI: $26.59{\pm}2.57$). Wireless EMG with eight channels was used. Ground types were classified as flat and cushion. Results : In the double-support phase, left and right rectus femoris, left biceps femoris, left and right tibialis anterior, and left gastrocnemiu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al stability according to ground type. However right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with lower postural stability. In the single-support phase, left and right rectus femoris, right biceps femoris, and left and right tibialis anteri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al stability according to ground type. In addition, left biceps femoris ha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with lower postural stability. Left gastrocnemius ha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with higher postural stability and right gastrocnemius ha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on cushion ground. Conclusion : In a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cushion ground,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were high. As a result,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cushion ground could be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f falling.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의 여가활동실태 분석 (Analysi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Min Jok Leadership Academy Students's Leisure Activity Actual Condition)

  • 이훈식;송강영;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1-109
    • /
    • 2007
  • 한국과학 영재학교 학생들과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영재학교 166명 (남:122, 여:44), 민사고 184명(남:71, 여:11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남학생들은 스포츠에 여학생의 경우 영재학교는 취미교양 활동에 민사고는 관람 감상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가활동을 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 해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75\sim80%$정도가 여가활동이 건강과 체력 유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3) 혼자서 여가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30%정도였고, 계획 없이 여가활동을 실시한다는 응답도 영재학교 남학생 51%, 여학생 40%, 민사고는 남학생 40%, 여학생 48% 정도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4) 평일에 주로 영재학교 남학생들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였고, 민사고 남 여학생 및 영재학교 여학생 집단은 취미 교양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5) 남학생의 경우 영재학교 38%, 민사고기 54% 학생들이 평일에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여학생은 70% 정도가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남학생들이 민사고 남학생들 보다 컴퓨터 게임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6)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시험이나 과제로 인한 시간부족을 꼽았고, 게을러서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9\sim25%$나 되었다.

양발의 위치에 따른 스위스 볼 운동이 뒤넙다리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iss Ball Exercise on the Muscular Activity of Hamstring during Different Feet Position)

  • Jang, Yujin;Yoon, Sukho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4-219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hamstring musc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eet during Swiss ball hamstring curl exercise. Method: Total of 15 male participants with no history of hamstring muscle injurie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past 6 month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e: 29.27 ± 4.96 yrs, Height: 173.47 ± 5.18 cm, Body mass: 75.47 ± 12.50 kg). The muscle activation of semitendinosus and biceps femoris with four different feet positions including neutral stance,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and wide stance were measured during a Swiss ball hamstring curl exercise. For the analysis, the Swiss ball exercise movement comprised of 3 events (90°→ 0°→ 90°) based on the knee angle and 2 phases relative to the mechanism of muscle contraction (eccentric/concentric contraction). To pursue the study goal, an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α = 0.05.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eet position effect found during the Swiss ball hamstring curl with eccentric contraction phase (p>.05). It is, however, semitendinosus showed an enhanced muscle activation in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displaying the highest muscle activity in wide stance and the lowest in external rotation (p<.05).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is exercise can be beneficial in selectively training the semitendinosus. In other words, Swiss ball hamstring curls performed in wide stance strengthens semitendinosus, which improves the stability of knee and are effective in preventing knee injuries and reinforces rehabilitation.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 역할 재고를 위한 고찰 (A Study on Martial art for suggesting the role of Martial art Sports as a Leisure Activity)

  • 임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64-570
    • /
    • 2020
  • 본 연구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가관련 학술지의 키워드, 주제 등을 추출하여 국내 학술지의 무도관련 연도별 논문과 현황을 SPSS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였으며, 2016 국민생활체육 실태조사 보고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부터 2017년 사이의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와 '여가'를 키워드로 수집하였으며, 개별 연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텍스트 분석(interpretative textual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6 국민생활체육 참여실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생활체육 중 강습경험이 있는 종목 중 태권도가 6.1%로 상위 5개 종목 중 5위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교외 체육활동 참여 종목과 향후 가입하고 싶은 동호회 역시 태권도와 검도가 각각 1순위와 2순위로 확인되어 이미 무도스포츠는 생활스포츠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무도관련 연구는 2006년과 2010년 각 3편씩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나 2014년 이후에는 단 한편의 연구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절대적인 연구 편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관련 학회지의 연구 주제는 진지한 여가, 여자 대학생, 신체적 자기개념, 사회성 발달, 여가레크리에이션 수업, 직무만족, 생활만족, 수련, 여가제약 등으로 여가와 관련된 무도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학술지의 연도별 무도관련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 23편의 연구 중 2편이 여가를 주제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무도관련 연구와 여가관련 논문 수의 평균은 5.65%로 그 비율이 매우 낮다. 결론적으로 무도스포츠로서의 여가를 주제로 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개선을 통한 미래사회에서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활동으로서의 무도스포츠의 역할과 가치를 재고할 수 있는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Function Assumed of the Sports Leisure Industry in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for Senior Citizens

  • KIM, Ji-Hye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the sports and leisure sector to raising elderly citizens'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sport and leisure sector may give seniors a sense of safety and security by creating a safe atmosphere in which they can engage in activities and feel a part of their commun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Literature data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between the role of the sports leisure sector and living quality for senior citizens using a standardized data extraction form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after articles have been included in the review. Each study's data extraction includes details on the study's design, exposure, outcome metrics, and findings. Results: Based on the qualitative textual approach, the present author had figured out total four Functions assumed as follows: (A)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B)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 (C)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4) Emotional Wellbeing. Conclusions: All in all, professionals should try to give elders chanc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peer participation in order to foster a feeling of community and belonging. This might entail setting up groups or leagues for elders to engage in meaningful social activities, like hiking or sports.

여성의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hysical Self-efficacy by Sport Leisure Activity on Gener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for Women)

  • 이재형;윤진영;조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79-389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실내 수영장에서 수영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의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모든 일반적 자기효능감 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끈기/노력, 대인관계, 상황극복에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 대인관계 변수는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상황극복, 끈기/노력 변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0세 이하의 여성에서만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 변수 중 40세 이상에서는 끈기/노력, 40세 이하의 여성에서는 상황극복과 끈기/노력 변수가 생활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사상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Subjective Study on Sport Ideologies)

  • 유영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59-268
    • /
    • 2019
  • 본 연구는 스포츠사상에 대한 주관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체육과 관련한 교사, 교수, 연구원, 행정가 그리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 등 25명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제1유형은, '공정승패형'으로, 스포츠사상에 대해 승패, 공정판정, 각본 없는 드라마, 참가정신 등 스포츠경기와 관련한 진술문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은 '체육철학형'으로, 스포츠 사상에 대해 스포츠철학, 심신일원론, 호연지기, 화랑도정신 그리고 스포츠논리학 등 스포츠철학과 관련한 진술문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3유형은 '소통활동형'으로, 스포츠사상에 대해 소통의 장, 사회활동, 배려 등 스포츠의 참여활동과 관련한 진술문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4유형은 '건강복지형'으로, 스포츠사상에 대해 복지, 노후보장, 레저, 오락(게임), 건강 등 생활체육과 관련한 진술문에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