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ntaneous removal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1초

Bleomycin을 이용한 선천성 림프관기형의 경화요법 (Bleomycin Sclerotherapy of Lymphatic Maformation in Head and Neck)

  • 성명훈;장선오;정종우;김진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8-108
    • /
    • 1993
  • 두경부영역의 림프관계의 선천성 기형은 주로 낭포성 림프관종이라고 불리던 것으로 경부에 발생하는 단발 또는 다발성의 림프로 가득찬 종괴로 나타나며, 그 자세한 발생기전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많다.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해 주어야 하며, 크기가 큰 경우 생후 즉시 호흡곤란, 연하곤란 등이 생겨서 위험한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치료로는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나 다발성으로 생긴 경우 그 완전제거가 어렵고, 주위조직으로의 침윤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에 의한 합병증이나 재발 등이 야기될 수 있다. 최근 여러 가지 약제를 이용한 경화요법이 시도되어 왔는데, 저자들은 11명의 낭포성 림프관종을 가진 환아에서 bleomycin을 이용한 경화요법을 반복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비순 피판을 이용한 상악골 편측 괴사환자의 치험례 (A CLINICAL CASE OF UNILATERAL MAXILLARY DEFECT RECONSTRUCTION USING NASOLABIAL FLAP)

  • 이은영;김경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67-172
    • /
    • 2009
  • The maxilla rarely undergoes necrosis due to its rich vascularity. Maxillary necrosis can occur due to bacterial infections such as osteomyelitis. viral infections such as herpes zoster and fungal infections such as mucormycosis, aspergillosis etc. Herpes zoster is a common viral infection, the oral soft tissue manifestations of which are widely known and recognized. Extremely rare complications such as osteonecrosis, and secondary osteomyelitis in maxilla were observed. But, reports of spontaneous tooth exfoliation and jaw osteonecrosis following herpes zoster infection in the distribution of the trigeminal nerve are extremely rare in the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maxillary necrosis by herpes zoster in an uncontrolled diabetic patient. There was extensive necrosis of the buccal and palatal mucoperiosteum and exposure of the alveolar bone. This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using a removal of necrotic bone and nasolabial flap. We briefly discuss different diseases which can lead to maxillary necrosis and a review. Analysis of the pathogenesis of herpes zoster and bone necrosis are discussed.

Acid green-25 removal from wastewater by anion exchange membrane: Adsorption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 Khan, Muhammad Imran;Ansari, Tariq Mahmood;Zafar, Shagufta;Buzdar, Abdul Rehman;Khan, Muhammad Ali;Mumtaz, Fatima;Prapamonthon, Prasert;Akhtar, Mehwish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2호
    • /
    • pp.79-85
    • /
    • 2018
  • In this work, batch adsorption of anionic dye acid green-25 (AG-25) from aqueous solution has been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using anion exchange membrane (DF-120B) as a noval adsorbent. The effect of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contact time, membrane dosage, ionic strength and temperature on the adsorption of dye were investigated. Kinetic models namely pseudo-first-order, pseudo-second-order, Elovich, liquid film diffusion, Bangham and modified freundlich model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data. Parameters like adsorption capacities, rate constant and re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very model are calculated and discussed. It showed that adsorption of AG-25 onto DF-120B followed pseudo-first-order rate expression. Thermodynamic study indicates that adsorption of AG-25 onto DF-120B is an exothermic and spontaneous process.

Application of radiotracer technique in remediation of Zn(II) from aqueous solutions by dry cowdung powder

  • Shaikh, Sabrina Afzal;Bagla, Hemlata Kap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456-461
    • /
    • 2022
  • Heavy metal pollution is caused due to anthropogenic activities and is considered a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which endangers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biosorption, an eco-friendly technique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 Zn(II) from aqueous medium. Various natural materials have been explored for the uptake of metal ions, where most of them are physically or chemically enhanced. Dry cowdung powder (DCP) has been utilized as a low-cost, environmentally friendly humiresin without any pre-treatment, thus demonstrating the concept of Green Chemistry. Batch biosorption studies using 65Zn(II) tracer were performed and the impact of different experimental parameters was studied. Results revealed that at pH 6, 94 ± 2% of Zn(II) was effectively biosorbed in 5 min, at 303 K. The process was spontaneous and exothermic, following pseudo-second-order reaction. The mechanism of heavy metal biosorption employing green adsorbent was therefore elucid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method for removing Zn(II) ions. DCP has a lot of potential in the wastewater treatment industry, as seen by its ability to meet 3A's affordability, adaptability, and acceptability criteria. As a result, DCP emerges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challengers for green chemistry and the zero-waste idea.

Glyoxalase 1 as a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and Cancer Stem Cells

  • Ji-Young, Kim;Ji-Hye, Jung;Seung-Joon, Lee;Seon-Sook, Han;Seok-Ho, H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5권12호
    • /
    • pp.869-876
    • /
    • 2022
  • Methylglyoxal (MG) is a dicarbonyl compound formed in cells mainly by the spontaneous degradation of the triose phosphate intermediates of glycolysis. MG is a powerful precursor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which lead to strong dicarbonyl and oxidative stress. Although divergent functions of MG have been observed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MG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antitumor factor due to its cytotoxic effects within the oncologic domain. MG detoxification is carried out by the glyoxalase system. Glyoxalase 1 (Glo1), the ubiquitous glutathionedependent enzyme responsible for MG degradation, is considered to be a tumor promoting factor due to it catalyzing the removal of cytotoxic MG. Indeed, various cancer types exhibit increased expression and activity of Glo1 that closely correlate with tumor cell growth and metastasis. Furthermore, mounting evidence suggests that Glo1 contributes to cancer stem cell survival.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role of Glo1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cancer and its possible use a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tumor therapy. We also summarize therapeutic outcomes of Glo1 inhibitors as prospective treatments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소아의 위장관 이물질에 대한 임상적 고찰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이보형;이현경;김미정;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01
  • 1997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이물질을 삼켜 내원한 15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생빈도, 발생시간, 이물질의 크기와 종류 및 위장관내의 위치, 임상증상, 이물질에 의한 위내시경 소견, 이물질의 제거 혹은 자연 배출되기까지의 기간, 치료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총 37례 중 남아가 25예(67.5%) 여아가 12예(32.5%)였으며, 남녀비는 2.1:1이였다. 연령별 분포는 1세 이상 2세 미만이 7예(19%)로 가장 많았다. 이물질을 삼킨 시간별 분포는 오후 3시와 4시경이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이 오후에 발생하였다. 이물질의 종류로는 동전이 20예(54%), 손목에 끼는 팔찌자석, 바둑알, 탄력붕대를 고정하는 클립, 열쇠고리, 빨래집게에 부착된 C형의 클립이 각각 1예였다. 위장관내 이물질의 위치는 위장이 16예(43.2%)로 가장 많았으며 상부식도가 12예(32.5%), 소장이 5예(13.5%), 하부식도가 4예(10.8%)였다. 병원에 도착 당시의 임상증상은 무증상이 22예(59.4%)로 가장 많았으며, 구토가 7예(19.0%), 상복부 통증이 3예(8.1%), 오심과 연하곤란이 각각 2예(5.4%), 복통이 1예(2.7%)였다. 치료방법으로 이물질을 삼킨 총 37예 중 20예(54.0%)에서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었으며, 3예(8.1%)에서는 이물질의 자연 배출이 확인되었고, 수술적 제거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이물질을 삼킨 후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은 12예(52.2%)가 12시간 이내에 제거되었으며, 4예(17.4%)가 24시간 이내에 제거되었고, 가장 긴 기간은 7일이었다.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환아에서의 내시경 소견은 15예에서는 정상 소견이었으며, 5예에서 이물질에 의한 이상소견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을 시행한 경우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내시경을 시행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제거에는 위내시경이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란탄수산화물의 불소 흡착 특성 (Fluoride Sorption Property of Lanthanum Hydroxide)

  • 김정환;박현주;정경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14-7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 중의 불소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로서 란탄수산화물의 활용 가능서을 검토하였다. 란탄 수산화물을 대상으로 회분식 흡착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pH 영향, 흡착속도, 흡착등온 및 흡착에너지 등을 살펴보았다. 란탄수산화물은 pH 8.8 이하의 산성영역으로 갈수록 불소 제거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란탄수산화물의 불소 흡착평형은 Langmuir isotherm 보다는 Fruendlich isotherm 모델과 더 일치하였다. D-R 모델로부터 구한 흡착에너지는 9.21 kJ/mol로 이온교환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범위에 속하였으며, 흡착속도는 2차 속도모델과 일치하는 거동을 보였다. 열역학적 상수 ${\Delta}Go^{\circ}$, ${\Delta}H^{\circ}$${\Delta}S^{\circ}$는 란탄수산화물의 불소흡착특성이 자발적이고 흡열반응임을 나타냈다. 란탄수산화물은 1N NaOH로 재생 가능하며, 실 지하수에 대한 흡착실험 결과, 란탄수산화물이 PA보다 불소에 대한 이온선택성은 물론 제거율이 높았다.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96 Cases)

  • 이민혜;강기수;정혜성;서지현;임재영;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36-142
    • /
    • 2002
  •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DP-Lys (L18), a Synthetic Muramyl Dipeptide Derivative, Enhances Antitumor Activity of an Inactivated Tumor Vaccine

  • Yoo, Yung-Choon;Park, Seung-Yong;Lee, Kyung-Bok;Azuma, Ich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99-404
    • /
    • 2000
  • The adjuvant effect of a muramyl dipeptide (MDP) derivative, MDP-Lys(L18), on enhancing of antitumor immunity induced by X-irradiated tumor cells against highly metastatic B16-BL6 melanoma cells was examined in mice. Mice immunized intradermally (i.d.) with a mixture of X-irradiated B16-BL6 cells and MDP-Lys (L18) [Vac+MDP-Lys (L18)] followed by an intravenous (i.v.)inoculation of $10^4$ viable tumor cells 7 days after immunization, show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B16-BL6 melanoma cells. The most effective immunization for the prophylactic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was obtained from the mixture of $100{\;}\mu\textrm{g}$ of MDP-Lys (L18) and $10^4$ X-irradiatied tumor vaccine. Furthermore, immunization of mice with Vac+MDP-Lys(L18), 3 days after tumor challenge, resulted in a significant inhibition of lung metastasis of B16-BL6 melanoma cells in a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model. Similarly, the administration of Vac+MDP-Lys(L18), 1 or 7 days after tumor removal, marked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of B16-BL6 in a spontaneous lung metastasis model. When Vac+MDP-Lys (L18) was i.d. administered 3 days after subcutaneous (s.c.) inoculation of tumor cells ($5{\times}10^5/site$) on the back, mice treated with Vac+MDP-Lys(L18) showed inhibition of significantly tumor growth on day 20. These results suggest that MDP-Lys (L18) is able to enhance antitumor activity induced by X-irradiated tumor vaccine to reduce lung metastasis of tumor cells, and is a potent immunomodulating agent which may be applied prophylactically as well as therapeutically to treatment of cancer metastasis.

  • PDF

Carbachol Regulates Pacemaker Activities in Cultured Interstitial Cells of Cajal from the Mouse Small Intestine

  • So, Keum Young;Kim, Sang Hun;Sohn, Hong Moon;Choi, Soo Jin;Parajuli, Shankar Prasad;Choi, Seok;Yeum, Cheol Ho;Yoon, Pyung Jin;Jun, Jae Yeou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5호
    • /
    • pp.525-531
    • /
    • 2009
  • We studied the effect of carbachol on pacemaker currents in cultured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from the mouse small intestine by muscarinic stimulation using a whole cell patch clamp technique and $Ca^{2+}$-imaging. ICC generated periodic pacemaker potentials in the current-clamp mode and generated spontaneous inward pacemaker currents at a holding potential of -70 mV. Exposure to carbachol depolarized the membrane and produced tonic inward pacemaker currents with a decrease in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pacemaker currents. The effects of carbachol were blocked by 1-dimethyl-4-diphenylacetoxypiperidinium, a muscarinic $M_3$ receptor antagonist, but not by methotramine, a muscarinic $M_2$ receptor antagonist. Intracellular $GDP-{\beta}-S$ suppressed the carbachol-induced effects. Carbachol-induced effects were blocked by external $Na^+$-free solution and by flufenamic acid,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blocker, and in the presence of thapsigargin, a $Ca^{2+}$-ATPase inhibitor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However, carbachol still produced tonic inward pacemaker currents with the removal of external $Ca^{2+}$. In recording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using fluo 3-AM dye, carbachol increased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with increasing of $Ca^{2+}$ oscil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bachol modulates the pacemaker activity of ICC through the activation of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via muscarinic $M_3$ receptors by a G-protein dependent intracellular $Ca^{2+}$ release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