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nal canal spac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C2 Segmental-Type Vertebral Artery Diagnosed Using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 Kim, Myoung 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2호
    • /
    • pp.194-200
    • /
    • 2018
  • Objective : Sometimes a vertebral artery (VA) enters the spinal canal via the C1-2 intervertebral space, a variation regarded as a C2 segmental-type VA. This paper describes the anatomy of the C2 segmental-type VA and reviews its clinical importance. Methods : Between March 2014 and November 2015, 3386 patient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I identified C2 segmental-type VAs, associated vascular variation, the origin of ipsilater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ies (PICAs), and the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C2 segmental-type VAs. The origin of an ipsilateral PICA is divided into 5 types. A type 1 PICA originates from ipsilateral VAs coursing suboccipitally (IVASO), a type 2 originates from ipsilateral proximal C2 segmental-type VAs, a type 3 originates from ipsilateral distal C2 segmental-type VAs. For type 4, the PICA does not originate from an ipsilateral VA. For type 5, the PICA is the terminal end of an ipsilateral C2 segmental-type VA. Results : One hundred thirteen patients had 121 C2 segmental-type VAs; 47 were associated with an IVASO, and 74 were not. Four type 1, 13 type 2, 60 type 3, 42 type 4, and two type 5 PICAs were identified. Only one patient showed symptoms associated with a C2 segmental-type VA, being a 71-year-old man presenting with a C2 segmental-type VA infarction. Conclusion : For C2 segmental-type VAs, the ipsilateral IVASO and origin of the PICA are important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this type of VA infarction.

천골강내로 주입한 Morphine에 의한 상.하복부 수술후 진통효과 (Caudal M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Abdominal Surgery)

  • 우남식;윤덕미;오흥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1호
    • /
    • pp.74-79
    • /
    • 1988
  • Caudal narcotic analgesia was assesses after the injection of 3mg morphine diluted in 30ml (physiologic) saline into the sacral canal in 15 Patients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in 20 patients after lower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in 20 patients after perianal surgery under caudal block. Pain relief was evaluated by the subsequent need for systemic analgesics. All eases had considerable relief from pain an4 the morphine was effective for 12 or more hou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ances between pain relief of the upper abdominal and lower abdominal surgery group, upper abdominal and perianal surgery group, and lower abdominal and perianal surgery group (p>0.05, p>0.05, p>0.05). It is suggested that the morphine, which was administered into the sacral, cannal, reached the subarachnoid space and produced it's effect by direct action on the specific opiate receptors in the substantia gelatinosa of th.8 posterior horn cell of the spinal cord. Consequently, whether analgesia from epidural narcotics appears to be segmental in distribution or not is still in controversy.

  • PDF

경추부 경막외 차단 중 발생한 경막하 주사의 영상 소견 -증례보고- (Accidental Subdural Injection during Attempted Cervical Epidural Block: Radiologic Evidence -A case report-)

  • 고현학;김지수;이재준;황성미;임소영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1호
    • /
    • pp.83-87
    • /
    • 2009
  • Case reports after accidental subdural injection during attempted epidural block have usually described extensive neuraxial blocks with a characteristic radiographic appearance on contrast injec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cervical subdural injection with unusual clinical findings and radiographic appearance. A 51-year-old female patient with central herniated nucleus pulposus at cervical (C5/6) and lumbar level (L4/5, L5/S1) was referred to the pain clinic. During attempted cervical epidural block at the C6/7 interspace with fluoroscopy, injection of the 4 ml contrast showed posterior spread at cervical level. After cervic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the contrast was also confined to the posterior aspect of the spinal canal at lumbar level with fluoroscopy. In order to discriminate subdural space from epidural space, we performed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of the 2 ml contrast at the L5/S1 interspace and we could confirm cervical epidural injection was made into the subdural space. We discu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subdural injec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cervical and lumbar subdurogram.

초음파를 이용한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결과 비교 -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vs Spinal Stenosis -)

  • 김영태;조규정;안치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2014
  • 목적: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효과적으로 외래환자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시술되어도 25%의 실패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유효성을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를 복와위 자세로 눕힌 후 방사형 탐지자(round probe)를 이용하여 22게이지 바늘이 천-미추막을 통과한 것을 확인 후 약물을 투여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은 31명이었으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은 24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시행 전, 시행 후, 시행 2주 후, 시행 4주 후 전화 인터뷰와 외래 방문 시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55예 중 53예에서 바늘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어 9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는 추간판 탈출증군에서 $42.3{\pm}10.8$세로 척추관 협착증군의 $62.8{\pm}15.1$세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각통증척도는 추간판 탈출증 군에서 시행 전 6.8, 시행 후 3.1, 시행 2주 후 1.8, 시행 4주 후 1.77로 나타났으며, 척추관 협착증 군에서 시행 전6.9, 시행 후 3.6, 시행 2주 후 4.3, 시행 4주 후 4.9로 나타났다.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시각통증척도는 양 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나이를 보정한 후의 결과, 시간에 따라 양 군간 시각통증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 비해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척추염의 방사선학적 분석 (Radiologic Analysis of Tuberculous Spondylitis)

  • 황미수;김선용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95-102
    • /
    • 1986
  • 본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86년 9월까지 영남의료원에서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받은 30예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병변부위는 흉추와 요추부위가 많다. 2. 86.7%에서 연결형으로 나타났다. 3. 척추간결핵이 73.3%였으며, 골파괴는 환산성과 경화성이 각각 같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4. 척추주위농양, 추간원판간격의 협소, 척추후만증은 80.0%이상에서 나타났다. 5. 전산화단층촬영은 병변의 침범정도, 척수 및 척관의 상태, 척추주위 농양 및 육아조직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등을 정확히 보여주었으며, 농양 배출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었다. 6. 초음파검사는 척추주위농양, 특히 장요근의 농양의 진단에 도움을 주었고, 치료후 추적조사에 많이 이용하였다.

  • PDF

흉강입구를 침범한 종양의 근골보존 경흉골병 접근술을 이용한 치유 -1예 보고- (Treatment of Tumor Involving Thoracic Inlet by Using Transmanubrial Osteomuscular Sparing Approach - One case report-)

  • 최찬영;김욱성;류지윤;장우익;김민경;조성준;김연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75-179
    • /
    • 2005
  • 흉강입구를 침범한 종양을 근골보존 경흉골병 접근술을 이용하여 수술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우측 상지의 근력 약화를 주소로 69세의 남자 환자가 내원하였다.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우측 폐 상엽에 기관지 확장증, 만성 결핵과 진균덩이가 관찰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종양이 제 6, 7번 경추와 제 1번 흉추의 척추강내 경막외에 위치하며 우측 흉곽 첨부에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신경외과에서 먼저 후궁절제술을 시행하여 척추강 안의 종양을 절제한 후, 흉부외과에서 근골보존 경흉골병 접근술을 통하여 흉강입구를 침범한 종양을 제거하였다. 종양은 혈관외피세포종으로 진단되었으며, 환자는 수술 후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요추 분리추간판의 영상 소견 (Imaging of Sequestered Lumbar Discs)

  • 정강원;박희철;이선주;박대현;팽성화;이영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3-23
    • /
    • 2024
  • 임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추간판탈출증 중 분리추간판은 추간판의 성분이 원래의 수질핵과 완전히 분리되는 특별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리추간판은 척추관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주변 구조물에 압력을 가하거나 신경 경로를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경막 내에 위치한 분리추간판의 경우, 경막절개술을 통해서만 병변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에 분리추간판의 정확한 위치와 범위를 파악하는 것은 수술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분리추간판은 초기에는 모체 추간판과 유사한 신호강도를 보이지만 이후 독립적인 퇴행 변화를 거치며 신호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분리추간판 조각은 염증 반응의 결과로 인해 인접한 혈관발생과 육아조직의 형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주변 조영증강을 보일 수 있다. 이종설에서는 분리추간판의 다양한 영상 소견과 위치를 소개하여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