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haerotheca fuligine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45초

흰가루병균(病菌) Sphaerotheca fuliginea(Schlecht. ex Fr.) Poll. s. lat.의 한국산(韓國産) 미기록기주식물(未記錄寄主植物) (Additional Hosts of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 ex Fr.) Poll. s. lat., a Powdery Mildew Fungus, in Korea)

  • 신현동;나용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59-163
    • /
    • 1984
  •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 ex Fr.) Poll.의 기주식물(寄主植物)로 한국(韓國)에서는 13종(種)이 기록(記錄)되었다. 저자(著者)들은 여기에 10종(種)의 한국산(韓國産) 미기록기주식물(未記錄寄主植物)을 추가(追加)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S. fuliginea의 분류(分類)는 Blumer의 방식(方式)을 따랐다.

  • PDF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Safflower Caused by Sphaerotheca fuliginea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Lee, Heung-Su;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28권1호
    • /
    • pp.51-53
    • /
    • 2000
  • The powdery mildew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extensively occurred at 1999 at the experimental farm of Ky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Both sides of the leaves and the older stems were covered with the fungus, and then the leaves and stems turned yellow. The conidia, conidiophores and perithecia were observed on the leaf lesion. Perithecia were ellipsoidal, $80-117\;{\mu}m$ in diameter. Asci were subglobose and $84{\sim}99{\times}59{\sim}73\;{\mu}m$ in size. Ascospore were ellipsoidal to ovoid, and $15{\sim}34{\times}11{\sim}23\;{\mu}m$ in size. Conidia were ellipsoid to barrel-shaped, $25{\sim}37{\times}11{\sim}22\;{\mu}m$ in size and formed in long chains.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Sphaerotheca fuligine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owdery mildew of safflower caused by Sphaerotheca fuliginea in Korea.

  • PD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기생적 특성 (Parasitic Characteristics o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to Powdery Mildew Fungus of Cucumber)

  • 이상엽;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6-122
    • /
    • 2001
  • 흰가루병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된 Ampelomyces quisqualis94013(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처리하여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에 대한 침입과정을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포자현탁액 처리 후 4시간 만에 포자가 흰가루병균의 분생포자, 분생자경 및 균사위에서 발아하고, 17시간 후에는 유사부착기가 형성되어 흰가루병균의 균사에 부착되었다. 24시간 후에는 균사내에 침입하였으며, 44시간 후에는 흰가루병균의 균사와 분생자경의 하부에 AQ94013의 병자각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48시간 후에는 병자각이 성숙되었으며, 52시간 후에는 병자각의 공구에서 병포자가 분출되고, 흰가루병균의 균사 및 분생자경은 변형되어 죽었다. 한편,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배양여액을 농축하여 처리한 결과에서 물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흰가루병균에 대한 감염기작은 A. quisqualis 94013가 독소생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기생에 의하여 흰가루병균을 죽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에 관한 소고 (Notes on Powdery Mildew of Dahlia in Korea)

  • 신현동;이현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234-236
    • /
    • 1999
  • 한국에서 다알리아의 흰가루병균으로 Sphaerotheca fuliginea가 기록되었다. 그러나, 1993년 이후본인들이 채집한 6개 시료의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은 모두 분생포자에 fibrosin체를 함유하지 않으며 분생포자경에 형성된 외선이 능상(陵狀)이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한국에서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은 Erysiphe cichoracearum이 확실하다. 한편, 독립된 화분에 심겨진 1그루의 다알리아에서 S. fusca(=S. fuliginea s. lat.)가 흰가루병균으로 동정되었지만, 발병양상으로 보아 우연한 감염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에는 2종의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이 분포하지만 E. cichoracearum이 다알리아 흰가루병의 주요 원인균이다.

  • PDF

Ultrastructural Study on Induced Resistance of Cucumber Plants against Sphaerotheca fuliginea by Oligochitosan

  • Ma, Qing;Zhao, Xiao-Ming;Sun, Hui;Shang, Hong-She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8-13
    • /
    • 2011
  • The induced resistance of cucumber leaves treated with oligochitosan to the infection of the cucumber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liginea, was investigat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plants were treated with oligochitosan and challenged with inoculum,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disease occurred. The mycelial development in the treated leaves was markedly inhibited. The cytoplasm of the powdery mildew mycelium was aggregated, with its organelles disintegrated and the cytoplasm collapsed. The protoplasm in haustoria became electron-dense. Haustoria became malformed, their organelles disintegrated, the hausterial wall thickened and eventually the whole complex necrotized. The host cells produced defence structures and materials associated with infection and a hypersensitive response. The host cell wall was thickened and deeply stained; several layers of papilla structure were produced under the cell wall; dark materials were deposited between the cell wall and plasmalemma; extrahaustorial plasmalemma was deeply stained and extrahaustorial matrix appositions had large deposits of electron-dense material; the cytoplasm was disordered, host organelles disintegrated and eventually the whole host cell disintegrated and necrotized.

한국산 미기록 백섭병균류에 관한 연구 (Unrecorded causal organisms of Korean Powdery)

  • 이호준;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3
    • /
    • 1967
  • Fifty-two specimens of the infected plants were collected from areas through the country during the year of 1965. We report here 14 unrecorded specoe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Artemisia princeps PAMPAN. var. orien-talls HARA.) 2.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Plantago sp.) 3.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Sonchus oleraceus L.) 4. Erysiphe pisi DE CANDOLLE. (Host: Lespedeza sp.) 5. Erysiphe polygoni DE CANDOLLE. (Host: Clematis patens MORR et DECAIS.) 6. Microsphaera alphitoides GRIFFITHS et MAUBLANCE (Uncinula bifurcata GERARD.) (Host: Quercus serrate GERARD) 7. Microsphaera baumleri MAGNUS. (Host: Robinia pseud-acacia L.) 8. Microsphaera coryli HOMMA. (Host: Corylus heterophylla FISCH. var. japonica KOIDZUMI) 9. Podosphaera tridactyla (WALLROTH) DE BARY. (Host: Prunus leveilleana KOEHN. var. typica NAKAI) 10.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Impatiens balsamina L.) 11.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Zinnia elegans JACQ) 12. Uncinula aceris SACCARDO (Host: Acer negundo L.) 13. Uncinula fraxini MIYABE(U. salmon SYDOW) (Host: Fraxinus rhynchophyllus HANCE.) 14. Uncinula salicis (DE CANDOLLE) WINTER. (Host: Salix gracilistyla MIQ.)

  • PDF

호박 흰가루병의 피해 해석 및 경제적 방제수준 설정 (Yield Loss Assessment and Economic Thresholds of Squash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liginea)

  • 문윤기;최준근;강안석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85-289
    • /
    • 2010
  • 호박 흰가루병의 수량감수 모델, 요방제 수준 및 경제적 방제수준을 산출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년간 포장에서 시험하였다. 호박 흰가루병은 정식 후 50일경인 6월 하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 하순~8월 상순에 가장 심하였고,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흰가루병의 발병정도와 수확 과실수, 과실의 생체중, 수량(생체중$\times$수확 과실수)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고 생체중과 상품과율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흰가루병의 발병수준(X)에 따른 호박의 수량(Y) 추정 단순직선회귀식은 Y = -10.399X + 6607.5였고 결정계수($R^2$)는 0.9700으로 모델의 적합도가 매우 높았다. 방제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흰 가루병의 요방제 수준은 병반면적율 6.5%였으며, 방제비용을 정당화 시킬 수 있는 경제적 피해수준은 병반면적율 21.6%였고, 농가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경제적 방제수준은 병반면적율 17.3%로 산출되었다.

Acetoxycycloheximide의 생리활성 및 과 생산균주 (Biological Activity of Acetoxycycloheximide and Its Producing Microoganism)

  • Kim, Si-Kwan;Kim, Chang-H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7-312
    • /
    • 1989
  • 77-AG-567 균주는 Pyricularia oryzae와 Sphasrotheca fuliginea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활성 물질을 정제해 가는 과정에서 이 균주는 blasticidin S와 또 다른 항생물질을 동시에 생산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화합물은 UV 및 $^1$H NMR 스펙트럼에 의해 E-73이라고도 일컬어지는 acetoxycycloheximide로 밝혀졌다. 균주를 동정해본 결과 77-AG-567균주는 Streptomyces atbutus로 판단되며 지금까지 blasticidin S와 acetoxycycloheximid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온 S. albulus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주목할만한 차이점은 포자의 표면이였다. 또한 acetoxycycloheximide는 지금까지 효모와 종양세포에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실험결과 Pyricularia oryzae와 Sphasrotheca fuliginea에도 항균활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한국산 미기록 백삽병균류에 관한 연구 2 (Unrecorded causal organisms of Korean powdwery (II))

  • 이호준;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8
    • /
    • 1969
  • Twenty-nine specimens of the infected plans were collected from areas through the country since 1967 to 1968. We report here four unrecorded causla organisms of powdery and their host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work. The results as as follows : 1. Microsphaera diffusa Cooke et Peck (M.magnoliae Sawoda) (Host:Magnolia obovata Thunb.) 2. Sphaerotheca humili (de Condolle0Burill. (Host: Spirea sp.) 3. Phyllactinea fraxini (de Condolle)Homma. (Host : Betuls sp.) 4. Uncinula sengorui.Salmon.(Host : Celastrus orbiculatus, Thunb.) * Six unrecorded host 1. Altemisia japonica. Thunb. (Pathogen : Erysiohe cichoracearum DC.) 2. Aster tataricus. L. (Pathogen :So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3. Dohlia variabilis Defont. (Pathogen :Sphaerothe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5. Helianthus ammues (Pathogen :Sph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6. Solanum melangera L. (Pathogen : Erysiphe cichoracearum D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