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rm motility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31초

인삼(人蔘)이 생쥐의 남성 생식세포 GC-1 spermatogonia의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s of PanaX ginseng in Mouse GC-1 Spennatogonia Cells)

  • 심경준;강지웅;최봉재;박수연;장문석;박성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3-98
    • /
    • 2009
  • Objectives : Previously we reported that the roots of Panax ginseng C.A. Meyer (Araliaceae) increased sperm count and motility. also induced spermatogenesis via cAMP-responsive element modulator(CREM) activation in rat teste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step of spermatogenesis in germ cell lin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were examined in mouse GC-1 spermatogonia cells. Methods : The extract was studied on 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GC-1 cell viability by a modified MIT assay. H202-induced cytotoxicity by MIT assay and lipid peroxidation by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 scavenged DPPH radical with the IC50 being 0.631 mg/mi. The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5, and 10, 50, 100, 250 ${\mu}$g/mi increased GC-1 cell viability significantly(p < 0.05, and p < O.O1).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73.8%, p < O.O1) was blocked by the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250, 500 ${\mu}$g/ml significantly (p < 0.05, and p < O.O1). The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10. and 50 ${\mu}$g/ml decreased the MDA formation on hydrogen peroxide-induced lipid peroxidation.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extract of Panax ginseng ha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increases the survival rate of GC-1 spg cells against $H_20_2$-induced cytotoxicity.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시 Ethylene Glycol의 농도와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생존율 및 첨체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and Freezing Speed on Post-thawed Semen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in Korean Jeju Black Bull)

  • 최선호;고민희;강태영;조상래;박용상;오신애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377-3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주흑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증식을 위한 안정적인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주흑우의 정액 동결 제조에 있어 동결 융해 후 ethylene glycol이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그리고 첨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흑우의 동결정액제조시 5%의 ethylene glycol의 첨가가 $72.5{\pm}5.00%$의 활력과 $54.88{\pm}0.66%$의 생존율 그리고 $46.00{\pm}2.40%$의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내 3%와 5%의 ethylene glycol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또한, 7% glycerol을 사용한 실험구와 비교하였을 때 5% ethylene glycol을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3 cm, 5분 예비동결 실험구에서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Ethylene glycol이 정자의 첨체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5%와 7%의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첨체가 보호되어 F pattern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기 첨체 반응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그러나 7%의 glycerol과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와 7% ethylene glycol 사이의 유의적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첨체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역시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과 같이 3 cm, 5분 예비동결 시 유의적인 F pattern의 감소와 조기 첨체 반응에 의한 AR paattern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ethylene glycol과 예비동결 조건의 조합으로 나타난 결과를 활용하여, 희소가축의 생식세포 보존 및 유전자원 확립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생존율과 운동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희석제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Blood Metabolite in Mice)

  • 박동헌;장현용;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57-966
    • /
    • 2004
  • 본 연구는 내분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웅성 생쥐에 BPA를 체중 kg당 무처리구, 대조구, 0.05, 0.5 및 5.0mg BPA을 투여한 구에서 실험개시시와 실험종료시의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정자농도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정자농도를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무처리구,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BU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개시시 체중, 실험종료시 체중 및 자궁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P<0.05), 왼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자성 생쥐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BUN의 함량은 BPA 투여구가 대조구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P<0.05).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중인 생쥐에 Bisphenol A 투여 후 태어난 차산자의 생식독성과 혈액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Toxicant and Blood Metabolite in Pups Born After Bisphenol A Administration in Pregnant Mice)

  • 박동헌;장현용;김정익;정희태;박춘근;양부근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67-173
    • /
    • 2005
  • Bisphenol A (BPA) is a monomer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ultitude of chemical products, including epoxy resins and polycarbona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PA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blood hematological and chemical values in offspring of pregnant dams treated with BPA. BPA was administrated to pregnant mice by intraperitoneally injection with 0, 0.05, 0.5 and 5.0 mg/kg B.W. for 5 times at 3 days interval on gestation days 1-16.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effects of BPA on reproductive organ weight in male offsprings at 45 days-of-age, but body weight was the lowest in 5.0mg BPA group when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No differences in semen characteristics (sperm concentration, viability, motility and abnorma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BPA treatment groups. The W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BUN and total protein of blood hematological and chemical values in male offsprings were not difference for any treatment groups, but RBC value in BPA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 PLT value was slightly higher in 5.0mg BPA groups than in any other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female offsprings, the effects of BPA didn't affect to the body and ovary weight, but the uterus weight in 5.0mg BPA group was slightly heavi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hematological values in female offspring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BPA groups, but the concentration of albumin and BU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0.5mg BPA group when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BPA treatment groups (P<0.05). The histological evaluation of testis and ovary in growing offspring at 45 days-of-age was no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BPA groups, but endometriosis of the uterus in female offspring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0.5 and 5.0mg BPA groups. These founding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 of BPA might not have a important role on reproductive ability or blood metabolite in offspring of pregnant dams treated with BPA.

2-Bromopropane의 수컷 랫트를 이용한 고환 독성시험 (Testicular Toxicity of 2-Bromopropane in Male Sprague-Dawley Rats)

  • Cha, Sang-Eun;Park, Sang-Rae;Kim, Kgu-Hwan;Choi, Jeung-Suk;Kim, Sung-Kuk;Jeon, Tae-W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23-130
    • /
    • 2000
  • 택트 스위치 제조공정 침지액의 주성분인 2-bromopropane독성에 대한 연구로 최단기의 폭로로 농도를 달리하여 3주간 반복 투여 시험을 시행하여, 흰쥐의 혈액 및 세정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투여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 고환, 간, 신장 등의 장기무게, 혈액화학과 혈액학적 분석 및 고환의 병리조직의 변화 등을 관찰하여 2-bromopropane의 급성투여 조건에서의 중독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에 따른 체중변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1.000 mg/kg 투여군에서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구용적과 혈색소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p<0.05)를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정 소에서는 세정관의 정조세포와 정모세포의 괴사를 볼 수 있었고, 기저막의 비후, 세정관의 Sertoli세포는 광범위하게 세포질성 공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간질조직에서는 Leydig 세포의 증식을 볼 수 있었다. 2-bromopropane의 손상부위는 조혈과 생식계가 표적으로 생각되며, 고농도 투여가 저농도 투여에 비해 독성이 심하며 독성물질의 양-반응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PDF

In Vitro 고삼투압이 정자 원형질막의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Effect of High Osmolality on Plasma Membrane Activities in the Spermatozoa)

  • 오영근;장재호;최인호;정노팔;신형철;곽병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7-244
    • /
    • 2000
  • 정자의 원형질막은 삼투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중 세포막내 분자구조의 변화 특히 막지질 구조의 변화와 동반되는 이온채널의 변화 그리고 $Ca^{2+}$과 HCO$^{-}_{3}$의 유동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정자의 첨체반웅 (acrosome reaction)이 일어날 경우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증가되는데 이것은 cAMP, protein kinase A 둥을 통하여 작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막의 지질변화를 유도하는 물질로 일종의 sterol acceptor인 BSA가 알려져 있는 바, 실제로 BSA가 막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cholesterol이 유출되고 이온 둥의 유동성 변화가 일어나, 이 유동성 변화가 정자의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켜 cAMP를 증가시키고, PKA가 활성화되어 결과적으로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유도된다고 보는 것이다. 첨체반응과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자 원형질막에서 cholesterol이 유출되어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유도될 때, BSA와 같은 sterol acceptor가 작용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고삼투압 하에서 탈수로 인해 원형질막이 위축되더라도 sterol acceptor가 존재한다면 막지질 성분의 구조적 변화가 억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저온 및 고삼투압 하에서 정자운동은 감소되지만 원형질막의 구조적 변화는 없고, 삼투압에 대한 반응정도는 원형질막을 통한 수분이동과 세포공적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일어난다고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정자보존에 있어서 저온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 특히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시해 준다. 또한 sterol acceptor로 알려진 BSA는 삼투압이 변화되더라도 역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고삼투압으로의 변화는 cAMP와 protein kinase A를 거치는 신호전달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uteinizing hormone beta gene polymorphism and its effect on semen quality traits and luteinizing hormone concentrations in Murrah buffalo bulls

  • Reen, Jagish Kour;Kerekoppa, Ramesha;Deginal, Revanasiddu;Ahirwar, Maneesh Kumar;Kannegundla, Uday;Chandra, Satish;Palat, Divya;Das, Dayal Nitai;Kataktalware, Mukund Amritrao;Jeyakumar, Sakthivel;Isloor, Shri krish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119-1126
    • /
    • 2018
  • Objective: Present investigation was aimed to study the Single Nucleotide Variants of the luteinizing hormone beta ($LH{\beta}$) gene and to analyze their association with the semen quality (fresh and post-thawed frozen semen) and luteinizing hormone (LH) concentrations in Murrah buffalo bulls. Methods: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PCR-SSCP) and Sanger sequencing method is used to study genetic variability in $LH{\beta}$ gene. LH assay was carried out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 A fixed general linear model was used to analyze associ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of $LH{\beta}$ gene with semen quality in 109 and LH concentrations in 80 Murrah bulls. Results: $LH{\beta}$ gene was found to be polymorphic. Total six SNPs were identified in $LH{\beta}$ gene g C356090A, g C356113T, g A356701G, g G355869A, g G356330C, and g G356606T. Single 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variants of pattern 2 of exon 1+pattern 2 of exon 2+pattern 1 of exon 3 had highly significant (p<0.01) effect on sperm concentration (million/mL), percent mass motility, acrosome integrity and membrane integrity in fresh and frozen semen whereas significant (p<0.05) effect was observed on percent live spermatozoa. SSCP variants of pattern 2 of exon 1+pattern 2 of exon 2+pattern 1 of exon 3 had highly significant (p<0.01) effect on luteinizing hormone concentrations too. Conclusion: The observed association between SSCP variants of $LH{\beta}$ gene with semen quality parameters and LH concentrations indicated the possibilities of using $LH{\beta}$ as a candidate gene for identification of markers for semen quality traits and LH concentrations in Murrah buffaloes.

정자직접주입술에 있어 Vero Cells 공배양이 인간 정소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ero Cells Coculturing on the Motility of Human Testicular Spermatozoa in a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Program)

  • 김현규;엄기붕;김현주;고정재;이숙환;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225-232
    • /
    • 1997
  • 폐색성 혹은 비폐색성 무정자증에서 부정소 정자채취법 등이 부적절하다고 여겨질때는 정소 조직을 일부 절제하여 그 조직으로부터 정자를 직접 채취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렇게 정소로부터 추출한 정소정자는 운동성이 전혀 없거나 매우 약한 운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소정자를 Vero cell과 공배양을 시킴으로써 운동성을 획득시키거나 향상시키고 이를 수정시키는 시기까지 지속시킴으로써 정소정자추출술 (TESE)을 시행하는 환자나 의료진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융통성있는 시간대를 부여하고, 아울러 정자직접주입술 (ICSI)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성공적인 수정률과 임신율을 얻음에 있다. 또한 ICSI를 시행한 후, 운동성이 향상된 잉여의 정소정자를 냉동보존함으로써 차후에 TESE을 다시 시행치않고도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도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잇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상환자군은 정관폐색증(n=11) 혹은 비정관폐색증(n=2)을 보이는 13명의 무정자증의 남성불임환자였으며 난자회수예정일 3일전에 TESE를 시행하여 정소정자를 얻은 후 이를 정자직접주입술이 시행되는 당일까지 Vero cell과 공배양을 실시하였다. Vero cell과의 공배양에 의하여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는 공배양전과 비교하여 평균 3.3배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공배양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가 50,000/ml이하의 미약한 운동성만을 보였던 경우 (n=5)에는 공배양 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 수의 평균증가율이 7.7배였다. 공배양전 정자운동성이 전혀 없었던 2례의 비정관폐색증환자중 3일간의 공배양을 통하여 1례에서 운동성을 획득한 정소정자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300/ml), 정자직접주입술을 통하여 성공적인 수정 및 임신에 도달할 수 있었다. Vero cell과 공배양을 하고 ICSI했던 결과, 평균 수정률은 75.0% 이었으며 임신율은 61.5%였다.

  • PDF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으로 진단된 남성불임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Gonadotropin) 치료가 정자형성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 (Outcome of Gonadotropin Therapy for Infertile 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 주영민;김태홍;서주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219-224
    • /
    • 2009
  • 목 적: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은 남성불임의 흔치 않은 원인이다. 저자들은 성선자극호르몬 특히 인간융 모성선자극호르몬 (Human chorioinc gonadotropin: hCG)/인간폐경성선자극호르몬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치료가 정자형성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으로 진단되어 성선자극호르몬 (hCG/hMG) 치료를 받은 10명의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후 임신 여부를 알아보았으며, 치료 전 고환의 용적에 따라 10 cc 미만인 군 (n=4)과 10 cc 이상인 군 (n=6)으로 나누어 치료 전후의 정액지표와 혈중 FSH, LH 및 testosterone 등의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0명의 환자 중 7명 (70%)에서 임신에 성공하였으며 치료 후 혈중 FSH, testosterone 수치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고환 용적이 큰 군에서 치료 후 정액량, 정자수, 운동성 및 testosterone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불임을 주소로 온 환자에게 흔치는 않지만 면밀한 검사를 통해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을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hCG/hMG 병합요법은 자연임신 뿐만 아니라 최근의 보조생식술과 연계하여 충분히 성공적인 치료에 도달할 수 있다.

칡소 정액 동결을 위한 AndroMed와 Tris-egg Yolk 희석제의 동결성 비교 (Comparison of AndroMed and Tris-egg Yolk Extender for Cryopreservation of Korean Native Bull Semen (Chick Cow))

  • 조상래;김성재;손준규;최선호;최창용;고응규;이풍연;김현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5-70
    • /
    • 2011
  • 희소 한우인 칡소의 정액 동결을 위해서 레시딘을 기본 희석제로 하는 AndroMed와 Tris-egg yolk extender를 사용하여 정자의 생존율과 활력 조사를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AndroMed 희석제를 사용하였을 때 생존율과 활력은 $73.4{\pm}11.2%$$67.9{\pm}14.6%$의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Tris-egg yolk extender의 경우는 각각 $89.7{\pm}19.8%$$78.4{\pm}18.7%$ 결과를 보여 생존율에서는 Tris-egg yolk 희석제가 AndroMed 희석제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활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ris-egg yolk 희석제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액의 동결을 위해서 평형 시간에 따른 정자의 활력 조사를 위해서 육안적 방법과 CASA 프로그램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처음 2시간부터 20시간까지 평형을 유도한 결과 육안적 방법보다는 CASA 프로그램 분석 방법의 결과 높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AndroMed와 Tris-egg yolk extender 두 종류의 희석제로 사용된 동결 정액 사용으로 체외수정란을 생산 결과로서 분할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81.7% vs. 82.2), 배반포 발달율에서는 29.6% vs. 42.3%로서 Tris-egg yolk 희석제를 사용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희소 한우 품종인 침소 정액 동결을 위해서 Tris-egg yolk 희석제 사용이 동결된 정자의 생존율과 수정 능력 개선으로 실제적인 인공수정과 체외수정란 생산 및 가축유전자원 보존을 위해서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