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nt fuel pool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7초

저장조냉각계통의 신뢰성향상을 위한 제어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control system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cooling system of pool storage)

  • 이철용;변기호;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0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26-27 Oct. 1990
    • /
    • pp.367-371
    • /
    • 1990
  • In this paper, a real-time fault tolerant control system has been designed for the cooling system of the spent fuel pool storage. The fault tolerant control system consists of the fault detection part, the redundant actuator part(main and backup pumps) and the controller implemented o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This paper considers only the actuator fault whose detection is accomplished using Friedland's separated bias estimation method. This paper also shows the real-time experimental results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signed fault tolerant control system exhibits satisfactory performance.

  • PDF

국내 경수로 사용후핵연료의 금속 겸용용기 장전을 위한 최소 냉각기간 평가 (The Evaluation of Minimum Cooling Period for Loading of PWR Spent Nuclear Fuel of a Dual Purpose Metal Cask)

  • 도호석;김태만;조천형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1-422
    • /
    • 2016
  • 최근 국내 원전의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습식 저장시설의 포화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운반 및 저장용기를 이용한 건식저장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용기 설계를 위한 차폐해석 시 장전 가능 연료 중 가장 보수적인 연료를 설계기준연료로 선정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그러나 실제 금속 운반용기에 장전되는 사용후핵연료는 해석평가에 적용된 설계기준연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기 때문에 초기농축도, 연소도, 최소냉각기간의 특성을 고려한 차폐평가를 통하여 장전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속 겸용용기에 장전 가능한 연료를 대상으로 국내 운반기준을 만족하는 최소냉각기간의 결정을 위한 차폐해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특히 발생량이 많은 초기농축도 3.0~4.5wt%의 사용후핵연료는 차폐해석 구간을 세분화하여 평가하여 연구결과의 활용에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차폐평가를 통해 2008년까지 국내 원전에서 발생한 장전대상연료 중 약 81%의 사용후 핵연료를 금속겸용용기로 운반할 수 있는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금속 겸용용기의 운반조건에 장전 가능한 연료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운반 시 운영절차의 개발을 위한 기술적 근거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ree-Dimensional Seismic Analysis for Spent Fuel Storage Rack

  • Lee, Gyu-Mahn;Kim, Kang-Soo;Park, Keun-Bae;Park, Jong-K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91-98
    • /
    • 1998
  • Time history analysis is usually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nonlinear seismic behavior of a spent fuel storage rack(SFSR). In the past, the seismic analyses of the SFSR were performed with two-dimensional planar models, which could not account for torsional response and simultaneous multi-directional seismic input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seismic analysis methodology is developed for the single SFSR using the ANSYS code. The 3D- Model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rack, i.e., sliding, uplifting, and impact evaluation between the fuel assembly and rack, and rack and the pool wall, This paper also reviews the 3-D modeling of the SFSR and the adequacy of the ANSYS for the seism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dquacy study, the method of ANSYS transient analysis with acceleration time history is suitable for the seismic analysis of highly nonlinear structure such as an SFSR but it isn't appropriate to use displacement time history of seismic input.

  • PDF

PWR 사용후 핵연료 수송용기에 대한 열해석 (Thermal Analysis on the Spent Fuel Shipping Cask for a PWR Fuel Assembly)

  • Hee Yung Kang;Eun Ho Kwack;Byung Jin S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248-255
    • /
    • 1983
  • 하나의 PWR 핵연료 집합체를 수송할 수 있는 사용후 핵연료 수송용기에 대한 열해석을 수행하였다. 정상 및 화재사고 조건하에서 수송용기에 대한 온도분포는 10CFR Part 71에서 제시한 조건에 맞도록 계산하였다. 붕괴열은 연소도가 45,000 MWD/MTU이고 사용후 핵연료 저장실에서 300일 냉각기간을 가질 KNU 5&6 핵연료 집합체를 고려하였다. 계산결과 화재사고시 dry cavity조건하에서 핵연료 피복관의 최대온도가 455$^{\circ}C$로 계산되었으며, 이 간은 10CFR Part 50.46에 규정된 최대 피복관 제한치 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수송용기의 운반중에 화재사고 조건하에서도 핵연료 피복관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중요 차폐체인 납의 용융도 일어나지 않았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RISK ASSESSMENT FRAMEWORK FOR INTERNAL/EXTERNAL EVENTS AND ALL POWER MODES

  • Yang, Joon-E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459-470
    • /
    • 2012
  • From the PSA point of view, the Fukushima accident of Japan in 2011 reveals some issues to be re-considered and/or improved in the PSA such as the limited scope of the PSA, site risk, etc.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as performe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risk assessment framework related to some issues arisen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This framework can cover the internal PSA model and external PSA models (fire, flooding, and seismic PSA models) in the full power and the low power-shutdown modes. This framework also integrates level 1, 2 and 3 PSA to quantify the risk of nuclear facilities more efficiently and consistently. We expect that this framework will be helpful to resolve the issue regarding the limited scope of PSA and to reduce some inconsistencies that might exist between (1) the internal and external PSA, and (2) full power mode PSA and low power-shutdown PSA models. In addition, KAERI is start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extreme external events, the risk assessment of spent fuel pool, and the site risk. These emerging issues will be incorporated into the integrated risk assessment framework. In this paper the integrated risk assessment framework and the research activities on the emerging issues are outlined.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건식 건전성 성능과 주요 열화 기구에 관한 고찰 (Review on Spent Nuclear Fuel Performance and Degradation Mechanisms under Long-term Dry Storage)

  • 김주성;국동학;심지형;김용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3-349
    • /
    • 2013
  • 최근 국내에서도 원전 부지 내에 건설된 습식저장조의 용량이 곧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사용후핵연료의 건식저장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다양하게 논의될 저장시스템의 안전성과 함께 장기 건식저장 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특성 및 건전성 변화에 대해 이제까지 국내외에서 연구 보고된 내용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향후 추구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건식저장 기간 동안 진행될 수 있는 여러 피복관 열화기구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구는 크립 변형과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었으며, 이들이 사용후핵연료 장기 건식저장 시 규제기술기준의 주요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과거에는 피복관의 크립 변형이 가장 중요한 열화기구로 평가되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 더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고 이는 미국의 규제기준과 새로운 온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는 일본의 규제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응력과 온도 조건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며, 나아가 사용후핵연료의 취급 시 거동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부분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국내 사용후핵연료 특성에 맞는 건식저장조건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 자료에 대한 충분한 생산과 평가 및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METAMIC neutron absorber in spent fuel storage rack

  • Kim, Kiyoung;Chung, Sunghwan;Hong, Jun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88-793
    • /
    • 2018
  • High-density spent fuel (SF) storage racks have been installed to increase SF pool capacity. In these SF racks, neutron absorber materials were placed between fuel assemblies allowing the storage of fuel assemblies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The purpose of the neutron absorber materials is to preclude neutronic coupling between adjacent fuel assemblies and to maintain the fuel in a subcritical storage condition. METAMIC neutron absorber has been used in high-density storage racks. But, neutron absorber materials can be subject to severe conditions including long-term exposure to gamma radiation and neutron radiation. Recently, some of them have experienced degradation, such as white spots on the surface. Under these conditions, the material must continue to serve its intended function of absorbing neutron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article uses a neutron attenuation test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METAMIC surveillance coupons. Als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white spots that were detected on the surface of METAMIC. In the neutron attenuation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sign of boron loss in most of the METAMIC coupons, but the coupon with white spots had relatively less B-10 content than the others.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corrosion material was detected in all METAMIC coupons.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pon with white spots contains much more corrosion material than the others.

감마선 분광분석에 의한 조사후 핵연료 집합체(PWR)의 연소분포 및 냉각시간 결정 (Gamma-Ray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Burnup Distribution and Cooling Time of Spent PWR Fuel Assemblies)

  • Young-Gil Lee;Jae-Shik J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7
    • /
    • 1985
  • 원자력 발전소의 조사후 핵연료 저장풀에시 조사후 핵연료 집합체에 대한 감마선 분광분석 실험을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조사후 핵연료 집합체가 갖는 연소분포를 알기 위해서 1차핵분열 생성물과 2차핵분열 생성물간의 감마선 강도비인 $^{134}$ Cs$^{137}$Cs을 사용했으며 그 결과는 이들 집합체가 노심내에서 연소시에 가졌든 중성자 분포의 기대치와 상응하였다. 이로부터 감마선 강도비 $^{134}$ Cs$^{137}$Cs은 연소도 해석을 위한 좋은 인디케이터임을 확인하였다. 핵물질의 안전관리면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조사후 핵연료의 냉각시간을 감마선 강도비 $^{144}$ Ce$^{137}$Cs을 사용하여 구했으며 이를 핵연료 관리기록에 의한 냉각시간과 비교해 본 결과 각각 2%, 10%이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실험에서 냉각시간을 하기 위해서 유도한 방정식을 단일 주기로 연소된 핵연료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 PDF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을 위한 진공건조공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Vacuum Drying Process for the PWR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 백창열;조천형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5-443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원전의 습식저장조에 저장 중인 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를 금속겸용용기를 이용해 건식으로 운영하기 위한 운영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내 경수로형 원전의 사용후핵연료는 1990년대 초부터 습식으로 소내에서 운반을 한 경험은 많으나 건식으로 운전한 경험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금속겸용용기를 운영할 수 있는 세부 운영공정을 개발하였으며 주요 운영공정에서 금속겸용용기의 주요 구성품 및 사용후핵연료의 안전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단기운영공정은 총 21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절차를 수립하였고 단계별로 허용운전 시간(15시간 습식공정, 3시간 배수공정, 그리고 3시간 진공공정)도 제시하였다.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 용기의 운전 및 유지보수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pent Fuel Storage and Transport Casks)

  • 구정회;서기석;정원명;유길성;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345-345
    • /
    • 2004
  •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역할을 해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발전소 부지 또는 저장시설에서의 저장용기로 함께 사용되면서 그 숫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아직 엄청난 양의 사용후핵연료가 발전소 내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와 같은 수조에 저장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사용후핵연료의 단기 또는 장기 저장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수송용기를 이용한 저장을 채택하는 국가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의 운전 및 유지보수에 대한 오랜 기간의 경험에서 얻은 기술적 노하우는 저장용기의 운전 및 유지보수에도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송저장 겸용용기 및 다목적용 용기의 증가는 이러한 겸용용기의 운전 및 유지보수에 대한 국제적 표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원자력기구에서는 이들 겸용 용기에 대한 설계요구사항들을 지침의 형태로 마련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