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 rate

검색결과 1,241건 처리시간 0.03초

발화속도와 한국어 분절음의 음향학적 특성 (Speech Rate and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Segments)

  • 이숙향;고현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2-1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출실험을 통해 발화속도와 한국어의 분절음의 지속시간 및 포만트 특성과의 관계와 모음의 지속시간과 포만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빠른 발화일수록 음절 및 자음과 모음의 지속시간은 짧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화자에서 폐쇄음의 폐쇄구간 대 기식구간의 비율이나 한 음절 내의 모음 대 자음 지속시간의 비율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일부 화자들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화자들에서 폐쇄음의 경우 폐쇄구간이 기식구간보다 영향을 더 받으며 음절의 경우 모음이 자음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와 모음의 포만트값과의 관계 분석 결과 발화속도가 모음약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화자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화자마다 모음의 포만트값 구현에 관하여 다른 발화기재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발화속도의 증가에 따라 조음기관의 움직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화자가 있는 반면 발화속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화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한 음성 인식 오류 보정 (Speech Recognition Error Compensation using MFCC and LPC Feature Extraction Method)

  • 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137-142
    • /
    • 2013
  • 음성 인식 시스템은 부정확한 음성 신호의 입력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인식할 경우 오인식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유사한 음소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가 갖는 특징을 기반으로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 측정을 이용한 음성 인식 오류 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음소 유사율은 학습 모델의 음소에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신뢰도로 측정하였다.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를 측정하여 오인식되는 오류를 최소화하였으며 음성 인식 과정에서 오류로 판명된 음성에 대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98.3%의 인식률과 95.5%의 오류 보정율을 나타내었다.

대학생들이 또렷한 음성과 대화체로 발화한 영어문단의 구글음성인식 (Google speech recognition of an English paragraph produced by college students in clear or casual speech styles)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43-50
    • /
    • 2017
  • These days voice models of speech recognition software are sophisticated enough to process the natural speech of people without any previous training.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reported on the use of speech recognition tools in the field of pronunciation education. This paper examined Google speech recognition of a short English paragraph produced by Korean college students in clear and casual speech styles in order to diagnose and resolve students' pronunciation problems. Thirty three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of the English paragraph. The Google soundwriter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on the word recognition rates of the paragraph.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word recognition rate was 73%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11.5%. The word recognition rate of clear speech was around 77.3% while that of casual speech amounted to 68.7%. The reasons for the low recognition rate of casual speech were attributed to both individual pronunciation errors and the software itself as shown in its fricative recognition. Various distributions of unrecognized words were observed depending on each participant and proficiency groups. From the results,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speech recognition software is useful to diagnose each individual or group's pronunciation problems. Further studies on progressive improvements of learners' erroneous pronunciations would be desirable.

Source controlled variable bit-rate scheme을 이용한 파형 보간 부호화기의 음질 개선 기법 (Enhanced source controlled variable bit-rate scheme in a waveform interpolation coder)

  • 조근석;양희식;정상배;한민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15-318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s to enhance the speech quality of source controlled variable bit-rate coder based on the waveform interpolation. The methods are to estimate and generate the parameters that are not transmitted from encoder to decoder by the repetition and extrapolation scheme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scores are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source controlled variable bit-rate coder. Especially, the performance of the extrapolation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the repetition method.

  • PDF

배경 잡음환경에서 가변 임계값에 의한 Dual Rate ADPCM 음성 부호화 기법 (Coding Method of Variable Threshold Dual Rate ADPCM Speech Considering the Background Noise)

  • 한경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54-15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TU G.726 규격을 만족하는 표준형 ADPCM 부호화 법을 이용하여 배경잡음의 크기에 따라 음성의 부호화율이 두가지로 가변하도록 함으로써,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도 단일 부호화율의 경우보다 개선된 음질을 갖는 부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경잡음보다 큰 음성신호에 대하여는 데이터의 양이 커지더라도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0 [Kbps]로 압축하고, 작은 음성신호에 대하여는 16[Kbps]로 압축하여 데이터의 양을 줄이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압축데이터의 양을 줄이면서 음질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하여 두가지 압축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영교차율(ZCR)을 사용하여 처리속도를 빠르도록 하였다.

문장읽기에서의 말더듬 감소율: 합독과 변조청각피드백 (Stuttering Reduction Rate during Sentence Reading: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 박진;박희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4호
    • /
    • pp.109-115
    • /
    • 2012
  • This paper mainl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ly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i.e., delayed auditory feedback, frequency-altered feedback) enhance speech fluency during sentence reading. To do this, a stuttering reduction rate was used and measured how much stuttering in frequency was reduced during each of th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i.e, typical choral reading, DAF, FAF) relative to typical solo reading. The results showed that stuttering frequency was reduced in the thre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and the highest mean value in stuttering reduction rate was observed during typical choral reading. Some discussion wa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stuttering reduction rate observed during typical choral reading and its further speculation.

음성압축을 위한 전처리기법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Analysis and Comparison of Preprocessing Technique for the Speech Compression)

  • 장경아;민소연;배명진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25-136
    • /
    • 2003
  • Speech cod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to reduce the complexity and bit rate but also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CELP type vocoder, has used as a one of standard, supports the great sound quality even low bit rate. In this paper, the preprocessing of input speech to reduce the bit rate is the different with the conventional vocoder. The different kinds of parameter are used for the preprocessing so this paper is compared with theses parameters for finding the more appropriate parameter for the vocoder. The parameters are used to synthesize the speech not to encode or decode for coding technique so we proposed the simple algorithm not to have the influence on the processing time or the computation time. The parameters in used the preprocessing step are speaking rate, duration and PSOLA technique.

  • PDF

파킨슨병과 다계통위축증 환자군 간의 말속도 비교평가 (Speech Rate Analysis of Dysarthric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Multiple System Atrophy)

  • 김향희;이미숙;김선우;이원용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221-227
    • /
    • 2003
  • Diadochokinetic (DDK) speech task has been utilized as an evaluating tool for speakers with dysarthria for many years. This study attempted to differently diagnose multiple system atrophy (MSA) from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D) using patients' performance of DDK (i.e., alternate motion rate (AMR)). The subjects included 11 cases of pathologically confirmed MSA and 16 IPD patients who commonly presented with parkinsonian syndrome. The speech sample of each patient was analyzed acoustically using the MSPTM(Motor Speech Profile, a module of CS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DDK rate was significantly faster in the IPD than the MSA groups in all three syllables (i.e., /puh/, /tuh/. and /kuh/). We propose the average DDK rate variable as a core clinical trait in differentiating the two pathological conditions.

  • PDF

16Kbps와 40Kbps의 Dual Rate G.726 ADPCM 음성 codec구현 (Implementation of G.726 ADPCM Dual Rate Speech Codec of 16Kbps and 40Kbps)

  • 김재오;한경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33-2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G.726 ADPCM 음성방식을 기존의 단일 압축을 대신 16Kbps 와 40Kbps의 두 가지 압축율을 사용한 가변 압축방식에 의한 음성 코딩 방식을 다루었다. 음성의 묵음 또는 소 신호 부분은 음질의 향상보다는 데이터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한 저 전송 16Kbps 압축율을 적용하였고 임계값 이상의 대 신호 부분은 음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40Kbps의 압축율을 적용하여 모든 신호를 단일 압축율로 코팅하는 방식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압축율을 높여 전송 비트 수를 줄이면서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였다. 분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여러 가지의 임계값에 의한 가변 압축 코딩 방식에 대하여 압축율과 음질의 관계 를 다루었다. 또한 고정된 임계값에 대하여 입력 음성의 크기를 여러 가지로 변동하여 주변 배경잡음과 포화에 의한 음질의 저하를 고찰하여 가변 율에 의한 음성의 코딩방식에서 임계값과 입력의 크기가 음질 및 압축율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각 시뮬레이션의 경우에 대하여 실지 음성의 원음에 대한 음질의 충실 도를 임의의 집단에 대하여 비교하여 음질의 충실 도를 확인하였다. 추후의 연구를 통하여 DSP에 의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구현을 하고자 한다.

  • PDF

Korean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Using Morpheme-based Recognition Units

  • Kwon, Oh-Wook;Alex Waibe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1권1E호
    • /
    • pp.3-11
    • /
    • 2002
  •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is one of the hardest tasks in speech recognition because broadcast speech signals have much variability in speech quality, channel and background conditions. We developed a Korean broadcast news speech recognizer. We used a morpheme-based dictionary and a language model to reduce the out-of·vocabulary (OOV) rate. We concatenated the original morpheme pairs of short length or high frequency in order to reduce insertion and deletion errors due to short morphemes. We used a lexicon with multiple pronunciations to reflect inter-morpheme pronunciation variations without severe modification of the search tree. By using the merged morpheme as recognition units, we achieved the OOV rate of 1.7% comparable to European languages with 64k vocabulary. We implemented a hidden Markov model-based recognizer with vocal tract length normalization and online speaker adaptation by maximum likelihood linear regress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cognizer yielded 21.8% morpheme error rate for anchor speech and 31.6% for mostly noisy reporter spe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