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rophotometric analysi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초

천연물 유래의 $5{\alpha}-Reductase$ 저해제의 개발과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의 배양을 이용한 피지분비 억제 효과 측정 ([ $5{\alpha}-Reductase$ ] Inhibitors from Native Plants and their Sebosuppressive Effects in Cultured Human Sebaceous Gland Cells)

  • 정세규;김정기;백지훈;이기무;조인식;이승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3-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지닌 신규 화장품 원료를 대한민국 유래의 천연 식물에서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의 5alpha-reduct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효소 동력학적 분석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효소 동력학적 분석을 위하여 각각 쥐의 간 조직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서 5alpha-reductase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5-AR에 대하여 뛰어난 저해효능을 보이는 3종의 식물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수십 종의 식물 추출물 중 해송 추출물이 가장 강력한 5-AR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 대하여 0.005% 농도로 처리한 경우 48%의 피지 생성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해송 추출물은 피지 분비를 감소시켜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질환에 효과를 지닌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폴리메틸벤젠과 할로겐 사이의 전하이동착물 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제3보) (The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methylbenzene-Halogens Charge Transfer Complexes (III))

  • 권오천;경진범;김정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51-360
    • /
    • 1981
  • 듀렌과 요오드, 브롬, 일염화요오드 및 일브롬화 요오드와의 각계를 사염화탄소 용액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2(CH_3)_4{\cdot}X_2$$C_6H_2(CH_3)_4{\cdot}IX$형의 전하이동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X는 할로겐원자). 이들 착물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온도에서의 평형정수를 구했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생성에 대한 ${\Delta}H$, ${\Delta}G$${\Delta}S$등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각 온도에서의 듀렌과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IBr>I_2>Br_2$ 이 순서는 듀렌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할로겐 분자의 편극율 및 할로겐 원자의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와 전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와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Benzene

  • PDF

Lycopene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Red, Pink, Orange, and Yellow Fleshe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Germplasm Collections

  • Noh, Jae-Jong;Hur, On-Sook;Ro, Na-Young;Lee, Jae-Eun;Hwang, Ae-Jin;Kim, Bit-Sam;Rhee, Ju-hee;Yi, Jung Yoon;Kim, Ji Hyun;Lee, Ho-Sun;Sung, Jung-Sook;Kim, Myung-Kon;Assefa, Awraris Derbi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24-637
    • /
    • 2020
  • High-quality and high-phytonutrient watermelon fruits have strong market opportunities besides their health related benefits. Hence, investigating quality and nutritional related traits of watermelon genetic resources could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in breeding for increased lycopene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watermelon.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some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105 genetic resources. Seeds, originally obtained from 22+ countries,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Jeonju, South Korea, grown in an experimental field and harvested at a fully mature stage. The size of pistil scar (SPS), the width of stripes (WS), weight of fruit (WF), length of fruit (LF), width of fruit (WIF), the thickness of pericarp (TP), soluble solids content (SSC), fruit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ground color of skin, the intensity of the green color of skin, fruit shape at the apical part, grooving distribution, conspicuousness of stripes, and main color of the flesh were recorded on the field and inside laboratory and the lycopene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HPLC methods. Watermelon fruits have shown a diverse morphological characters. Red and pink fleshed fruits dominated in the entire collections. Fruits with higher thickness of rind were found to exhibit less soluble solid content (SSC). Korean origin fruits were characterized by intermediate SSC whi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Russia (RUS), Tajikistan (TJK), Turkmenistan (TKM), Taiwan (TWN), and Uruguay (URY) originated fruits had the highest SSC. The lycopene content varied between 41.37 and 182.82 ㎍/g, 2.81 and 163.72 ㎍/g, and 3.54 and 255.47 ㎍/g using HPLC, UV-Vis spectrophotometer, and microplate reader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Red- and pink-fleshed fruits had the highest levels of lycopene content compared to the yellow- and orange-fleshed. Lycopene cont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SC, however, no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lycopene and other quantitative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s. Our study demonstrated high diversity exists in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the germplasm collections which provide beneficial baseline data for a future breeding program and utilization of watermelon germplasm collections in gene banks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levels of production, marketability, and health-related benefit of watermelon fruits.

폴리메틸벤젠과 할로겐 사이의 전하이동착물 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제2보) (The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methylbenzene-Halogens Charge Transfer Complexes (Ⅱ))

  • 권오천;김정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4
    • /
    • 1981
  • 메시틸렌과 요오드, 브롬, 일염화요오드 및 일브롬화요오드와의 각 계를 사염화탄소용액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3(CH_3)_3{\cdot}X_2$$C_6H_3(CH_3)_3{\cdot}IX$ 형의 전하이동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X는 할로겐원자). 이들 착물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온도에서의 평형상수를 구했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생성에 대한 ${\Delta}H$, ${\Delta}G$${\Delta}S$ 등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각 온도에서의 메시틸렌과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 > IBr > $I_2$ > $Br_2$ 이 순서는 메시틸렌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할로겐분자의 편극율 및 할로겐원자의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와 전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와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Benzene

  • PDF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 서선정;최용민;이선미;공수현;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9-1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 시료 중 흑미의 polyphenol, vitamin E, phytic acid, anthocyanin 함량은 각각 444.38, 0.79, 130.92, 146.90 mg/100 g으로 vitamin E를 제외하고 다른 특수미에 비해 가장 높은 항산화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흑미 methanol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697.27 AEAC), 환원력(2.32 $A_{700}$), 지질과산화 억제력(84.18%), 금속이온 제거능(38.47%), xatnhine oxidase 억제활성(66.52%)은 금속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수미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분석 결과 polyphenol 함량이 높을수록 총 항산화력($R^2=9921$), 환원력($R^2=9856$)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R^2=8032$)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와 더불어 적색미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 쌀을 인식시켜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계배의 대뇌의 발생에 미치는 Malathion의 영향 (Effeds of Malath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ck Embryo Cerebrum)

  • 김완종;등용건;최임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1-206
    • /
    • 1988
  • 계배 대뇌의 발생에 미치는 malathion의 영향을 형태,세포화학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정란 부란 2일, 4일 및 6일째에 0.1mg의 malathion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NAM 5.0mg을 복합처리하여 부란 9일째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malathion은 대뇌피질내 신경세포들의 분화를 억제하여, 처리군의 핵의 불규칙상,핵막이중층의 분리, 리보솜의 분포감소, 혹은 소포체 팽창에 의한 액포형성과 같은 미세구조상의 특징이 나타났다. 2.신경세포내에서 AchE 활성은 핵막과 소포체에서 주로 나타나고, malathion에 의하여 이 효소의 활성은 크게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효소활성 억제현상은 정량분석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3.대뇌의 LDH 활성은 malathion에 의하여 오히려 증가되었다. 4.malathion은 계배 NAD를 크게 감소 시켰고, NAM복합처리에 의하여 NAD함량과 형태적 변화가 회복되었고, 대뇌의 Ach 및 LDH 활성 변화를 다소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유기적 화합물의 하나인 malathion은 분화중인 계배 대뇌의 신경세포들의 미세구조를 변화시키고, 대뇌의 LDH활성은 증가시켰으나 AChE 활성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계배의 NAD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NAD 함량의 감소와 형태적인 변화사이에는 다소간의 연관성이 나타났고, malathion의 저해작용은 처리량과 처리시기에 의존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금속하부구조물이 도재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광측색분석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ETAL SUBSTRATE ON THE COLOR OF CERAMIC)

  • 이수옥;우이형;최대균;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8-159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Metal-ceramic restorations have been used extensively by dental clinicians for nearly 40 years. Strength an functional ability of metal-ceramic restorations are proved to be satisfying, However esthetics and biocompatibility of metal alloy which is used in metal-ceramic restoration is not ideal. Using pure gold as an alternative, have advantage of esthetics, biocompatibility over conventional metal alloy. But there had been little article which studied on the color effect of pure gold on fual porcelain colo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trophotometrically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color of metal alloy(Au-Pt, Ni-Cr) and pure gold, during color masking procedure with opaque porcelai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Material and Methods Three types of metal - base metal(Ni-Cr), high gold alloy(Au-Pt), pure gold(GES) - specimen were fabricated 1cm in diameter. Four steps were established - after finishing, after pre-coditioning, after application of first opaque porcelain(0.08mm in thickness), after application of second opaque porcelain(0.15mm in thickness)- and tested color with spectrophotometer every each steps and analyzed with $CIEL^*a^*b^*$ color order system. One-Way ANOVA test was used to and out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ested and Shaffe multiple comparison was used to identify where the differences were. Results 1. After finishing and pre-conditioning, pure gold(GES) group showed most high values in $L^*,a^*,b^*$. 2. After application of first opaque porcelain(0.08mm in thickness), after application of second opaque porcelain(0.15mm in thickness), pure gold(GES) group showed the least difference in $L^*,a^*,b^*$ values and the lowest ${\Delta}E$ value(${\Delta}E$=0.63). 3. After application of first opaque porcelain and after application of second opaque porcelain differences that were significant (P<0.05) between groups were found only in $a^*$ values. 4. Base metal alloy group showed the lowest $a^*$ value in test after application of first opaque porcelain and the highest value in test after application of first opaque porcelain Conclusion Pure gold group and high gold group showed higher $a^*$ values than base metal group when tested after 0.08mm thickness of opaque porcelain was applied and pure gold group showed much similar $L^*,a^*,b^*$ values between 0.08mm thickness and 0.15mm thickness of opaque porcelain. This meant that pure gold was more easily masked by opaque porcelain than the other two groups.

요소 정량을 위한 Proteus vulgaris 박테리아 전극의 개발과 그 응용 (Preparation of the Proteus vulgaris Bacterial Electrodes for the Determination of Urea and Their Application)

  • 인권식;김봉원;손무정;김인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3-332
    • /
    • 1988
  • 요소는 박테리아가 가지고 있는 urease에 의해 2분자의 $NH_3$와 1분자의 $CO_2$ 기체를 생성한다. Proteus vulgaris를 $NH_3\;와\;CO_2$ 기체 감응전극에 고정시켜 박테리아 전극을 조립하고, pH, 온도, 완충용액, 박테리아(균)의 양 및 여러가지 방해불질의 영향과 전극의 수명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NH_{3-}$박테리아 전극은 $25^{\circ}C$에서 pH 7.4인 0.05M phosphate완충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직선범위는 $7.0{\times}10^{-4}\;-\;3.0{\times}10^{-2}$M 이었고, 감응 기울기는 116.7 mV/decade였다. 한편, $CO_{2-}$박테리아 전극은 $30^{\circ}C$, pH 7.0, 0.1M phosphate완충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7.0{\times}10^{-4}\;-\;5. 0{\times}10^{-2}$M내에서 감응 기울기는 $45.4{\sim}45.7mV/decade$로 나타났다. 실제 임상적인 응용으로서 요속에 들어 있는 요소를 정량하고 분광광도법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전극의 경우는 실험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신속하게 많은 양의 시료 분석이 가능하였다.

  • PDF

분광특성 분석에 의한 논 잡초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technique to detect weeds in paddy field using spectrophotometric analysis)

  • 서규현;서상룡;성제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8-443
    • /
    • 2002
  • 본 연구는 수도작에서 토양과 식물체의 분광반사특성과 영상처리를 이용한 기계시각 잡초검출 센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체들의 분광반사율을 조사하여 주요한 파장을 선정하고 선정된 파장을 이용한 판별분석을 통해 각 대상체에 대한 분류 정확도를 중심으로 잡초검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토양과 식물체를 구분하는데 효과적인 파장은 마른 토양의 경우 680 nm, 배수 토양에 있어서는 810 nm로 선정하였고, 토양을 배제한 후 벼와 잡초를 구분하기에 효과적인 파장은 580, 680 nm로 선정하였다. 2. 토양과 식물체를 구분하기 위한 판별분석 결과 2가지 토양상태 모두 식물체와 완전히 구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와 잡초를 구분하기 위한 실험에서, 벼는 98%의 분류정확도로 구분이 가능하였고, 잡초는 83%의 분류정확도로 구분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차후 분광학적 원리를 이용한 센서를 제작할 때 본 연구에서 선택한 주요 파장과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알고리즘을 제작한다면 벼, 잡초, 토양을 효과적으로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컬러 CCD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식물체와 토양을 구분하기 위해 3 종의 파장 중 630 nm 파장만의 이용을 고려하여 그 분류성능을 분석한 결과, 식물체와 토양은 소수의 관측치를 제외하고 완전히 구분이 가능했고, 벼와 잡초를 구분한 결과에서는 비교적 높은 분류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차후 컬러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성하는데 좋은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배양체의 접종작업은 모든 배양실이 인력에 의존하였으며, 배양체를 배지와 분리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배양작물에 따라 생육정도를 2~3등급으로 구분하여 배양용기의 배지 위에 치상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작업능률은 호접란의 경우 배양병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6병, 심비디움은 원형 플라스크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10병 정도였다. 바. 식물체의 대량증식에 사용되는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 배양용기의 세척작업은 농원의 1개배양실에서 간이식 세척기, 이 외의 9개배양실은 모두 물에 담겨 두었다가 세제와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인력으로 세척하고 있어 생력화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도가 빠를수록 건조속도가 빨라졌으며, 건조에너지도 1,334kcal/kg.water로 비슷하게 소요되었다. 마. 시험구와 대비구의 건감률은 시험구에서 1.08~1.36w.b./h로 나타나 대비구보다 약 9.9~18.3%가 높게 나타났고, 건조에너지는 10.2~14.6%가 절감되었다. 발아율은 열풍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시험구가 대비구보다 발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동할률 증가량도 원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 PDF

Proposal for a gingival shade guide based on in vivo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 Polo, Cristina Gomez;Montero, Javier;Casado, Ana Maria Mart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5호
    • /
    • pp.239-24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ssess a shade guide for pink gingival aesthetics using a Spanish population sample. MATERIALS AND METHODS. The $L^*$, $C^*$, h, $a^*$ and $b^*$ coordinates of 259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in 3 standardized points along the attached gingiva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as applied to obtain separate solutions regarding the number of shade tabs. For each of the solutions obtained, color differences (${\Delta}E^*$) were calculated using the CIELab and CIEDE2000 formulas, and the proposed shade guide was selected considering (1)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abs and (2) the coverage error of each of the solutions. RESULTS. The proposed shade guide consisted of 8 gingival shade tabs and achieved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of less than the respective 50:50% acceptability thresholds (${\Delta}E^*=4.6$ units and ${\Delta}E_{00}=4.1$). The coordinates for the various gingival shade tabs were as follows: Tab 1: $L^*43.3$, $a^*21.9$, $b^*12.3$ (1.6); Tab 2: $L^*42.9$, $a^*34.1$, $b^*19.1$; Tab 3: $L^*46.5$, $a^*25.8$, $b^*10.9$; Tab 4: $L^*46.5$, $a^*27.3$, $b^*15.1$; Tab 5: $L^*49.6$, $a^*23.5$, $b^*16.8$; Tab 6: $L^*51.5$, $a^*19.7$, $b^*13.6$; Tab 7: $L^*55.9$, $a^*22.0$, $b^*15.0$; and Tab 8: $L^*56.0$, $a^*19.9$, $b^*18.8$. CONCLUSION. The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for the 8 shade tabs of the proposed gingival shade guid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uides. Therefor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oposed guide is more appropriate for matching gingival shade in the Spanish general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