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differences

검색결과 2,119건 처리시간 0.032초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배출해역에서 대형 저서동물 군집구조의 차이 (Difference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s at Thermal Effluent Discharge Areas of Two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맹준호;김근용;김영윤;손명백;김진희;손민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7-165
    • /
    • 2015
  • 본 연구는 고리원자력발전소와 신고리원자력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온배수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 퇴적물 특성과 대형 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두 배출해역의 퇴적물 특성들 중에서 모래와 펄, 유기물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과 개체 수는 고리원자력발전소보다 신고리원자력발전소의 배출해역에서 더 많았으며, 그 수는 이전의 다른 연구결과들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두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배출해역은 퇴적물 특성과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름방울 활성화 과정 모수화 방법에 따른 구름 형성의 민감도 실험 (Sensitivity Test of the Parameterization Methods of Cloud Droplet Activation Process in Model Simulation of Cloud Formation)

  • 김아현;염성수;장동영
    • 대기
    • /
    • 제28권2호
    • /
    • pp.211-222
    • /
    • 2018
  • Cloud droplet activation process is well described by $K{\ddot{o}}hler$ theory and several parameterizations based on $K{\ddot{o}}hler$ theory are used in a wide range of models to represent this process. Here, we test the two different method of calculating the solute effect in the $K{\ddot{o}}hler$ equation, i.e., osmotic coefficient method (OSM) and ${\kappa}-K{\ddot{o}}hler$ method (KK). To do that, each method is implemented in the cloud droplet activation parameterization module of WRF-CHEM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coupled with Chemistry) model. It is assumed that aerosols are composed of five major components (i.e., sulfate, organic matter, black carbon, mineral dust, and sea salt). Both methods calculate similar representative hygroscopicity parameter values of 0.2~0.3 over the land, and 0.6~0.7 over the ocean, which are close to estimated values in previous studies. Simulated precipitation,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i.e., specific heat and temperature) show good agreement with reanalysis. Spatial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liquid water path from model results and satellite data show similarity in general, but on regional scale spatial patterns and intensity show some discrepancy. However, meteorological variables, precipitation, and liquid water path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SM and KK simulations. So we suggest that the relatively simple KK method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he OSM method that requires various information of density, molecular weight and dissociation number of each individual species in calculating the solute effect.

한국내 솜양지꽃의 집단 유전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Potentilla discolor Bunge, Rosaceae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8-903
    • /
    • 2006
  • 한국내 분포하는 장미과의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 15집단에 대한 19 알로자임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좌위에 대해 약 73.7%가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종과 집단 수준에서 유전적 다양도는 각각 0.215, 0.196이었으며, 집단간 분화정도는 낮았다$(G_{ST}\;=\;0.069)$. 전체 유전적 다양성은 0${\sim}$0.656이며 평균 0.292였다. 유전적 다양도 중 집단내 변이는 높았다$(H_{S}\;=\;0.274)$. 전체 유전적 변이에서 집단간 차이는 Pgm-2에서 0.010, Pgd-2에서 0.261로 평균 0.069였다. 이는 전체 알로자임 변이 중 약 6.9%가 집단간에 있음을 의미한다. 솜양지꽃의 특성으로 광범위한 분포, 다년생 초본, 여러 세대의 존재 등이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조사한 솜양지꽃 집단에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3.36으로 평가되었다.

한국 내 육지플라나리아 간 치토크롬 산화효소의 동정과 계통유전학적 관계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at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among Korean Terrestrial Planarian Taxa)

  • 문두호;이영아;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39-946
    • /
    • 2011
  • 미토콘드리아 산화효소(COI) 유전자의 서열을 이용하여 한국 내 육지플라나리아의 분류와 계통관계를 규명하였다. 유전자은행에서 Bipaliidae과의 종에 관한 기 발표된 서열을 계통분석을 위해 포함시켰다. 육지 플라나리아의 서열 배당은 387 bp에서 444 bp로 나타났으며 이런 차이는 염기 삽입에 기인하였다. COI 분석에 근거한 계통학적 분지도는 형태적 형질에 의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Bipalium nobile가 나머지 분류군(Bipalium adventitium, Bipalium venosum, Bipalium kewense, Bipalium multilineatum)을 포함하는 관계로 나타났다. 내부 가지의 분지군은 강하게 지지되었다(>91%). The phylogenic tree on COI 분석에 의한 계통도는 잘 분리되었다. 이들은 단계원을 형성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산화효소 유전자는 한국 내 육지 플라나리아 분류군을 동정하는데 유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메밀 및 메밀식품에서의 루틴함량의 분석 (Analysis of Rutin Contents in Buckwheat and Buckwheat Foods)

  • 맹영선;박혜경;권태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32-737
    • /
    • 1990
  • HPLC를 이용하여 메밀종자 및 메밀식품에서의 rutin 함량을 분석하였다. 메밀종자의 rutin 함량은 재래종과 신농1호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농1호 품종간 즉, 여름형과 가을형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가식부분인 메밀쌀의 rutin 함량은 여름형 신농1호에서 가장 높았다. 건조메밀국수와 막국수의 rutin 함량은 시료에 따른 차이가 상당히 컸었으며, 이와 같은 차이는 메밀국수 제조시 밀가루를 $10{\sim}50%$ 혼합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메밀전병은 제품의 표시에 명기된 메밀함량으로부터 계산된 값보다 높은 rutin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및 양송이의 유리당(遊離糖)과 당(糖)알코올 조성 (Contents of Free-Sugars & Free-Sugaralcohols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s & Agaricus bisporus)

  • 홍재식;김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9-462
    • /
    • 1988
  • 국내에서 널리 인공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및 양송이(Agaricus bisporus)의 유리당 및 당알코올을 GCL 법으로 분석하여 버섯의 종류. 부유 및 조기별 차이점을 비교 정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버섯에서 trehalose, glucose, fructose, mannitol, arabitol 및 glycerol등이 확인되었다. 유리당 및 당알코올의 충 함량은 표고버섯 $12.7{\sim}18.9%$, 양송이 $9.2{\sim}16.1%$, 느타리버섯 $8.2{\sim}10.6%$ 순 이었고 표고버섯에서는 mannitol과 arabitol, 양송이에서는 mannitol, 느타리버섯에서는 tehalose와 mannitol이 특징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 비교했을때 느타리버섯과 양송이는 자루보다 갓부위에 많았으나 표고버섯은 자루부위에 많았고 크기별로는 크기가 클수록 대체로 유리당 및 당알코올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Reanalysis of Ohno's hypothesis on conservation of the size of the X chromosome in mammals

  • Kim, Hyeongmin;Lee, Taeheon;Sung, Samsun;Lee, Changkyu;Kim, Heeba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438-446
    • /
    • 2012
  • In 1964, Susumu Ohno, an evolutionary biologist, hypothesized that the size of X chromosome was conserved in mammalian evolution, and that this was based on chromosomal length. Today, unlike Ohno's method which was based on estimated lengths, we know the exact lengths of some mammalian sequenc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analyze Ohno's hypothesis. In mammalian species, variation in the length of the X chromosome is greater than in the autosomes; however, this vari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differences in chromosomal length occur equally in the X chromosome and in the autosomes.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 and genetic rearrangements were analyzed to maintain the same varia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X chromosome and the autosomes. The X chromosome contained fewer short interspersed elements (SINEs) (0.90 on average); however, it did contain more long interspersed elements (LINEs) than did autosomes (1.56 on average). An overall correlation of LINEs and SINEs with genetic rearrangements was observed; however, synteny breaks we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LINEs in the autosomes, and with SINEs in the X chromos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romosome-specific activities of LINEs and SINEs result in the same varia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X chromosome and the autosomes. This is based on the function of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 such as LINEs, which can inactivate the X chromosome and the reliance of non-autonomous SINEs on LINEs for transposition.

남성에서 Mycoplasma 감염이 정액검사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Mycoplasma Infection on Semen Parameters (in Normal Human Semen))

  • 김선행;김영호;김탁;허준용;박용균;구병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311-318
    • /
    • 1996
  • Mycoplasmas have long been suspected of contributing to involuntary infertility in couples. However considerable disagreement exits concerning the role of genital mycoplasma infection in human infertility. Several investigators have noted abnormalities in the semen analysis of men with positive mycoplasma cultures, and early epidemiologic studies indicated that Ureaplasma urealyticum was linked to human reproductive failure on the basis of higher frequencies of isolation from infertile versus fertile couples and successful pregnancies in infertile couples after doxycycline therapy. However, subsequent investigators have questioned these findings because there are many studies in which treatment for mycoplasma in the male or female did not demonstrate an improved pregnancy rate, and semen samples from unexplained infertile men containing ureaplasmas have not revealed poorer motility, fewer spermatozoa and more aberrant for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rate of mycoplasma in sem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esence of mycoplasma in semen makes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emen volume, sperm motility and sperm counts. The results were that the rate of isolation of mycoplasma species was 70.3%. Semen volume is $2.84{\pm}1.01ml$ for culture negative and $3.15{\pm}1.42ml$ for culture positive group. Sperm motility is $46.23{\pm}15.80%$ for culture negative and $50.09{\pm}15.69%$ for culture positive group, and sperm count is $95.47{\pm}47.14({\times}(P)10^6/ml)$ for culture negative and $86.73{\pm}47.59({\times}10^6/ml)$ for culture positive group.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mycoplasma in semen mak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sperm parameters.

  • PDF

한밭 수목원의 과일과 꽃으로부터 효모의 분리 (Yeasts Associated with Fruits and Blossoms Collected from Hanbat Arboretum, Daejeon, Korea)

  • 현세희;민진홍;김선아;이종수;김하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8-182
    • /
    • 2014
  • 효모는 엽권의 중요한 서식자이지만, 효모의 분포와 역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2013년 봄과 가을에, 대전시 서구 만년동에 위치한 한밭 수목원에 식재되어 있는 각종 꽃과 과일로부터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효모 집락을 PCR 방법에 의해 26S rDNA의 D1/D2 지역을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한 후, BLAST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효모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29종의 꽃과 6종의 과일로부터, 14속 31종에 속하는 효모를 57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 봄과 가을, 계절에 따라서 같은 수목원에서 분리되는 효모 종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국내 자생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Korea)

  • 권용석;박보람;이솔;유한춘;백소진;오찬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3
    • /
    • 2014
  • 꾸지뽕나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자생지 파괴가 심각한 반면 꾸지뽕나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꾸지뽕나무 16개 집단을 대상으로 엽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꾸지뽕나무 집단에서 엽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꾸지뽕나무 15개 집단의 열매길이, 폭, 무게 등 3가지 형질을 분산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p=0.05로 각각의 형질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매의 3가지 형질별 특성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꾸지뽕나무 엽과 열매의 형태학적 특징은 각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엽의 형태적 특징과 열매의 특징이 일치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