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Schools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2초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과의 해양환경 내용분석 (The Contents Analysis of Ocean Environment of Textbooks for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students)

  • 김삼곤;김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3-155
    • /
    • 2004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is about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ocean environment compared 17 special-subject textbooks to 2 common-subject textbooks, and to make some proposals for construction of contents.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Only 17 books among 36 textbooks taught by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s are contained to some contents related with ocean environment.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ocean environment take possession of 90%, 62% each of total pages in the textbooks, 'ocean pollution' and 'ocean environment'. 2. Of compulsory texts, namely, 'general fisheries', 'general ocean' and 'information treatment of fisheries-marine', the former 2 books are composed of 4.5%, 36.2% each relating with ocean environment. But the last one is nothing. 3. Therefore, even a little contents of ocean environment and its conservation, it is necessary to add as the reasonable r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ok in 36 special-subject textbooks. 4. And also it is shown that the common-subject textbooks,'ocean science', ' earth science I' and 'earth science II', are composed of 35.7%, 10%, 16.7% each. So we'd like to recommend that the contents of ocean pollu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ve to add more.

지방교육 복지재정의 실태 분석 연구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Local Education Welfare Financial Analysi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 이영내;주철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245-1260
    • /
    • 2014
  •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z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and Educational finance Changes based on the welfare types from 2009 to 2013. It also identifies the impact on welfare finance education programs that target low-income students. The size of Education welfare finance was increased to 355.3 billions (2013) from 90.9 billions (2009), with the last 5 years average annual growth rate as high as 41.9%. But there has been relative decrease in the size of selective welfare budget for low income students such as tuition assistance & IT support to low-income and vulnerable groups, rural schools support to improve facilities,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gram. The finding suggests that the size of selective welfare budget should not be decreased due to universal education welfare policy. If it is to expand the universal education welfare, then there should be redesigning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further revenue for local education finance to keep the budget for the education welfare target groups.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5-823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한 도서관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Library Policy to Strengthen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 이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9-299
    • /
    • 2022
  •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장애 아동·청소년들의 독서 및 도서관 이용과 요구사항을 파악해 보고 국립장애인도서관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서관정책의 개선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대체자료 제작 및 대체자료통합목록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정책과는 다르게 장애 아동·청소년은 주로 종이책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80%가 도서관을 거의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도서관 중심의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장애영역과 학령별 장서 큐레이션을 통한 독서문화 향유 기반 구축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멀티미디어 장서의 국제표준화 개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과의 협력, 특수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장서, 예산 확충을 기반으로 일반학교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과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보건교사의 응급의료체계 인식과 활용 실태 (Understanding and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by Health Educator)

  • 최욱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9-69
    • /
    • 2008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n effectiv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by analyzing health educator' understanding and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t schools. Method : 93 questionnaires from 2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nurses in the city D were collected from May 26 to July 7, 2008 and ${\chi}^2$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SPSS win PC 14.0. Results : 1. As for emergency contact points, 3(3.30%) answers 'they do not have any knowledge', 40(43.96%) said 'they have some idea' and 48(52.75%) said 'they do know about it'. Among 24 respondent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2(8.33%), 16(66.67%) and 6(25.00%) answered 'have no knowledge', 'a little knowledge' and 'clear knowledge on it' respectively. As for 9 who have 6-10 years of career, 1(12.50%), 4(50.00%) and 3(37.50%) answered 'have no knowledge', 'a little knowledge' and 'clear knowledge on it' respectively. Among 32 respondents who have 11~20 years, there were no respondents with no knowledge on the given question, and 9(29.03%) said they have some understanding and 22(70.97%) answered they have clear understanding on the topic. From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different working year groups with ${\chi}^2=16.583$ and p= .010. 2. As for 119 emergency contact in the given district, 24(29.63%), 30(37.04%) and 27 (33.33%) answered 'do not know', 'know' and 'know very well' respectively. As for the question to ask whether they know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1339, 66(70.97%) answered 'Yes' and 27(29.03%) answered 'No'. When it comes to emergency contact numbers and list of hospitals, 59(63.44%) said 'they have some list', 20(21.51%) answered 'they have well established contact network' and 14(15.05%) said 'they have none'. 3. As for the use of 119 service at the time of emergency at schools, 59(63.44%), said 'Yes' and 12(12.90%) answered 'No'. Among those who said 'yes', 29(31.18%), 24(25.81%) and 5(5.38%) answered they have used the service 1-2, 3-5 and 6-10 times respectively. Conclusion : In order to ensure health educator to effectively deal with emergency situations at schools, there should be special activities to enhance health educator' understanding on 119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1339 and at the same time,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onnect schools, 119 in a given district, hospitals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1339.

  • PDF

일부 학교 건축물의 석면함유 건축자재(ACM) 특성과 위해등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grade of risk assessment in schools, Korea)

  • 정준식;박형규;송혜숙;이원정;김윤신;전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029-503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인 우리나라 일부 학교의 석면함유 건축자재을 조사하고 EPA AHERA rule과 ASTM rule을 적용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100개 학교를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건축년도에 따른 ACM 검출율은 1980년대 이전 건축물은 100%, 1990년대 이전은 94.1%, 2000년대 이전은 100%, 2000대 이후는 62.5%로 나타났다. 학교별 ACM 검출율은 유치원과 고등학교는 100%, 초등학교는 97.1%, 중학교는 92.9%, 특수학교는 80%로 나타났다. 천장 텍스는 2~8 %의 백석면과 갈석면, 밤라이트 보드는 6~11 %의 백석면이 검출되었다. 또한 개스킷과 슬레이트 지붕은 각각 16~17 %, 10~13 %의 백석면이 검출되었다. EPA AHERA rule을 이용하여 ACM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건축자재는 "Pool" 등급이 나왔으며, ASTM rule 평가에서는 모든 ACM이 "Q&M program"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의 특징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5-574
    • /
    • 2018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중점학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개선을 위해 시행된 과학중점학교에 대한 전략적 지원과 노력들이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개 과학중점학교의 학생 6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과학중학교 과학수업의 특징과 과학중점학교가 일반 고등학교와 다른 점을 묻는 2개의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의 원활한 소통,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서로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 과학 실험 활동, 어려운 과학 내용을 배우는 것, 학습된 지식을 공유하는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등을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중점학교의 차별적 특성으로는 많은 수의 과학 관련 교과목(과제연구, 과학II 과목 등)의 이수, 관심 있는 분야의 비교과 체험활동, 탐구 및 연구 중심의 학생활동과 이에 대한 학교의 지원, 좋은 수업 분위기, 과학과 관련한 많은 수업시간, 활발한 R&E 및 동아리 활동, 다양한 과학실험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중점학교의 과학수업에 대한 '어렵고 힘들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라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혔던 좋은 과학수업의 모습과 많이 유사한 것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과학중점학교에 대해 이루어졌던 여러 행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과학 교실수업에 대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의 혁신 프로그램의 도입에 실질적인 도움과 벤치마킹 사례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 영재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 강충열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3-250
    • /
    • 2007
  • 1992년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개발 정책은 단위 학교에서 영재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육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연구자는 그 활동을 돕기 위해 초등학교 영재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VanTassel-Baska의 통합적 교육과정 모델(ICM: Integrated Curriculum Model)을 초등교육의 정체성에 비추어 재구성한 것으로서, ICM의 하위모델인 내용 모델, 과정 산출 모델, 인식론적 모델을 초등학교 $1{\sim}6$학년 아동들의 발달단계에 적절하게 그 적용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모형은 초등학교 영재 탤런트 풀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 모형인 동시에, 영재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서도 그 적용 비중이 달라질 수 있는 개인 모델로서도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영민;김현정;이창훈;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5-114
    • /
    • 2011
  •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0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들 중에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제공되는 학술지, 학위 논문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는 1970년부터 시작되어 발행 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0년까지 총 발행부수는 196편이었다. 이 중 학술지 논문은 50편, 학위 논문은 146편이었다. 연구 분야별 동향으로 현장연구, 정책연구, 기초연구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료 수집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설문지, 조직내부자료, 논문, 인터뷰, 관찰 실험 전문가협의회순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방법별 연구 동향은 조사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개발연구, 실험연구 순이었으며 조사연구가 전체 연구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연구의 대상 기관별 연구동향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체 특성화 고등학교, 농업계 고등학교, 상업계 고등학교,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순이었으며 공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의 대상 지역별 연구 동향은 전국, 경기도, 서울,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인천, 강원 제주도,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순이었다. 인적 대상별 연구 동향은 학생, 교사, 산업체, 기타, 대학교직원, 학부모 순으로 학생과 교사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산학협동 유형별 연구 동향은 현장실습, 학교기업, 현장견학, 산업체인사초청, 연수, 인턴십 순으로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 이상이었다.

학교안전교육의 실태분석과 안전교육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ity of School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 김태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83-88
    • /
    • 2005
  • 학교안전매뉴얼의 필요성은 최근의 학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안전사고의 증가세에서 알 수 있듯이 사고의 유형은 학교내외의 인적사고, 교통, 화재, 폭팔 등 다양하게 발생 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학교내의 안전사고는 예측 할 수 없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또한 최근의 불법침입에 의한 불특성 다수를 겨냥한 폭력이 다수 발생 학부모나 교육관계자에게 그 위험을 알리고 있다. 학교안전매뉴얼은 전례 없는 획기적인 개념의 학생안전 교육의 방법으로서 교직원 및 학생과 학교의 종사자 전부에게 비상시에 대응적 측면에서 피난등 안전확보 조치와 상시 안전사고를 예방차원에서의 교육을 바탕으로 안전의식가치관 향상을 위하여 위험에 대한 판단방법을 위한 교육과 위험물사용 기본지식을 주입시키고 관련시설에 대한 안전 Check List 활용과 사용방법 실습 그리고 시설물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학교안전매뉴얼은 학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사고로부터 예방차원의 안전교육을 위한 지침서로서의 역할과 발생 후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여러 유형을 제시함과 동시에 학내시설 및 위해 요소에 대한 평가와 대략적인 안전시설평가, 그리고 그에 따른 공간요건을 분석하여 기존 시설물 안전관리상태와 신규시설물 설치와 이용 시 안전 확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지침서로서 평가되어 진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