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y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 아카이브즈의 사진자료 관리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hotograph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Archives - The Case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

  • 김정남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8-113
    • /
    • 2003
  • 사진은 다른 기록물과 비교하여 물리적 특성과 정보를 담고 있는 형식의 차이 때문에 특별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학 아카이브즈에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사진자료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먼저 대학 관련 사진이미지를 싣고 있는 대학 간행물에서 사진이미지를 추출하고, 서지정보를 파악하여 워크시트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사진자료의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대학 간행물로부터 추출해낸 사진이미지를 편집하고 이를 서지데이터베이스에 링크시킴으로서 사진의 서지정보 검색과 더불어 이미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을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몇 가지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A meta-analysis of microbiota implicated in peri-implantitis

  • Han-gyoul Cho;Ran-Yi Jin;Seung-Ho Ohk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8권3호
    • /
    • pp.19-31
    • /
    • 2023
  • Peri-implantitis is a disease affecting the tissue surrounding dental implants, destroying both soft and hard tissues. A total of 2,015 studie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items in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including keywords, such as "peri-implantitis," "microbiota," and "microbiome." Of them, 62 studies were screened and considered eligible for analysis. Only 16 studies qualified all criteria mentioned here: "Using PCR methods for microorganism detection," "Suggesting quantified results," "Stating obvious clinical diagnosis criteria ("Bleeding on probing," "Probing pocket depth," "Suppuration," and "Radiographic bone loss")." Only 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because the others had special issue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revotella intermedia, and Epstein-Barr virus were the microbiological subjects of analysis. The odds ratio (OR) between the healthy implants and peri-implantitis were calculated for each microorganism to compare two groups, and the forest plots were suggested as the visual materials. P. gingivalis (1.392 < OR < 2.841), T. forsythia (1.345 < OR < 3.221), T. denticola (2.180 < OR < 5.150), A. actinomycetemcomitans (1.975 < OR < 6.456), P. intermedia (1.245 < OR < 3.612), and Epstein-Barr virus (1.995 < OR < 9.383). The species showed that their 95% confidence interval of odds ratio was higher than 1, indicating that they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periimplantitis than in healthy implants. Meanwhile, other species, such as Fusobacterium nucleatum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because the number of studies was insufficient.

비도서자료의 매체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um Designator In Non-book Materials)

  • 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119-140
    • /
    • 1988
  •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Medium Designator in Non-book materials.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dium designator serves to indicate the class of material to which an item belongs. This is used to give an 'early warning' ;to the catalogue user. 2. This medium designat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two elements ; a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for example video-recording, and a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 (SMD), for example, videodisc. 3. GMD: In cataloging,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uch as 'motion picture', and SMD : In descriptive cataloging,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usually the class of physical object) to which a biblographic item belongs, such as videocassette. 4. Locating the medium designator after the title proper was not prescribed until ISBD(G) and AACR2. In pre-ISBD(G) codes, the ,early, warning type of medium designator was placed after all title information. But in AACR2, the medium designator is placed after the title proper, but before parellel title and other title information. 5. In Terminology, Two separate lists of designations are given in AACR2, l.1C1, one for British and one for North American use. The British list contains fewer terms, and uses generic categories to group together some of the North American list. 6. The problem of where to place the medium designator might be circumvented by using some kind of early alerting device other than a formal element of biblliographic description. Various alternatives have been suggested. A more popular device is the provision of symbols or 'media code' which are part of the call number and indicate the porticular medium type. 'Colour-coding' the use of used by some libraries but is now longly discouraged. 7. According to Frost. The medium designatorhas been generally reeognized as serving three functions; 1) as a statement of the nature or basic format of the item cataloged and thus as a meant of informing the user as to the type of material at hand; 2) as a description of the physical charaetistics of medium and as a means of alerting the user to equipment needed to make use of the item. 3) as a device to distinguish different physical formats which share the same title. 8. AACR2 raises some problems which decision makers have neet had to face preriously It provides a GMD for every item in the collection including books and it makes the application of any or all GMD's optional.

  • PDF

초록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서 학술지 전자출판 파일의 활용과 문제점: KoreaMed를 중심으로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Journal Files in the Production of an Abstract Database: A case of KoreaMed System)

  • 이춘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인쇄본 학술지 발행과정에서 발생된 학술지의 전자출판 파일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초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2001년 현시점에서 무엇이 가능하며 어떤 것이 문제점인지를, 현재 국내에서 영문으로 구축되고 있는 한국 의학학술지 논문의 초록 데이터베이스인 KoreaMed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술지 인쇄출판시 생성된 컴퓨터 파일을 이용하여 초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KoreaMed의 구축방법론은 데이터의 정확성, 입력작업의 신속성, 비용절감 등에 있어서 그 효율성은 입증되었으나, 학회의 절대적인 협조 없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국내 학회와 인쇄소의 영세성으로 학술지 파일의 보관이 잘 안되어 있어서 학술지 과월호 파일의 수집이 수월하지 않으며, 새로 발행되는 호의 컴퓨터 파일 수집을 위해 학회와 계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출판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하는데 있어서 제일 까다로운 문제는 특수문자의 처리이며, 학술지마다 출판형식 (layout과 format)과 파일 구성방식이 다르고, 사용하는 출판편집 소프트웨어가 다르며, 학술지 파일의 수록매체 등이 매우 다양한 것도 데이터 처리를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학술지 발행과 동시에 학술지 발행기관이 직접 XML로 가공하여 KoreaMed에 제출하는 등 KoreaMed 시스템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공조체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학술지 전자출판파일의 관리와 XML파일 만들기 등에 대한 계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 PDF

디지털 특수자료를 위한 XML 스키마 기반의 메타데이터 표현 체계 (A Metadata Representation Scheme based on XML Schema for Special Digital Collections)

  • 오삼균;채진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9-131
    • /
    • 2004
  • 정보자원의 전달 매체와 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이에 대한 관리방법 또한 다양화되어 왔다. 도서관 환경에서는 정보자원를 위한 관리방법으로서 AACR, KCR 등의 목록규칙이 정립되었으며 이러한 목록규칙에 근거한 정보자원관리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서 MARC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MARC 레코드는 서지 레코드가 지니고 있는 의미적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하는 구조적 경직성으로 인해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적 특성을 지니는 정보자원들을 적절히 기술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즉, MARC의 기본 설계 목적이 몇몇 정보유형에는 비교적 적합하더라도 새로운 형태의 정보유형의 다양성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MARC를 활용한 정보자원 관리 방식에서는 정보자원 간 연결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한다. 즉, MARC의 데이터 모델은 자원기술의 대상을 단일의 객체로 파악하는 단층 데이터 모델이기 때문에 여러 객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정보자원 기술이 필요한 경우는 적절치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IFLA FRBR 기본 모델을 기초로 하여 전자도서관에서 사용되는 고서, 고문서, 음악 자료, 학술회의 및 세미나 자료의 관리에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메타데이터 모델과 이에 대한 XML 스키마 기반의 표현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DDC와 KDC의 문학분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iterature class in DDC and KDC)

  • 심의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39-6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Belles-letters) class in DDC 19 and literature class in KDC 3.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ection of philosophy and theory of literature in DDC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s including subsection of theory of criticism but KDC didn't subdivide this section. 2. In DDC, the subsections of 'rhetoric in specific languages' and 'rhetoric of specific kinds of composition' in rhetoric section was established and can subdivide according to each languages and subjects. These considerations can be useful as compared with KDC. 3. In DDC, collections or criticism of several literatures in specific forms can be more subdivide according to specific aspects or features dealing with in the collections or criticism by a n.0, pplying Table 3-A when specified more than the literary form. 4. Reviewing a notational rank to be assigned in literatures of specific languages, Latin literature and Classical Greek literature to be ranked in division in DDC was established as subsection in KDC to treat them as literatures of minor languages. 5. The DDC can sometimes a n.0, pply, in literatures of all languages, the notations of Table 3 to be subdivided again as specific kinds of literary forms, but KDC subdivided literary forms as specific kinds of each forms in only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6. In DDC, even literatures of minor languages are provided with 'the period table for the specific literature' under each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in schedules and these period tables can be a n.0, pplied a n.0, ppropriately, but period numbers in KDC was established in only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7. The optional use of letter prefixes or special numbers such as 828.99 to distinguish literatures of countries other than the "mother country" which makes the use of period tables feasible, but the KDC can only use to distinguish without the function of dividing a period such as DDC. 8. According to a n.0, pplying Table 3 and 3-A also in literatures of specific languages(810-890), a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a specific literary form in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and a literature or literary form of specific period, in case of a n.0, pplying 'form divisions 08-09', can subdivide again by a specific aspect or feature dealing with in the works when specified. 9. For grasping the rate of subdividing, after selecting several sample-titles in literary field, they classified by DDC and KDC and gave a definite score in accordance with analytic small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e of subdividing in literature class of KDC is proved as less 22.8% than DDC. than DDC.

  • PDF

정책정보전문사서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ining Plan of Policy Information Librarian)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정책관련 전문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자질, 자격, 직무 등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문사서관련 문헌자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고, 또한 국내외 구인구직사이트에 제시하고 있는 정책정보전문사서의 자격, 자질, 직무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설문문항으로 개발하여 관련 분야 전문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헌정보학 학력은 문헌정보학 석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책관련 분야 학력도 석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경력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정책정보관련 참고서비스 제공 경험 및 경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 6년 이상의 도서관 분야 경력 중 최소 2년 이상의 정책정보관련 분야 경력, 정책정보관련 교육 경험 및 경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자질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뛰어난 정책정보관련 자료탐색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책정보에 대한 지식 및 정책정보관련 자원에 대한 지식, 정책정보관련 분야의 현 트렌드에 대한 지식,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책정보전문사서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 및 직무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 기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책정보서비스 제공, 정책정보 장서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독일목록규칙의 기본기입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of Main Entry in German Cataloging Rules; a comparison with the title entry in the Orient)

  • 김태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61-101
    • /
    • 1991
  • This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main entry principle in German cataloging codes, with special emphasis on RAK. With rerard to the functions of catalog,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title main entry in the Orient and author main entry in the West has been made. The analysis confirms in this study that various criteria in choice of the entries in RAK have been adopted. In case of works where the persons who have played different roles in the works are named on the title page, as well as related works and works of mixed responsibility, the criteria of entry determination are complex and time consuming process and have no absolute value. And there are also various kinds of problems in corporate entries including confirmation of originator(Urheber), choice of either the territorial authority corncerned or corporate bodies as an ent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ublications, and a unique bibliographical situation of treaties. This means the code is absence of absolute value in selecting entries, and this results in adoption of main entry principle which has lost its significance for the purpose of cataloging. With emergence of the ISBD and actualization of automated cataloging, morever, all entries are equal as points of access. It would eliminate the need for personal judgements required in choice of main entry by the present code. In doing so, it would bring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 to cataloging practice. In direct approach to works, title entry is more developed finding device than author entry in cataloging theories. Thus introduction of unit card system beginning with title which is adopted in KCR3 would be desirable, the complicated rules for the choice of entry could be abandoned from cataloging codes. Most of the user studies show that catalog users have placed higher value on the title entry as a finding device and each entry is equal as access points through unit entry. This means that choice of a given entry as a main entry is unnecessary in cataloging codes. Title entry would be a rather simple standard and direct approach for works. This study proves that the traditional title entry of Korea is superior to author main entry in the Western world in cataloging theory. Thus recommendation to be made is that abandonment of author main entry from cataloging cod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 PDF

고전적(古典籍) 정리·번역서의 종이책과 전자책 이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towards the Utility of Publication Formats between Printed Books and Electronic Books of Korean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 고영만;심원식;송민선;윤현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9-283
    • /
    • 2018
  • 본 연구는 고전적 정리 번역서의 향후 출판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출판 방식의 변화와 현황 및 고전적 정리 번역서의 출판 형태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종이책과 전자책의 이용에 관한 국내외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국내 주요 기관의 고전적 정리 번역서 출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의 메일링리스트를 활용해 전문가와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책은 종이책을 완벽하게 대체하는 매체로 간주되기는 어려우며,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당분간 종이책과 전자책의 병행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종이책과 전자책의 개인적 사용가치, 소장가치, 가독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일반이용자와 전문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이나 관련 기관에서의 보존가치에 대한 평가에서는 종이책에 대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었으나 전자책의 경우에는 집단 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술 연구나 번역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종이책 형태의 고전적 정리 번역서가 전자책에 비해 더 선호되며, 온라인을 통한 이용에 있어서는 전자책보다 데이터베이스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적 정리 번역서의 전자책 구현을 위해서는 고전적의 특수성과 상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기술적으로 모든 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한 표준화된 플랫폼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 자녀와 일반인 자녀의 독서행태 비교연구 -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ading Behavior between Children of Children's Reading and Culture Movement Organization Members Versus Non-member Children: Based on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 김은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5-64
    • /
    • 2021
  • 이 연구는 부모의 독서 활동이 자녀의 독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와 일반인·일반인 자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전국 5개 특별광역시 초등학생 477명, 학부모 48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독서행태를 조사하였다. 독서행태는 독서 빈도, 도서 선택정보원, 독서 인식, 선호도서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의 회원·회원 자녀와 일반인·일반인 자녀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일반인·일반인 자녀보다 양질의 독서행태를 보여 독서 빈도가 높고, 도서선택 정보원을 활용하였다. 독서 인식에서는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독서 목적에서 학습보다는 즐거움으로 인식을 하였다. 선호도서에서는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우리 창작동화, 그림책 위주의 도서를 선택하였으며 일반인·일반인 자녀는 우리 창작동화, 그림책, 학습만화를 선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장기적인 측면에서 건강한 독서문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독서 참여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