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y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8초

Library Science Education and Competitive Intelligence in the United States

  • Fernando Elichirigoi;Yong-Jae Lee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3-198
    • /
    • 2002
  • In this paper we discuss what Competitive Intelligence means, why it is growing in importance in the business world and how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re responding to the opportunities presented by Competitive Intelligence. As a conclusion, we discuss some of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Korea.

  • PDF

특수형태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Format Archives)

  • 박진희;이두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1-26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과 이용측면에서 급증하고 있는 특수형태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이용하기 위한 기술요소를 설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기록물 기술요소 외에 특수형태 기록물 기술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각국의 기록물 기술규칙을 대상으로 특수형태 기록물 관리에 필요한 영역과 요소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기술표준인 ISAD(G)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역을 기준으로 기술요소들을 설정하였다.

뉴욕타임즈 정보은행

  • 이병목
    • 도서관문화
    • /
    • 제13권7호
    • /
    • pp.18-21
    • /
    • 1972
  • 역자 주. 이 기사는 John Rothman씨가 ;The New York Times Information Bank'란 표제로 Special Libraries, vol. 63( April 1972), p.11-115에 기고한 것을 Special Libraries와 필자의 번역허가를 얻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Rothman씨는 뉴욕에 있는 ‘뉴욕타임즈’사의 도서관 및 정보업무담당 도서관장으로 재직 중에 있다.

  • PDF

대학도서관 장서구성의 영향요인 분석- 부산대학교도서관 교육학장서를 중심으로 -

  • 김정근;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55
    • /
    • 1994
  • The present survey aimed at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 of the Education Collection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wo areas of influencing factors, i.e.., library factors and user factors. Library factors includ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anpower, materials received as gift and budget. User factors included faculty and students. For analyzing the factors, the present researchers have relied on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using heavily documents produced within the case library, interviews librarians, faculty and students, and observation.

  • PDF

기관특성과 개인환경에 따른 전문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도 연구 (A Study on Job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in Special Libraries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Backgrounds)

  • 한종엽;서만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1-23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도서관 직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 수준을 진단하고, 소속기관과 개인환경에 따라 나타나는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민간기관이 '보수', '승진', '전반적인 만족도' 요인에서 공공기관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도서관이 독립적 부서로 존재하는 기관이 그렇지 않은 기관에 비해 '직무자체', '보수', '동료관계' 요인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보수'와 '승진'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비정규직은 '상사 및 감독' 요인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관리자급이 '보수'와 '복무제도', '승진' 요인과 '전반적 만족도'에서 비관리자급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전공별로는 문헌정보학 전공자가 '직무자체', '복무제도', '승진', '시설환경'에서 비전공자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다소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해 전문도서관 직원의 욕구와 감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직무만족의 장애요인을 제거함으로써, 도서관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문도서관 기반의 지식경영 방법론 연구 - 특히 참고 정보봉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Knowledge Management Methodology Through the Reference Services, the Core of the Special Libraries)

  • 노정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43-364
    • /
    • 2003
  •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의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론 연구나 정부의 기업 경영혁신 시행 지침으로 지식경영을 주요한 도구로 하고 있는 데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식경영은 결국 지식의 순환과정, 즉 지식의 생성, 축적, 공유, 활용, 학습과정을 원활하게 촉진시켜서 기업내의 지적자산의 질과 양을 향상시켜 기업내의 많은 의사결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정의되는데, 이러한 정의는 곧 전문도서관의 운영이론 및 철학과도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이 이미 기업 내에 설치하고 있는 전문도서관을 활용하여 지식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향후 전문도서관 기반의 지식경영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전문도서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참고 정보봉사를 통하여 지식경영의 주요 요소인 지적자원과 인적 자원이 융합하며, 기업 문화가 활성화되는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는 향후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 새로운 방식에 의한 지식경영 추진을 위한 의미있는 벤치마킹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하와이대학교 한국 컬렉션 현황 연구 - '스페셜 코리안 컬렉션(Special Korean Collecton)'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Collection at the University of Hawaii Focus on the Special Korean Collection)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9-349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하와이대학교 해밀턴 도서관의 '스페셜 코리안 컬렉션(Special Korean Collecton)'에 주목하여 한국학 자료들의 실제적인 구축 현황을 살피고자 했다. 이 컬렉션에는 마샬 필(Marshall Pihl)의 희귀 도서와, 대학 기관인 '한국학센터(Center for Korean Studies)'가 수집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대상으로 첫째, 한국학 자료들의 실제적인 구축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학문 분야와 자료의 성격, 그 가치는 무엇인가? 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료적 가치를 해명하고, 한국학 자료 체계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는 미주 지역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한국학 자료에까지 확산될 논의이기도 하다. 현재는 이주 초기 한국학 자료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부족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구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동포들의 학문 및 문학, 문화, 예술 등 각 분야에 걸친 자료들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본고는 코리안 컬렉션의 체계화와 향후 방향성을 모색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1호
    • /
    • pp.48-51
    • /
    • 2009
  • PDF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3호
    • /
    • pp.65-69
    • /
    • 201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