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Index Structur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Adaptive Cell-Based Index For Moving Objects In Indoor

  • Shin, Soong-Sun;Kim, Gyoung-Bae;Bae, Hae-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7호
    • /
    • pp.1815-1830
    • /
    • 2012
  • Existing R-tree that is based on a variety of outdoor-based techniques to manage moving objects have been investigated.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and outdoor, it is difficult to management of moving object using existed methods in indoor setting.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called ACII(adaptive Cell-based index for Indoor moving objects) for Indoor moving objects. ACII is Cell-based access structure adopting an overlapping technique. The ACII refines cells adaptively to handle indoor regional data, which may change its locations over time. The ACII consumed at most 30% of the space required by R-tree based methods, and achieved higher query performance compared with r-tree based methods.

공간 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궤적기반 색인구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rajectory-based Index Structure for Moving Objects on a Spatial Network)

  • 엄정호;장재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2호
    • /
    • pp.169-181
    • /
    • 2008
  • 대부분의 이동객체들은 공간 네트워크상을 움직이기 때문에, 그들의 궤적을 효과적으로 색인 검색할 수 있는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도로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상의 궤적 기반 색인 구조에 대한 연구는 FNR-트리나 MON-트리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FNR-트리나 MON-트리 또한 이동객체의 세그먼트만을 저장할 뿐 전체 궤적을 유지하지 못하여, 궤적 질의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궤적기반 색인 구조인 TMN -Tree(Trajectory of Moving objects on Network-Tree)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동객체를 공간과 시간 특성으로 분류하고, 궤적을 유지함으로써 영역질의와 궤적질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아울러, 사용자 질의를 시공간영역 내 궤적 질의, 시간영역 내 유사궤적 질의, k-최근접 질의로 분류하고, 이들을 처리하기 위한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기존의 색인구조인 FNR-Tree, MON-Tree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UIL:A Novel Indexing Method for Spatial Objects and Moving Objects

  • Huang, Xuguang;Baek, Sung-Ha;Lee, Dong-Wook;Chung, Weon-Il;Bae, Hae-Yo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26
    • /
    • 2009
  • Ubiquitous service based on Spatio-temporal dataspaces requires not only the moving objects data but also the spatial objects. However, existing methods can not handle the moving objects and spatial objects togeth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methods,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called UIL (Union Indexing Lists) which contains two parts: MOL (Moving Object List) and SOL (Spatial Object List) to index the moving objects and spatial objects together. In addition, it can suppose the flexible queries on these data. We present the results of a series of tests which indicate that the structure perform well.

  • PDF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을 위한 동적 해슁 구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hashing structure for indexing the curren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 전봉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66-1272
    • /
    • 2004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체의 위치에 종속적인 결과를 얻는 위치 기반 질의를 필요로 한다. 이동체의 위치는 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동체의 색인은 변경된 위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갱신 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기존의 공간 색인들(그리드 파일, R-트리, KDB-트리 등)은 정적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효과적인 색인이다. 이들 색인은 연속적으로 위치 데이터가 변경되는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삽입/삭제 비용이 적은 동적 해슁 색인을 제안한다. 동적 해슁 색인 구조는 해쉬와 트리를 결합한 동적 해슁 기술을 공간 색인에 적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에서 동적 해슁 색인은 $R^*$-tree와 고정 그리드 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분산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범위 질의 처리 (An Efficient Range Query Processing of Distributed Moving Object)

  • 전세길;우찬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42권1호
    • /
    • pp.35-40
    • /
    • 2005
  • 최근 들어 이동 통신에서 이동하는 고객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서비스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객체의 경우 갱신 연산이 많고 부하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LBS 응용에서 시공간 영역질의는 중요한 부분이고, 질의 처리속도의 개선을 위해서 디스크 입출력 시간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갱신연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시공간 인덱스 구조로 비 균등 2단계 격자 인덱스 구조를 적용한다. 또한 질의 처리률 향상을 위해서 공간 관련성과 시간 관련성을 이용한 스케줄링 기법과 time zone 개념을 사용하여 시공간 개념이 결합된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질의 범위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공간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를 위한 그리드 기반 유사 궤적 검색 (Grid-based Similar Trajectory Search for Moving Objects on Road Network)

  • 김영창;장재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40
    • /
    • 2008
  • 최근, 이동 단말기의 확산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객체들의 과거 궤적 데이터에서 이동 객체의 미동 패턴을 이용하는 응용 서비스의 활용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특히, 대중교통의 노선 설계나 새로운 도시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설계에 활용하기 위하여, 도로나 철도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객체의 궤적들의 유사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 궤적을 위한 시공간 유사 궤적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 네트워크상에서 실제 도로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시공간 유사도 측정방법을 정의하고, 효율적인 유사 궤적 검색을 위한 그리드 기반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사 궤적 검색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Rend 3DR-tree를 이용한 색인 기법 (Index method of using Rend 3DR-tree for Location-Based Service)

  • 남지은;임기욱;이정배;이종욱;신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97-104
    • /
    • 2008
  • 최근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측위 기술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이동 객체의 수가 많고 위치 획득 간격이 짧을수록 위치 데이터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에 대용량의 위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시공간 인덱싱을 지원해야 하고, 또한 이동 객체의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갱신하면서 현재 데이터와 과거 데이터의 인덱싱을 지원하는 색인 구조로 3DR-tree 기법을 활용하여 색인시 노드간의 겹침을 보완하고 사장 공간을 줄이는 Rend 3DR-tree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이동 객체 경로 탐색을 위한 시공간 클러스터링 기법 (A Spatio-Temporal Clustering Technique for the Moving Object Path Search)

  • 이기영;강홍구;윤재관;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7-81
    • /
    • 2005
  • 최근 들어 지리 정보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경로 검색, 주변 정보 검색, 응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텔레매틱스 등의 새로운 응용 서비스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에서 사용되는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의 사용자의 검색은 시간 축을 현재의 시간으로 고정하고 공간 및 비공간 속성을 검색하기 때문에 시간 축에 대한 검색 범위가 넓을 경우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요약하는 기법인 스냅샷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냅샷 기법은 저장해야 되는 총간 영역이 넓을 경우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검색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영역까지 스냅샷을 생성하므로 저장 공간 및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냅샷 기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전에 공간 클러스터링을 위해 사용되던 2차원의 공간 해시 알고리즘을 시공간으로 확장한 해시-기반 시공간 클러스터링 알고리즘(H-STCA)과 과거 위치 데이타로부터 이동 객체 경로 탐색을 위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H-STCA 알고리즘에 근거한 지식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대용량의 이동 객체 데이터에 대한 검색 시간, 저장 구조 생성 시간, 최적 경로 탐색 시간 등에서 H-STCA를 사용한 스냅샷 클러스터링 방법, 기존의 시공간 인덱스 방법, 스냅샷 방법과의 성능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능평가 결과로 H-STCA를 사용한 스냅샷 클러스터링 방법은 기존의 시공간 인덱스 방법이나 스냅샷 방법 보다 이동 객체의 개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성능 향상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색인 구조의 비용모델 (Cost Model of Index Structures for Moving Objects Databases)

  • 전봉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23-5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동체들을 관리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색인 기법을 개발하고, 이 기법의 비용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삽입/삭제 비용이 적은 동적 해싱 색인을 제안한다. 동적 해싱 색인 구조는 해쉬와 트리를 결합한 동적 해싱 기술을 공간 색인에 적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체의 빈번한 위치 변경에 대한 비용 모델과 동적 색인 구조를 분석하였고,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새로이 제안하는 색인 기법(동적 해싱 색인)은 R-tree와 고정 그리드 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TPKDB 트리 : 이동 객체의 효과적인 미래 위치 검색을 위한 색인구조 (TPKDB-tree : An Index Structure for Efficient Retrieval of Future Positions of Moving Objects)

  • 서동민;복경수;유재수;이병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6호
    • /
    • pp.624-640
    • /
    • 2004
  • 최근 위치 기반 기술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면서 이동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색인구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 위치 검색 및 갱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시공간 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는 갱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직접 접근하기 위한 보조 색인 구조와 공간 분할 기반의 KDB-트리를 결합한 색인 구조이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에서는 이동 객체의 미래 위치 검색 및 갱신 비용을 줄이기 위해 KDB-트리의 중간 노드에 시간에 대한 파라미터를 유지한다. 또한 제안하는 색인 구조에서는 공간활용도 및 검색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갱신 및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