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Distribution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3초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 (Spatio-Temporal Distributional Changes of Bamboo)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44-457
    • /
    • 2001
  • 우리 나라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참대속부터 산죽속에 이르는 모든 대나무의 분포 북한계선은 백령도 - 장수산 - 멸악산 - 용문산 - 명지산 - 추애산 - 후탕 - 묘향산 - 명천에 이르는 선 남쪽이다. 화석에 따르면 한반도의 대나무는 지질시대부터 분포하였고, 고문헌에 의하면 대나무는 조선시대에 의식주 등의 생활재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 초기부터 일제 때까지의 고문헌들을 기초로 한 왕대와 이대 등 군현별 시대적 분포지 복원에 따르면 대나무는 시대에 따라 분포지가 변화하였다.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는 기후변화 등 자연적 요인과 함께 재배와 이식 등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다. 최근 국내 죽세산업이 침체되면서 대 나무숲이 다른 용도로 바뀌어 사라지거나, 반대로 방치되어 확산되면서 자연식생을 교란시키므로 농촌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관리와 보전 대책이 요구된다.

  • PDF

사면에서 지형분석을 통한 토양수분 시공간 회귀분석 (Spatio-tempora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oil Moisture Measurements and Terrain Attributes at Hillslope Scale)

  • 송태복;김상현;이연길;정성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1-170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산지사면에서 나타나는 수문과정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서 관측된 토양수분의 분포와 거동을 수치지형분석을 통한 지형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계절에 따른 강우 및 토양구조의 차이가 영향을 주는 사면 깊이 별 토양수분의 변동을 상관성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경기도 파주시 설마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면에서 봄, 여름, 가을 등 각 3계절을 대상으로 4월, 7월, 10월 기간의 토양수분 시계열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지표면과 기반암의 표고 모형을 사용하여 다방향 흐름 알고리즘과 경사도, 곡률 등 18개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지형과 토양수분의 상관관계는 계절별로 강우의 양상과 토양 깊이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통해 사면에서 토양수분의 분포 및 흐름선을 예측하여 공간적인 분석을 도모하고, 토양수분의 거동을 가장 적합하게 모사하는 모형과 지형요소를 평가하고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이성 분석: 동적 시각화방법을 토대로 (Time-Space Variability Analysis for the Weekly Passenger Flow of the Seoul Subway System: Based on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 이금숙;김호성;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8-172
    • /
    • 2017
  • 본 연구는 동적 시각화 방법을 토대로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동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1주일치 교통카드 자료에서 요일별로 1분 간격으로 지하철 승객흐름을 추출한다. 지하철망상의 통행흐름의 시공간적 분포를 나타낼 수 있도록 동적 시각화 방법을 고안하여 지하철 승객의 시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요일 간 변동성을 직관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로 주중과 주말 지하철 승객흐름의 시공간적 분포 패턴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주중과 주말에도 요일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서울의 주요 중심업무지역들과 유흥지역들의 승객흐름에도 요일별 승객흐름 양상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의 토대가 될 뿐 만 아니라 도시 재해 재난이 발생할 경우 피해에 노출되는 인구규모를 파악하고 신속한 대피대책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지역 원격탐사 footprint 내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within Remote Sensing Footprints in Semi-arid Area)

  • 황교택;조훈식;·이승오;최민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285-293
    • /
    • 2010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생태학적 과정에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물과 에너지의 교환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이의 시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6~9월에 걸쳐 추진되었던 Soil Moisture Experiment 2004(SMEX04) 프로젝트를 통하여 측정된 미국 Arizona 주의 Walnut Gulch Experimental Watershed 유역에 대한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지역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통계적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시간 안정도를 분석하여 각 지점의 강우사상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고 공간 변동성 분석을 통해 유역 내 강우관측소 주변 5개 지점을 대상으로 각 지점의 평균토양수분과 이의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역에서 토양수분의 공간적인 분포는 대수정규분포가 적합하다는 것과 건조지역에서 보이는 공통된 특징인 높은 공간적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 안정도 분석을 통해 지점별로 시간과 강우 발생에 대해 민감한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강우사상이 토양수분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은 차후 인공위성 토양수분 데이터의 retrieval algorithm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환경 요인에 따른 고군산 군도 간석지의 시공간적 변화 탐지 (Monitoring Spatiotemporal Changes of Tidal Flats in Go-Gunsan Islands by Environmental Factors using Satellite Images)

  • 이홍로;이재봉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43
    • /
    • 2005
  •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고군산 군도 미지형을 무감독 분류의 ISODATA 기법과 감독 분류의 최근린법으로 분석한 시공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각각의 퇴적물 지형은 새만금 방조제 공사 진행에 따라 지리적 요인과 기후 환경적 영향에 대하여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구분한 결과는 간척 계획수립과 간척된 이후의 퇴적 및 침식 지형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Landsat TM 7개의 band 중에서 밴드 4는 조간대와 해변의 구분, 그리고 밴드 5는 조간대에 대한 세부적인 미지형의 분류에 이용하며, 위성영상이 미지형 변화의 탐지에 효율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분류 및 변화에 대한 탐지는 제방 축조공사가 완료된 후 방조제 외측에 위치한 고군산 군도에서 갯벌이 형성되는지의 여부를 밝히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공간 종속성을 고려한 빈집발생 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of Vacant Houses's Occurrence using Spatio-Temporal Model)

  • 김유현;김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1
    • /
    • 2023
  • 최근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도시축소 현상과 지방도시의 쇠퇴는 빈집이라는 새로운 도시문제를 낳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집한 공간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빈집 분포를 살펴보고 시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한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빈집발생의 요인을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결과 빈집은 시공간적으로 종속성이 있었으며, OLS 모형에 비해 시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하여 빈집 발생 요인을 추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동적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빈집발생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주택관련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빈집 발생의 관리를 위해서는 인구이동, 양호하지 못한 인프라 등 뿐만 아니라 주택 공급량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동요인별 시·공간적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인구분포 예측: 마르코프 연쇄 모형을 활용하여 (A Markov Chain Model for Population Distribution Predic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by Migration Factors)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1-3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이동요인별 인구이동 및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징을 분석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분포의 변화를 예측하고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 가족, 주택, 교육 등 주요 이동요인별 거주지 변화로 나타나는 지역별 인구이동의 추이를 파악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의한 인구분포의 변화를 추정하는 예측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거주지를 변경함에 있어 대도시지역과 시 단위 중심의 지리적 이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도시와 시 단위 내에서도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동요인별 구성 비율은 각기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동요인별 시군구별 추이확률과 상태확률을 토대로 6단계-정상 마르코프 연쇄 프로세스를 진행한 결과, 각 이동요인에 따라 장래 시군구별 인구분포의 변화 정도도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과 분석결과는 특히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이 우려되는 지역에서 인구의 유입요인은 강화하고 유출요인은 개선하는 지역 맞춤형 인구 및 각종 정책을 계획하고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소양호에서 외부기원유기물의 유입, 유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in Large Dam Reservoir, Lake Soyang)

  • 박혜경;권오윤;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8-97
    • /
    • 2011
  • To identify the inflow and outflow characteristics of allchthonous organic matters and examine the change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load pattern due to the climate change,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tions of DOC and POC concentrations within inflow water and dam discharge water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OM within the lake water in Lake Soyang which is the largest dam reservoir in Korea in 2006. Most of allochthonous DOC flowed into the lake water during initial rain and was not affected by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hereas most of allochthonous POC flowed into during concentrated heavy rain and the concentration of POC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inflow water and precipitation. Calculated annual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loads in Lake Soyang from 2003 to 2006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amount of inflow water and the concentration of POC indicate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loads are mainly affected by total influx and extreme influx of inflow water.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OM indicated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of inflow river during flood period in July transported from upper part to middle and lower part of the lake a month later respectively along the middle layer of water column in Lake Soyang.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삼척 바다목장 해역의 어류 자원량 추정 (Biomass estimation of fish in Samcheok marine ranching area (MRA) of Korea using the scientific echosounder)

  • 이정관;박근창;오선영;이사라;오우석;황두진;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3호
    • /
    • pp.242-252
    • /
    • 2023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season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 fish in Samcheok marine ranching area (MRA) of Republic of Korea using the scientific echosounder. Fish trap and gillnets were used to identify fish species in the survey area, and dB-difference method was used to estimati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density of fis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in Samcheok marine ranching area were Chelidonichthys spinosus, Sebastes inermis, Hexagrammos otakii and Tribolodon hakonensi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howed that fish had a relatively higher distribution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In addition, the density of fish by season was highest at night in July at 34.22 g/m2 and lowest in April at 0.42 g/m2.

새만금 해역에서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t the Saemangeum Area)

  • 박기홍;김근용;김창훈;김학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2-208
    • /
    • 2004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as investigated by palynological processing to understand the harmful algal bloom (HAB) potential in the sediment of the Saemangeun area in 2003. In total, thirty-two dinoflagellat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6-1,618\;cysts{\cdot}g^{-1}$ (dry weight). The concentrations of resting cysts were higher in the spring (26 species, $64-1,101\;cysts{\cdot}g^{-1})$ and summer (30 species, $81-1,618\;cysts{\cdot}g^{-1})$ than in the autumn (32 species, $6-1,150\;cysts{\cdot}g^{-1})$ and winter (24 species, $25-728\;cysts{\cdot}g^{-1}).$ The composition rate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to the tota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utrophication process, to ranged from 6 to $29\%$ in the study are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toxic Alexandrium tamarense/catenella $(25\%)$ followed by Gonyaulax scrippsea $(9\%)$ and toxic Protoceratium reticulatum $(5\%).$ Given the high abundance of the toxigenic dinoflagellate species, the Saemangeun a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great potential for HAB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