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동요인별 시·공간적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인구분포 예측: 마르코프 연쇄 모형을 활용하여

A Markov Chain Model for Population Distribution Predic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by Migration Factors

  • 박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투고 : 2019.09.25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이동요인별 인구이동 및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징을 분석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분포의 변화를 예측하고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 가족, 주택, 교육 등 주요 이동요인별 거주지 변화로 나타나는 지역별 인구이동의 추이를 파악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의한 인구분포의 변화를 추정하는 예측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거주지를 변경함에 있어 대도시지역과 시 단위 중심의 지리적 이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도시와 시 단위 내에서도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동요인별 구성 비율은 각기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동요인별 시군구별 추이확률과 상태확률을 토대로 6단계-정상 마르코프 연쇄 프로세스를 진행한 결과, 각 이동요인에 따라 장래 시군구별 인구분포의 변화 정도도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과 분석결과는 특히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이 우려되는 지역에서 인구의 유입요인은 강화하고 유출요인은 개선하는 지역 맞춤형 인구 및 각종 정책을 계획하고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in Korea by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major migration reasons.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migration reason(such as job, family, housing, and education) and estimate the transition probability, respectively. By appling Markov chain model processes with the ChapmanKolmogorov equ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probability, we predict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for the next six years.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population changes by regions, while there were geographic movements into metropolitan areas and cities in general. The methodologies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the provision of customized planning policies. In the long run,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lanning and enforcing regionally tailored policies that strengthen inflow factors and improve outflow factors based on the trends of population inflow and outflow by region by movement factors as well as identify the patterns of population inflow and outflow in each region and predict future population volat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주현.장동호, 2018, "세종시 전출입 이동과 이동 이유,"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3), pp.149-165.
  2. 민보경, 2017, "서울시 학령인구의 이동패턴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3), pp.47-72.
  3. 박소현.이금숙, 2014,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에 따른 성인 대상 사교육 시장의 성장과 공간적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402-419.
  4. 박소현.이금숙, 2016,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이용한 직종별 취업자의 공간적 분포 변화 예측," 대한지리학회지 51(4), pp.525-539.
  5. 정연주.이보영, 2011, "선택적 교육 인구이동과 내적 분화: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pp.101-117.
  6. 정인수, 2004, "지역간 노동이동 연구," 노동정책연구 4(1), pp.57-87.
  7. 채성주.배민기.백기영, 2014, "지역 낙후도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충북 시군을 사례로," 국토연구 81, pp.91-103. https://doi.org/10.15793/KSPR.2014.81..006
  8. 최진호, 2008,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 이유," 한국인구학 31(3), pp.159-178.
  9. 홍하연.이길재, 2014, "수도권 유출인구의 공간적 패턴분석 및 이동영향 요인 분석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과 관련하여-," 지적과 국토정보 44(2), pp.155-175. https://doi.org/10.22640/LXSIRI.2014.44.2.155
  10. Chapmann, J., 2017, Markov Model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11. Ibe, O., 2013, Markov Processes for Stochastic Modeling, 2nd Edition, Elsevier Academic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12. Kemeny J. G. and Snell, J., L., 1976, Finite Markov chains, Springer, Berlin, Heidelberg.
  13. Lee, R. D. and Tuljapurkar, S., 1994, "Stochastic Population Forecasts for the United States: Beyond High, Medium and Low,"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9(428), pp.1175-1189. https://doi.org/10.1080/01621459.1994.10476857
  14. Massey, D. S., Arango, J., Hugo, G., Kouaouci, A., Pellegrino, A. and Taylor, J. E.,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 pp.431-466. https://doi.org/10.2307/2938462
  15. McCann, P., 2013, Modern Urban and Regional Econom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6. Osaki, S., 1992, Applied stocahastic system model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17. Plane, D. A. and Rogerson., P. A., 1994, The Geographical Analysis of Population with Applications to Planning and Business, John Wiley&Sons, New York.
  18. Raghuram, P., 2009, "Which migration, what development? Unsettling the edifice of migration and development," Population, Space and Place (special issue Rethinking migration and development) 15(2), pp.103-117. https://doi.org/10.1002/psp.536
  19. Ravenstein, E. G., 1885, "The Laws of Migration," Journal of the Statistical Society 48, pp.167-227.
  20. Todaro, M. P., 1969, "A Model for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59(1), pp.138-148.
  21.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2013-2018.
  22.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 http://mdis.kostat.go.kr

피인용 문헌

  1.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Inflow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Focusing on Migration Motivation between Job and Housing vol.55, pp.4, 2019, https://doi.org/10.17208/jkpa.2020.08.55.4.70
  2. 주택수와 인구증가 변화를 반영한 지역별 부동산 시장 예측 vol.12, pp.4, 2019, https://doi.org/10.15207/jkcs.2021.12.4.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