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Unit Analysis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계획 수립에 적합한 공간단위 설정을 위한 공간 단위에 따른 인구 비교 분석 (Analysis of Population Depending on Spatial Unit for Setting Suitable Spatial Unit to Rural Planning)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1-9
    • /
    • 2019
  • Population is important as a fundamental element of local industry and economy, and census data is essential to regional planning and policy making.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population and regional planning, there are few studies on population considering spatial unit. In this study, the population of three spatial scales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patial unit suitable for the rural planning. The study area is Gangwon, Chungcheong-Nam, Chungcheong-Buk, Jeolla-Nam, Jeolla-Buk, Gyeonsang-Nam, Gyeonsang-Buk and Jeju province. Population were compared using statistical data analysis, GIS visualization, and spatial statistics. The mean, maximum, minimum, and variance of population were calculat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rding to spatial unit was compared. The mean, maximum, minimum, and variance of population were calculat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rding to spatial unit was compared. As the results, the census output area unit is difficult to interpret spatial analysis results.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has the limit that includes areas where the population does not live. The grid unit is well suited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ut has many disadvantages of the grid with small popu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limits of the Eup and Myeon-dong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the grid unit data.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Methodology of Industrial Integration by Spatial Unit: Based on Root Industry)

  • 김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56-266
    • /
    • 2020
  • 산업의 공간적 입지에 대한 분포 패턴 분석은 관련된 공간정책 및 계획의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어떠한 분석지표와 공간단위를 활용하는가에 있는데, 이는 지표와 공간단위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양한 산업집적 지표들을 고찰하고 관련 지표에 따른 산업집적의 지역유형을 구분하며, 다음으로 개별입지, 그리드, 행정구역 등의 다양한 공간단위별 산업집적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뿌리산업에 대해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공간단위에 있어서 그리드 단위가 행정구역 단위보다 세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석상의 차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유형 구분에 있어서는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창원시를 축으로 하는 동남권과 인천광역시, 화성시, 안산시를 축으로 하는 수도권 서부축이 뿌리산업의 산업집적 클러스터 지역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평면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선호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he Way of Composing the Unit Plan for Apartment Houses by Lifestyle)

  • 전수영;박승환;김성화;최무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47-157
    • /
    • 2006
  • A study on Composing Unit Spaces of Apartment House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in Lifestyle by survey on pre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mposition models of unit spaces for 85m2 net area apartment houses by lifestyle types. This study set up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critical divergence of preferences in composition types of unit spaces according to lifestyle. To prove the hypothesis, investigation on variable floor plans of apartments to extract spatial composition types of units and questionnaire survey on lifestyleand preferences for composition types were implemented. To extract several factor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each variabl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uster interviewees by similarity of lifestyle. To identify and define how each factor reacts, ANOVA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and clusters were used. Th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was analyzed by plane characteristic, spatial relation and spatial usability on the basis of apartment plate type. As a result, lifestyl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reasonable lifestyle, trend-seeking lifestyle and conservative lifestyl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preferred types and main districts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hypothesis was proved.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고려한 지가 변동의 시공간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land price variation considering modifiable area unit problem)

  • 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85-1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고려한 시공간 자료 분석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시계열 연구에서는 행정 구역 신설이나 경계 변동같은 공간 단위(areal unit)의 가변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에 속성 자료와 공간 자료의 불부합 현상이 있었다.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시공간적 변화를 지가 변동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기 위해서는 분석 공간 단위의 가변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개별적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본 격자로 공간 단위를 구성함으로써 분석 기준 시점의 속성 자료와 공간자료를 일치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지방의료원 중환자부 건축계획을 위한 영역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by Zone for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Intensive Care Unit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 여정;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2020
  • Purpose: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s an important inpatient care area where critical patients are treated intensively with advanced medical technology. The level of care of ICU and the modernization of related facili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health care quality.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are frequently expanding, the rational planning of the ICU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the I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with net area which can be used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ICU. Method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CUs were conducted on 26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through relevant guidelines, articles, and documents, and on the basis of the actual space composition and net area analysis through the architectural drawing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such as zone division, spatial com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activities and zones, composition of facilities in the zone and area ratio within each zon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for rational spatial organiz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nsive Care Unit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공간구문론 분석에 의한 아파트 주동형식별 공간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 based on the Space Syntax Analysis)

  • 박몽섭;박찬돈;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85-194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floor plan based on the apartment building typ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various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organized by diverse apartment unit floor plan. The reason behind this diversity, apartment unit plan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the diverse spatial composition of the unit floor plan.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similarity of the justified-graph type. This types classified into two category; One core type which were classified by the shape of the core, and multiple core type which were compounded by more than two core. These categories divided into 5 types, and 2 types. Each types were compared in view of the mean depth, relative asymmetry, integration value. Consequently, these types could be classified in the number of the unit floor plan. It is profitable to 3 unit types which was analyzed in view of an indicator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Therefore, 3 unit types is favorable to the composition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s.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 박종영;이정식;이진덕;이원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2
    • /
    • 2018
  •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재해에 대한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간단위, 재해취약성 등급 그리고 기후적 요소의 조건에 따라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는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중 폭우재해만을 대상으로 하여 집계구 이외의 읍 면 동단위의 공간단위와의 상대적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4등급 단계로 획일화되어 있는 자연적 분류법을 2등급 단계, 4등급 단계, 6등급 단계로 점차 확대해감으로써 분류단계에 따른 취약지구의 상대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가지로 한정되어 있는 강우특성에 대하여 기왕최대강우량(10분, 60분, 24시간)을 추가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지표별 재해취약지구의 상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폭우 취약성 지표에 따른 상대적 평가 결과 공간단위에 따라서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집계구와 읍 면 동단위의 공간분석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해취약성 등급단계, 강우특성의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석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지표 설정 시 세밀한 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장수 인구의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과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 문제(MAUP)의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 최돈정;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53
    • /
    • 2013
  •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지역적 장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국내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확증적(confirmatory) 접근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연구자는 통계자료의 가용성에 의존하거나 임의적인 분석 공간 단위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특히 장수 현상이 가지는 공간적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수정 가능한 공간 단위(MAUP)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을 통해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에 관한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여부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상이한 분석 공간 단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문제(MAUP)에 대한 평가를 수행 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 여부 파악을 위해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단위에 대한 장수 인덱스를 산출하여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 측도인 Moran'I 분석을 수행 하였다. 또한 Getis-Ord Gi*를 이용하여 공간적 Hot Spot 과 Cold Spot 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시군구와 읍면동의 모든 공간단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공간적 자기상관과 장수인구 군집 지역(Hot spot 과 Cold spot)이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 단위에서 산출된 전역적(Global) 공간적 자기상관 지수와 국지적(Local) 공간 클러스터의 값에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MAUP의 Scale Effect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로 인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될 장수에 대한 연구 시 연구자는 현상이 포함하는 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야 하며 MAUP으로 인해 심각한 정보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막과 텐세그러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단위 구조 제안 (A Study on the Unit System of Hybrid System Using the Membrane and Tensegrity)

  • 서삼열;고광웅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81-87
    • /
    • 2005
  • The Space structures may have large freedom in scale and form. And especially Hybrid structures are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view points of their light weight and aesthetics. Hybrid systems are stable structures which are reticulated spatial structures composed of compressive straight members, struts and cables and Membranes. In this paper, The Hybrid Unit System are suggested using the Membrane and Cable elements based on the Tensegrity Unit system. Also, The Hybrid System of double-layered single curvature is presented. We analyze the force density method allowing form-finding for Tensegrity systems. And We analyze the shape analysis by the LARSH which is the program for nonlinear analysis.

  • PDF

서울시 홍대상권 내 업종변화 필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 in Hongik-University Commercial Area, Seoul -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

  • 김동준;김기중;이승일
    • 국토계획
    • /
    • 제54권2호
    • /
    • pp.5-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 in the Hongik-University commercial area, from the view point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A commercial gentrification occurs through a business-type-change in a spatial basic unit (microscopic spatial unit such as parcel) of an area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relavent policies and research. So,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s using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new developments in the adjacent area occur, the business-type-change probability increases. Second, by the commercial area division, the business-type-change probability is different. Finally, the accessibility is better, the probability is higher. These results could suggest that a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m microscopic viewpoin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mercial gentrification. And these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 gentrification diagnostic an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predict gentrification from the view point of business-type-change on the basis of a par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