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Limitation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형 대안학교의 공간구성 및 이용현황 분석 (The Analysis of Spatial Organization and Using Status of Urban Alternative School)

  • 이민선;정진주
    • 교육시설
    • /
    • 제16권4호
    • /
    • pp.61-70
    • /
    • 2009
  • From the mid-1990s, the discussion on alternative schools began in earnest, and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them, Korean parents' associ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 KPAAE was launched formally in November, 2008. Among the alternative schools in the nation, thirteen urban alternative schools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y are being run by individuals and civic organizations with no approval and the facilities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chools are poor, which is thought to be mainly due to financial reasons as well as the schools' educational goal that puts emphasis on experiences leading to utilize outside local facilities. With this backgrou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facility status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of urban alternative schools led us to understand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per capita average of area of the urban alternative school is approximately 11.995m$^2$, less than 14N, the standard area of institutional schools. Second, depending on the form of facilities, the space of other facilities is shared to make up for insufficient space, and is utilized to a small degree and for multi-purposes. Third, the space reflects the disposition of subject students, and is located in the area with convenient traffic for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s conveniently. Fourth, specialized space is run on the basis of educational goals, and the exploring of career and the improving of sociality are pursued through internship programs associated with local facilities. Thus, it is desirable for the minimum per capita area of the urban alternative school to meet 14N, the standard area of the institutional schools in order that the urban alternative school may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and the financial hardship stemming from the practically difficult constructing of new buildings and the small scale operation, and it may make flexible use of the space, and the students may live their lives smoothly. Also, it is thought that for the activating of the urban alternative schools, the plans for utilizing various facilities associated with local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u-city를 위한 3차원 공간 영상 도시 모델 생성 및 적용 방안 (3D Spatial Image City Models Generation and Applications for Ubiquitous-City)

  • 연상호;이영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7-52
    • /
    • 2008
  • 3차원 도시환경의 디지털기반의 가시화는 도시계획 및 통신계획, 건설, 건축, 입체적인 도시공간정보시스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필요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2차원적인 지도정보와 등고선을 이용한 DEM 방식은 3차원 공간을 표현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레이저와 GPS 측량기술을 이용한 높은 정확도와 보정이 용이한 LiDAR Data로 표고값을 측정하는 연구가 선진국에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기술을 도입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한 유비쿼터스 입체 도시 건설을 위해 3차원 공간영상 도시모델 생성 기법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u-City의 최적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원격탐사 영상 Data를 중심으로 하는 정사보정하고 이에 매칭할 수 있는 벡터와의 실시간 통합 및 전환으로 U-city에서의 3차원 영상 도시 모델의 생성과 다양한 활용을 제시하였다.

  • PDF

웹 지도 기반의 공간정보 가시화 기법 (A Visualization Method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 Map Service)

  • 김민규;이무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09-216
    • /
    • 2016
  • 최근 도로, 건물, 지형과 같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융합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도의 시각화가 중요하다. 그러나 흔히 사용하는 웹 지도 서비스에서 라인, 폴리곤과 같은 복잡한 포인트로 이루어진 형상정보는 지도를 통해 표출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제한 기준이 있어 정보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량이 비교적 크고 복잡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공간질의하여 일부영역의 데이터만을 가져오고 클라이언트 기반의 움직임 이벤트를 탐지하여 이전 질의 영역을 제외한 정보를 조회하여 확장해가는 방법이다. 이 기법을 적용했을 때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영역만의 정보를 요청하기 때문에 표출에 대한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정보를 가져오지 않아 전체적인 시스템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표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도심복합시설의 용도 및 기능에 따른 유형분류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ixed-Us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Use and Function in Foreign Countries)

  • 이하식;정보라;최영오;채창우;이강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5-250
    • /
    • 2008
  • The city means not only a geographical area as a role of the spatial boundary, but also a socio-economic place to communicate with each part. It requires various functions to get the income and activities. But city has a limitation of a available land to provide the required function and a sufficient space to supply the activ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trend of city has not been to spread to the horizontal area any more and considered the vertical area.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put into a massive building because many people want to solve the daily requirements without spending time and cost. In this paper, it aimed at classifying the mixed-use building into function, circulation, rel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and the building shape to provide the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onstraints such as land area, functional limitation, accessibility, etc. The classification of the mixed-use buildings is divided into four areas. The data are collected with foreign countries in Japan, Europe and US.

  • PDF

"사이버" 도시 실현을 위한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Database and Application for Realization of "The Cyber City")

  • 김재윤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325-340
    • /
    • 2001
  • 본 연구는 효율성 있는 지형공간정보(Geo-spatial data)를 구축하기 위하여 공간정보를 3차원화 하고, 이것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각종응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모색, 응용기술개발 등에 대하여 현재진행중인 「해운대구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중심으로 분석·종합하였다. 지리정보(Geographic Information)데이터의 획득과 효율성 있는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은 향후 GIS의 질적 신용도를 판가름하는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공간자료(Spatial Data)의 오차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효율적 구현을 위하여 추구하는 공간자료의 최종 결정체는 현실과 똑같은 개념과 수치, 속성정보(Attribute Data)를 가지고 있는 3차원 공간자료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효율성 높은 공간자료의 구축기술이 개발되어 전 국토를 디지털화 하여 컴퓨터 안의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 국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공기관의 행정업무와 대민 서비스업무처리, 기업의 경제활동,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담을 수 있는 국토시뮬레이션 공간구축을 목표로 「사이버 도시」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사이버 도시」구축의 조기실현을 통하여 효율적인 GIS 실현과 기술강국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나아가 선진 기술수출로 해외시장을 개척해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 PDF

공간감 선호에 따른 조명과 마감재 인터랙션의 지각정도 비교 분석 (Comparison with Perception of Interaction between Finishing Materials and Lighting according to Preference of one's Spatial Sensitivity)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2-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the lighting and the finishing materials according to preference types and the impacted factors to the spatial sensitivity of users. To do that, the this change was grasped through the experiment with Likert Scale and ANOVA of SPSS program to the simulated im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ly, the person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comes from 'attention' i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e degree of the perception of users change strongly by lighting in the space expressed the 'modern natural'. Secondly, the atmosphere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are different in the preference of users to the spatial sensitivity and in impacted factors which are thought by users in the space sensitives. The users who prefer the 'decoration' feel the mood more strongly in the space. But the users who prefer the 'active' and 'intimacy' are opposite to that. The difference to the degree of perception is greater in the 'classic natural' than the others under the lighting turns on. Thirdly, an in-depth research which is considered of the interact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is needed for finding the design methods for inducing the sensitivity of users in the space. And the ranking of the impacted factors should be understanded and applied to the research regarding the changes of perception in the space. Finally,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o be adapted to all of the situation for the space design methods. But this will be a basic data to study the design methods for users's sensitivity in the space.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공간데이터의 3D 입체 디스플레이 (3D Stereo Display of Spatial Data from Various Sensors)

  • 박소영;윤성구;이용욱;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9-676
    • /
    • 2010
  • 여러 종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공간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각화가 필요하다. 센서 데이터로부터 실세계를 모델링한 3차원 디지털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은 실감적인 입체 시각화와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2D 또는 2.5D 투영 기반의 시각화이므로 3차원 공간상에 존재하는 실세계를묘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 데이터로 지형 매핑에 활용도가 높은 항공 라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향후 공간정보 획득 기술로서 잠재력이 높게 평가되고 있는 Flash-LiDAR와 해저공간 정보획득을 위한 음향 측심기 데이터를 셔터안경 방식의 고해상도 입체 디스플레이 모니터상에 입체 시각화하였다. 측량 및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일반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3D 모니터를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의 입체 콘텐츠 생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미세먼지, 악취 농도 예측을 위한 앙상블 방법 (Ensemble Method for Predicting Particulate Matter and Odor Intensity)

  • 이종영;최명진;주영인;양재경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03-210
    • /
    • 2019
  •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produced research and reports in order to forecast more exactly air quality such as particulate matter and odor. However, such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atmospheric diffus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air quality prediction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a. Even though it has various merits, it has some limitation in that it uses very limited spatial attributes such as geographical attributes. Thus, we propose the new approach to forecast an air quality using a deep learning based ensemble model combining temporal and spatial predictor. The temporal predictor employs the RNN LSTM and the spatial predictor is based 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he ensemble model also uses the RNN LSTM that combines two models with stacking structure. The ensemble model is capable of inferring the air quality of the areas withou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nd even forecasting future air quality. We installed the IoT sensors measuring PM2.5, PM10, H2S, NH3, VOC at the 8 stations in Jeonju in order to gather air quality data.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our new model has very exact prediction capability with comparison to the real measured data. It implies that the spatial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 more exact air quality prediction.

공간최적화 모델을 활용한 환경계획의 공간화 방안 (Suggestion for Spatializ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Using Spatial Optimization Model)

  • 윤은주;이동근;허한결;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38
    • /
    • 2018
  • Environmental planning includes resource al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proces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 Because the spatialization of the environmental planning is not specifically addressed in the relevant statutes, it actually depends on the qualitative methodology such as expert judgement.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have the advantage that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intuition of the experts can be utiliz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jectively judge whether it is enough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 or whether it is the best of the possible scenario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to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spatialize various environmental planning. At first, we suggested a quantitative spatial planning model based on an optimization algorithm. Secondly, we applied this model to two kinds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discussed about the model performance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Since the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conceptual study site, there was a limitation in showing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However, we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fields related to environmental planning by suggesting flexible and novel methodology.

동적 분할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계층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Hierarchy Model which uses a Dynamic Segmentation Technique)

  • 주용진;이용익;문경기;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45-260
    • /
    • 2006
  • 이동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정보의 활용과 사용자 요구가 증가되고 GIS 공간 DB와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DB를 구성하는 교통 네트워크의 논리적 관계의 표현은 노드-링크 구조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일 수준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는 다양한 모형 적용에 유연하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분할(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한 네트워크 모델의 설계와 구축을 통해 기존 도로망 모델의 문제점과 구축상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네트워크의 검색과 표현에 효율적인 계층 모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설계된 모델은 다양한 수준의 단계별 표현과 계층 간 개체 관계성을 지원하며, GIS가 지닌 네트워크 공간 모델링 기능을 대폭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