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atial Information Network

검색결과 1,057건 처리시간 0.022초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Environment)

  • 황정래;김태훈;최현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57-67
    • /
    • 2012
  •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GIS를 이용한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 - 강원도지역을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Using GIS in Gangwon-Do)

  • 박주현;박영용;이광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4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won-Do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Methodology: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To perform the network analysis, network data set was built using administrative district map, road network, address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After building network data set, Two network analysis methods, 1) Service area analysis, 2) Origin Destination cost matrix were applied. Service area analysis calculated accessive areas that were within specified time. And using Origin Destination cost matrix, travel time and road travel distance were calculated between centroids of Eup, Myeon, Dong and the nearest mental health institutions. Result: After the service area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19.63% of the total areas in Gangwon-Do takes more than 60 minutes to get to clinic institutions. For hospital institutions, 23.08% of the total areas takes more than 60 minutes to get there. And 59.96% of Gangwon-do takes more than 30 minutes to get to general hospitals. The result of Origin-Destination cost matrix showed that most Eup Myeon Dong in Gangwon-Do was connected to the institutions in Wonju-si, Chuncheon-si, Gangneung-si. And it showed that there were large regional variation in time and distance to reach the institutions. Impl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regional variation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policy interventions could be applied such as mental health resources allocation plan, telemedicine, providing more closely coordinated services between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Crime amount prediction based on 2D convolution and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 Dong, Qifen;Ye, Ruihui;Li, Guojun
    • ETRI Journal
    • /
    • 제44권2호
    • /
    • pp.208-219
    • /
    • 2022
  • Crime amount prediction is crucial for optimizing the police patrols' arrangement in each region of a city. First, we analyzed spatiotemporal correlations of the crime dat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me and related auxiliary data, including points-of-interest (POI), public service complaints, and demographics. Then, we proposed a crime amount prediction model based on 2D convolution and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2DCONV-LSTM). The proposed model captures the spatiotemporal correlations in the crime data, and the crime-related auxiliary data are used to enhance the regional spatial features. Extensive experiments on real-world datasets are conducted. Results demonstrated that capturing both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s in crime data and using auxiliary data to extract regional spatial features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In the best case scenario, the proposed model reduces the prediction error by at least 17.8% and 8.2% compared with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and LSTM, respectively. Moreover, excessive auxiliary data reduce model performance because of the presence of redundant information.

동적 분할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계층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Hierarchy Model which uses a Dynamic Segmentation Technique)

  • 주용진;이용익;문경기;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45-260
    • /
    • 2006
  • 이동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정보의 활용과 사용자 요구가 증가되고 GIS 공간 DB와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DB를 구성하는 교통 네트워크의 논리적 관계의 표현은 노드-링크 구조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일 수준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는 다양한 모형 적용에 유연하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분할(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한 네트워크 모델의 설계와 구축을 통해 기존 도로망 모델의 문제점과 구축상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네트워크의 검색과 표현에 효율적인 계층 모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설계된 모델은 다양한 수준의 단계별 표현과 계층 간 개체 관계성을 지원하며, GIS가 지닌 네트워크 공간 모델링 기능을 대폭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Minimum Energy-per-Bit Wireless Multi-Hop Networks with Spatial Reuse

  • Bae, Chang-Hun;Stark, Wayne E.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2권2호
    • /
    • pp.103-113
    • /
    • 2010
  • In this paper, a tradeoff between the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and the end-to-end rate under spatial reuse in wireless multi-hop network is developed and analyzed. The end-to-end rate of the network is the number of information bits transmitted (end-to-end) per channel use by any node in the network that is forwarding the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bandwidth efficiency, spatial reuse is considered whereby simultaneous relay transmissions are allowed provided there is a minimum separation between such transmitters. The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includes the energy transmitted and the energy consumed by the receiver to process (demodulate and decoder) the received signal. The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is normalized by the distance between a source-destination pair in order to be consistent with a direct (single-hop) communication network. Lower bounds on this energy-bandwidth tradeoff are analyzed using convex optimization methods. For a given location of relays, it is shown that the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is minimized by optimally selecting the end-to-end rate.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spatial reuse can improve the bandwidth efficiency for a given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However, at the rate that minimizes the total energy consumption-per-bit, spatial reuse does not provide lower energy consumption-per-bit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spatial reuse. This is because spatial reuse requires more receiver energy consumption at a given end-to-end rate. Such degraded energy efficiency can be compensated by varying the minimum separation of hops between simultaneous transmitters. In the case of equi-spaced relays, analytical results for the energy-bandwidth tradeoff are provided and it is shown that the minimum energy consumption-per-bit decreases linearly with the end-to-end distance.

Next Location Prediction with a Graph Convolutional Network Based on a Seq2seq Framework

  • Chen, Jianwei;Li, Jianbo;Ahmed, Manzoor;Pang, Junjie;Lu, Minchao;Sun, Xiuf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5호
    • /
    • pp.1909-1928
    • /
    • 2020
  • Predicting human mobility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task i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Previous efforts fail to capture spatial dependence effectively, mainly reflected in weakening the location topolog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ural network-based method which can capture spatial-temporal dependence to predict the next location of a person. Specifically, we involve a graph convolutional network (GCN) based on a seq2seq framework to capture the location topology information and temporal dependence, respectively. The encoder of the seq2seq framework first generates the hidden state and cell state of the historical trajectories. The GCN is then used to generate graph embeddings of the location topology graph. Finally, we predict future trajectories by aggregated temporal dependence and graph embeddings in the decoder. For evaluation, we leverage two real-world datasets, Foursquare and Gowalla.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model has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mpared models.

인터넷 기반의 공간정보유통망 성능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Spatial Information Network based on GIS)

  • 진희채;시종익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9-37
    • /
    • 1999
  • 공간정보의 구축이 활발해지면서 정보유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유통은 각 시스템 마다 개별적 체계를 갖을 수 있으며 GIS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GIS의 공간정보 유통체계를 설정하고, 그 체계에 대한 정보망 성능평가 방식을 연구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전산망의 유형별로 지리공간정보의 보관 내용 및 규모, 유통되는 정보의 량 등을 가정하고 현재의 인터넷 망을 기준으로 한 분석을 수행한다. 유통망의 성능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대기행렬모형을 적응하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통서버가 운영될 경우 이들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와같은 방법은 향후 GIS의 정보량과 정보 유통량이 예측되었을 경우 유통망의 구성 형태에 따른 다방면의 성능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의 유통체계의 수립을 도울 수 있다.

  • PDF

GIS 및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농촌마을 관광중심성 분석 -농촌어메니티 자원 및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Spatial Centrality of Rural Villages for Green-Tourism using G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Rural Amenity and Human Resources-)

  • 이상현;최진용;배승종;오윤경
    • 농촌계획
    • /
    • 제15권1호
    • /
    • pp.47-59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een-tourism centrality considering spatial interaction using Gravity Model and social network method. The degree centrality and prestige centrality were applied as green-tourism centrality index. The rural amenity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were counted as attraction factors, and a distance among villages was used as friction factor in gravity model. The weights of rural tourism amenity resources were calcul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and applied to evaluate green-tourism potentiality. The distance was measured with the shortest path among villag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network analysis. The spatial interaction from gravity model were employed as link weights between nodal points; a pair villages. Using the spatial interaction, the degree-centrality and prestige-centrality indices were calculat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and demonstrated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egrated green-tourism region centered on high centrality villages.

공간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를 위한 그리드 기반 유사 궤적 검색 (Grid-based Similar Trajectory Search for Moving Objects on Road Network)

  • 김영창;장재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40
    • /
    • 2008
  • 최근, 이동 단말기의 확산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객체들의 과거 궤적 데이터에서 이동 객체의 미동 패턴을 이용하는 응용 서비스의 활용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특히, 대중교통의 노선 설계나 새로운 도시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설계에 활용하기 위하여, 도로나 철도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객체의 궤적들의 유사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 궤적을 위한 시공간 유사 궤적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 네트워크상에서 실제 도로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시공간 유사도 측정방법을 정의하고, 효율적인 유사 궤적 검색을 위한 그리드 기반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사 궤적 검색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3D Adjacency Spatial Query using 3D Topological Network Data Model)

  • 이석호;박세호;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93-105
    • /
    • 2010
  • 근린 공간(Spatial Neighborhoods)이란 특정 공간과 상호 관계성을 가지는 주위의 공간들이다. 공간 관계성이 있는 근린 지역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는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간 관계성을 갖는 근린 공간을 찾는 연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지역을 찾는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접성을 표현하는 위상학적 데이터를 다양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 중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구축하고, 이에 Dijkstra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여 인접성 기반의 근린 공간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특정 공간으로부터 인접성에 관한 순차 분석 (Order Analysis) 결과를 가시화 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에서 인접성에 관한 특정 공간객체를 찾기 위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3D Spatial Query) 연산자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목표는 효율적인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를 위해 1)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인접성을 표현한 3차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2)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성 기반 근린 공간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 연산자를 구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