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isparitie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7초

Assessing Spatial Disparities and Spatial-Temporal Dynamic of Urban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ity of Chicago

  • Yang, Byungy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7-496
    • /
    • 2020
  • This study introduces how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urban green spaces in the Chicago. Green spaces provide us with a variety of benefits, namely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benefi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socio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green spaces and their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o evaluate spatial dispariti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uch as health-related,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spatial statistics, such as optimized hotspot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space-time cluster analysis, which enabl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the geographic data. In particular, 12 variables within the three factor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the benefits of the use of green spaces. Finally, the variables are standardized to rank the community areas and identify where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s or parks are. To evaluate the benefits given to the community areas, this study used the z- and composite scores, which are compared in the three different combinations. After identifying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 crime data is used to spatially understand when and where crimes occur near the parks selected.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work of urban planners who need to spatially evaluate community areas in considering the benefits of the uses of green spaces.

교육의 공간 불평등 연구 (The Spatial Inequalities in Education, Seoul)

  • 정재훈;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85-401
    • /
    • 2014
  • 본 연구는 3개년 2,065,177건의 수능 결과 전수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별, 구별 단위의 과목별 평균, 1등급비율, 표준편차 등의 교육 성과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과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에 시행된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868,029건과 2004년 11월 17일에 시행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609,258건 그리고, 2008년 11월 13일에 시행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587,890건을 바탕으로 시간적 교육 성과와 교육 격차의 공간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서울시내 구(區) 간 교육성과의 격차가 매우 상당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격차의 폭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서울 교육성과가 전국 평균대비 향상되고 있음에도 구(區) 간 격차가 증가하는 것은 교육의 공간적 불평등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이한 점은 구(區) 간 교육격차의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구(區) 내 교육격차의 차이(구 내 일반계 고등학교의 성적 표준편차의 범위)는 거의 없고, 시간이 흐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 PDF

반향 눈 운동에 의한 3차원 경사의 왜곡된 지각 (Distorted perception of 3D slant caused by disjunctive-eye-movements)

  • 이형철;감기택;김은수;윤장한
    • 인지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45
    • /
    • 2002
  • 추적 눈 운동에 의해 망막에서의 상이 역동적으로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외부세계의 공간속성을 대부분 안정적으로 지각한다. Helmholtz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은 우리의 시각체계가 망막에서의 상의 움직임과 눈 운동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여 외부세계의 공간속성을 지각한다고 믿어 왔다. Helmholtz가 제안한 체계가 완벽하게 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증거들을 여러 연구들이 제시하여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두 눈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는 관찰자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대상을 두 눈으로 추적하는 경우에서처럼 두 눈이 각기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 의해 유발되는 양안부등이 시각체계에 의해 교정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피험자들은 반향 눈 운동 동안에 시공간적인 중침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대상의 경사를 2AFC과제를 이용하여 보고하였다. 실제 제시되는 대상이 피험자와 평행하게 경사 없이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향 눈 운동에 의해 망막에 생성되는 양안부등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피험자들은 대상의 경사를 왜곡하여 지각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우리의 시각체계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양안부등을 적절히 교정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 PDF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Spatial Development in Korea, 1983-1993

  • Lee, Won-Sup
    • 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85-105
    • /
    • 1998
  • This paper examines spatial of industrial restructuring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83 to 1993. Changes in manufacturing location are analyzed using both descriptive and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ndustrial restructuring has brought about a new locational trend of decentralization toward formerly less industrialized regions away from traditional centers. With reduced disparities between core and peripheral regions, the new process of spatial restructur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more balanced territorial development in Korea.

  • PDF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분포의 특성과 공급 불균형 양상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Disparities in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89-208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도서관 건립 시 지역 주민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과 지역 간 격차 완화,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IS 분석을 통해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공급 불균형 지역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 서비스 사각지역을 파악하고, 도서관 공급 양호 및 부족 지역 분석, 인구밀도에 근거한 공공도서관 공급 불균형 지역을 확인하여 도서관 건립을 위한 최우선 고려 지역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 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신규 입지 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 분포 변이에 대한 연구: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초기진료기관을 대상으로 (Evolution of Healthcare Service Disparities: A Case Study of Primary Care Services in Korea, 1995-2021)

  • 김현;송예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9-309
    • /
    • 2023
  • 우리나라의 국민건강보험은 빠른 시간에 보편적 의료시스템을 정착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연령대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차이는 지속되고 있으며,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와 같은 핵심의료 서비스에서 이러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것은 큰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다. 진료기관 접근에 대한 불평등은 연령대만이 아니라 지역, 특히 도시와 농촌 사이에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초기진료기관의 분포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핀다. 다양한 불평등 지수와 공간통계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1997년 IMF 경제위기, 2008년 금융위기, 그리고 2020년의 COVID-19 공중보건 위기를 겪으며 불평등이 심화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의료기관의 불균등 분포에 큰 변화가 온 시기도 밝혀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변화에는 유소년이나 전체 인구 분포보다는 고령인구의 분포가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인구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핵심적인 의료자원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이러한 노력은 미래의 경제적 충격에도 적절한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독일 실업문제의 구조적 특성과 공간적 전개양상 (The Structure and Spatial Patterns of Unemployment in Germany)

  • 안영진;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6
    • /
    • 2001
  • 이 글의 목적은 독일이 당면하고 있는 실업문제와 그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 실업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논의하는데 있다. 독일은 1950년 말이래 안정된 고용체계를 확립하고 완전고용을 성취하였으나, 1970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량실업 사태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 통일과 함께 구 동독에서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불안정한 노동시장이 구조화되고 있으며, 일부 인구집단이 고용체계로의 진입 및 퇴출 과정에서 선별작용을 현저히 겪고 있다. 독일의 실업은 공간적으로 독특한 발전패턴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통적인 남북격차에 동서격차가 겹치는 다중적 양상과 아울러 지리적 권역에 따른 차별적 상황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전반적인 고실업은 노동시장상의 정책기조의 변화와 통일이라는 시대적 변혁이 맞물려 만성화 내지 장기화되고 있으며, 그 지역적 편차는 노동력 수급에 있어 불균등을 반영하고 있다.

  • PDF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성별에 따른 지역 간 자살률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 서은원;곽진미;김다양;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5-294
    • /
    • 2015
  • Background: Suicide is one of important health problems in Korea. Previous studies showed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in individual levels. However, suicide was influenced by society that individuals belong to, so it was required to analyze suicide in loca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and the association between local characteristics and suicide mortalit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29 city county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and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male/fema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City county district types, socio-demographics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number of marriages per 1,000 population, and single households), financial variable (financial independence), welfare variable (welfare budget), and health behavior/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cores and EuroQol-5 dimension [EQ-5D]) were used to represent the local characteristics. We used hot-spot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s of suicide mortality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uicide mortality.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suicide mortality and hot-spot region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provided that city county district types (city),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financial independence, and EQ-5D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per 100,000. Factor influencing suicide mortality was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Conclusion: Study results provided evidences that suicide mortality among regions was differed by gender.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consider gender and local characteristics when making policies for suicides.

Reduction of Economic Disparities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Based on Inclusive Development

  • NURLANOVA, Nailya K.;SATYBALDIN, Azimkhan A.;BRIMBETOVA, Nursaule Zh.;KIREYEVA, Anel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2호
    • /
    • pp.299-30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concepts of inclusiv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spatial context, assessment the dispariti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and substantiate the main mechanisms for overcoming them. In this research, authors propose the methodological tools for presenting a standard form of evaluation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In this study used methods, which based on measuring disproportions between the level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as well as disproportions between the republican and regional levels. According to the author's methodological approach, complex and integral indexes have calculated over the period 2012-2017 for a number of indicators adapted to the conditions of Kazakhstan. The calculated indexes proposed to use as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according the obtained indexes and the results of their ranking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rograms and management decisions. This will improve the targeted support of the population in backward regions in order to ensure inclusive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