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Autocorrelatio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지리적 자료의 공간자기상관성을 최소화하는 공간샘플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ampling Method to Minimize Spatial Autocorrelation of Spatial and Geographical Data)

  • 이연수;이만출;나경범;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317-13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또는 지리적 데이터인 도시구조특성 요소의 공간자기상관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공간샘플링 기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또는 지리적 자료가 지니고 있는 공간자기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간샘플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서울시 전체 행정구역별 대중교통 분담률에 관한 공간자기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간 의존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적정한 거리(400m)이상을 이격 시켜 공간샘플링을 실시한 후 공간자기상관성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공간샘플링을 실시하지 않으면, 공간적 자료의 왜곡으로 인한 잘못된 결과가 도출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샘플링을 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 필수불가결 하다는 점이다. 둘째, 공간샘플링 전후의 대중교통 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구조 특성 요인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는 공간적 자료에 존재하는 공간자기상관성을 통제하지 못한 왜곡된 결과이다.

A Cluster Analysis for Housing Submarket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 Lee, Bae Sung;Yu, Ki Yun;Kim, Ji Young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70
    • /
    • 2016
  • A housing market in an urban area is not just a single market but a combination of regionally different submarkets. This study begins with a critical mind that previous researches did not consider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each area where the housings are located. The clustering analysis of housing submarket which considers spatial autocorrelation is performed as it follows. First, 4 housing market attribute variables are reducted to 1 variable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hen, after calculating $Gi^*max$ by AMOEBA, 7 housing submarkets whic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ased on $Gi^*max$ ar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market are investigated, then political implication is deduced as the following. Different level of housing policy should be made to each cluster because each cluster has different level of spatial autocorrelation.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에 따른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 연구 - LBSNS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cale Effects of the MA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tial Autocorrelation - Focused on LBSNS Data -)

  • 이영민;권필;유기윤;허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3
    • /
    • 2016
  • 포인트 속성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LBSNS) 데이터를 멀티스 케일의 타일맵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격자 기반으로 군집화하여 표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기준은 정해진 것이 없으며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이때 연구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LBSNS 중 지오태깅(geotagging)된 트위터(Twitter)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MAUP의 영향을 스케일 효과(scale effect)의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 model)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의 정도를 조절하였으며, 이에 대해 격자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른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변화를 Moran's I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원 데이터에는 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간오차모델의 공간자기회귀계수(spatial autoregressive coefficient)의 값이 증가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트위터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강도를 5단계로 조절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하여 격자의 크기를 9단계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Moran's I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합역 수준이 높아질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증가하다가 격자의 크기가 600m에서 1,000m 사이일 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강할수록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주 남대천에 서식하는 조류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rds Observed in Namdaecheon River, Muju-gun, Jeollabuk-do, Korea)

  • 강종현;김용기;연명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67-47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characteriz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birds observed in river areas. Our bird survey was carried out 4 times at 31 sites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11. A total of 1,609 accumulated individuals belonging to 59 species, 28 families and 11 orders were observed. In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richness index of the maximum counts of each sites, we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birds in Namdaecheon river was clustered and the tendency of spatial autocorrelation was apparent. The area of each sites within a 200m radius was classified in four biotope categories such as agricultural land, forest, residential area and water area, a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was analysed about four types. In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for four biotope categories, all types were showed the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but the type of water area was higher than other type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water area and water birds in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forest birds had non-significance valu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focus on water birds except for forest birds, when researches of bird distribution in river ecosystem is conducted. The number of bird species and individuals increased as the riverside of water area was to widen. Thus, if the areas of riverside offering the feeding and roosting area increase, it will be accommodated many birds. Also, the areas of riverside should be maintained naturally because it is an important habitats of birds. Our study area is on the outskirts the city of higher rates of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it may be unreasonable to apply our results to the whole rivers. If the research about the river flowing around the city will be conducte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to the relation study area such as ecological river's restoration.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을 이용한 도시주거범죄의 분석 (An Analysis of Urban Residential Crimes using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 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9-194
    • /
    • 2009
  • 도시에서 범죄는 해당 지역 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징과 공간적 상호관계를 반영한다. 범죄의 피의자와 피해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범죄패턴의 공간적 자기상관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범죄의 공간자기상관은 일반적인 최소자승모델에서 편향된 추정치를 제공하여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거범죄로서 2000년에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발생한 주거 강도와 절도를 분석 하였다. 특히 주거 범죄율의 공간적 분포패턴은 공간자기상관을 반영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이용하여 최소자승모델로 분석 하였다. 아이겐 벡터를 이용한 공간자기상관의 필터링은 기존의 모델에서는 잔차에 남아있던 공간자기상관 요소를 설명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경제적 궁핍과 범죄의 기회가 주거범죄율을 추정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다.

  • PDF

Species Associations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Pinus rigida and Pyrola japonica

  • Huh, Man-Kyu;Huh, Hong-Wook;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6호
    • /
    • pp.349-354
    • /
    • 1999
  •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llelic frequencies and ecological traits by randomization were studi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two species (Pinus rigida and Pyrola japonica). Both speci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as measured by Moran's I. In P. rigida, the genetic similarity was shown in individuals within up to a scale of 18 m distance and this is partly due to combination of pollen and seed dispersal by wind or men. In P. japonica, significant spatial autocorrelation was consisted of a scale of 8 m intervals. These population structure in the distribution of allelic frequencies is related to mating systems such as outcrossing and vegetative sprea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positive species associations between P. rigida and P. japonica can occur when both species select the same habitat or require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 PDF

Residual spatial autocorrelation in macroecological and biogeographical modeling: a review

  • Gaspard, Guetchine;Kim, Daehyun;Chun, Yong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191-201
    • /
    • 2019
  • Macroecologists and biogeographers continue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species across spa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ic process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is approach uses data related to, for example, species abundance or presence/absence, climate, geomorphology, and soils. Researchers have acknowledged in their statistical analyses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spatial autocorrelation (SAC), which indicates a degree of dependence between pairs of nearby observations. It has been agreed that residual spatial autocorrelation (rSAC) can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modeling processes and inferences. However,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ources of rSAC and the degree to which rSAC becomes problematic. Here, we review previous studies to identify diverse factors that potentially induce the presence of rSAC in macroecological and biogeographical models. Furthermore, an emphasis is put on the quantification of rSAC by seeking to unveil the magnitude to which the presence of SAC in model residuals becomes detrimental to the modeling process. It turned out that five categories of factors can drive the presence of SAC in model residuals: ecological data and processes, scale and distance, missing variables, sampling design, and assumption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Additionally, we noted that more explicit and elaborated discussion of rSAC should be presented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Future investigations involving the quantification of rSAC are recommended in order to understand when rSAC can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modeling process.

남강 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의 공간적 상관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populations of Salix koriyanagi in Swampy Area at the Namgang River,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25-1330
    • /
    • 2008
  • 키버들(Salix koriyanagi)은 관목으로 한국에 고유종이다.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남강 상류 저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을 세분하였다. Moran's I값으로 세분화 된 1.0 m 간격별 구간 내 개체들의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의한 상관을 조사한 결과 약 6 m 간격 내 개체들의 뭉침이 나타났으며, 12 m 이상일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키버들의 경우 집단구조가 12 m 이내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집단이 제한된 유전자 유동과 유효집단의 감소가 예상되며, 겨울철 가뭄과 여름철 홍수로 심한 병목을 유발하고, 주기적인 홍수와 배수로 인한 개체 수의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남강 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의 공간적 상관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populations of Salix koriyanagi in Swampy Area at the Namgang River,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65-1470
    • /
    • 2008
  • 키버들(Salix koriyanagi)은 관목으로 한국에 고유종이다.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남강 상류 저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을 세분하였다. Moran's I값으로 세분화된 1.0 m 간격별 구간 내 개체들의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의한 상관을 조사한 결과 약 6 m 간격 내 개체들의 뭉침이 나타났으며, 12 m 이상일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키버들의 경우 집단구조가 12 m 이내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집단이 제한된 유전자 유동과 유효집단의 감소가 예상되며, 겨울철 가뭄과 여름철 홍수로 심한 병목을 유발하고, 주기적인 홍수와 배수로 인한 개체수의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통계분석을 이용한 지가의 입지값 측정에 관한 연구 (The Measurements of Locational Effects in Land Price Prediction with the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 이지영;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33-24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하여 지가 연구에 일반적으로 활용되고있는 특성가격모형에서 입지적 특성이 갖는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GIS 공간분석방법 가운데 중첩과 내삽 기능을 이용한 공간자료의 처리 과정이 포함되었다. 사례연구를 위해 동대문구 회기동의 1421개 개별지가에서 54개 표준지들을 추출하여 표준지의 중심좌표를 구하고, 이 벡터 자료점들과 공간적 관련성에 기초하여 조사되지 않은 지점의 지가 예측값을 확률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크리깅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변동도를 통해 분석한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는 공간 의존성의 형성과정을 추정할 때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