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ing of diaphrag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다이아프램 형상 및 간격에 따른 곡선 강박스거더의 거동해석 (A Behavioral Analysis of Curved Steel Box Bridge Associated with Diaphragm's Shape and Spacing)

  • 김연태;김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05-215
    • /
    • 2006
  • 본 연구는 3차원 쉘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다이아프램으로 보강된 곡선 강박스거더교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매개변수연구를 통해 기존의 제안식과 비교함으로써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뒤틀림 응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중심내각, 지간길이, 다이아프램간격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이아프램의 간격, 개구율, 형상을 변수로 하여 해석한 결과에서는 지간이 30m, 곡률 반경이 40m인 해석모델에 대한 적정 다이아프램간격은 5m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아프램의 형상 효과에 대해서는 라멘식 다이아프램의 경우가 개구율 0.4~0.6의 범위에서 개구부가 없는 충복판식 다이아프램보다 휨과 뒤틀림의 응력비가 낮아 거동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복판식 다이아프램과 X형 트러스 방식의 다이아프램 비교에서는 동일한 강성을 가지더라도 충복판식 다이아프램이 뒤틀림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였다.

단실단면을 갖는 강박스 거더교의 다이아프램의 강성과 간격에 관한 설계 최적화 (Design Optimization on Diaphragm Stiffness and Spacing of Steel-Box Girder Bridges with a Single-Cell Section)

  • 임다수;박남회;한택희;강영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3-144
    • /
    • 2003
  • Generally, diaphragms are installed in the box girder to prevent or decrease the distortion of tile cross section. In engineering practice, diaphragms are spaced in 5m intervals without reasonable basis. ANd the usual diaphragm type is solid-plate type. It is considered to be noneconomical design to the almost design engineers. In this paper, the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design proposal about the diaphragm stiffness and spacing only in tire single cell box girder. For that, the distortional warping normal stress, bending normal stress and transverse bending normal stress were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SMB' for the accurate structural analysis.

  • PDF

뒤틀림을 고려한 강박스 거더교의 내부 다이아프램 간격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Intermediate Diaphragm Spacing of Steel-Box Girder Bridges Including Distortion)

  • 임다수;한금호;박남회;강영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522-530
    • /
    • 2003
  • Generally, diaphragms are installed in the box girder to prevent or decrease the distortion of the cross section. In engineering practice, diaphragms are spaced in 5m intervals without reasonable basis. the usual diaphragm type is solid-plate type. It is considered to be noneconomical design to the almost design engineers. In this paper, the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design proposal about the diaphragm stiffness and spacing only in the single cell box girder. For that, the distortional warping normal stress, bending normal stress and transverse bending normal stress were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SMB' for the accurate structural analysis.

  • PDF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중간 격벽 영향에 관한 해석적 연구 (The Analytical Study for Effects of Intermediate Diaphragms in Concrete Girder Bridge)

  • 이호근;고성현;이규정;정원기;이재훈;이형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839-844
    • /
    • 2000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mediate diaphragm in concrete girder bridge. The analytical variables consisted of various types(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and locations of intermediate diaphragm, slab thickness, girder spacing etc. Finite element analyses of the bridge model assuming simply support condition. The Vertical load distribution was determined to be essentially independent of type and location of intermediate diaphragms. Also, it is found that the practical design of intermediate diaphragm may be revised.

샌드위치식 복합구조체에서 하중조건.거동특성에 따른 격벽간격비의 영향 (Effect of Diaphragm Ratio by Load Condition and Behavior in Composite Structures of Sandwich System)

  • 정연주;정광회;김병석;박성수;황일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297-30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diaphragm spacing ratio(depth to span) on behavior and capacity of composite steel-concrete structures of sandwich system.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variety diaphragm ratio, behavior and load condition. As a results of this study, in case of shear behavior and concentrated load, the capacity of structure such as yielding and ultimate load improve according to diaphragm ratio because of concrete confining effect by steel plate and stress redistribution by diaphragm. But in case of bending behavior or uniform load, it proved that diaphragm ratio don't influence on behavior and capacity of composite structures of sandwich system.

  • PDF

곡선 강상자형 거더의 뒤틀림 해석 및 격벽간격산정 (A Study on the Distortional Analysis of Curved Steel Box Girders and Determination of Diaphragm Spacing)

  • 구민세;윤우현;이호경;김대홍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25-135
    • /
    • 2003
  • BEF유사법과 Ritz의 방법을 이용한 매개변수 해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격벽이 없는 직선 및 곡선 강상자형 교의 3차원 모델을 구현하였고, 여기에 격벽을 추가하여 A-10, A-20, A-30, B-10, B-20, B-30모델에 대한 격벽의 적정 간격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지간 50m의 곡선 강상자형교의 적정 격벽수는 전술한 모델의 순서대로 5개(8.3m), 7개(6.25m), 8개(5.5m), 4개(10m), 6개(7.1m), 7개(6.25m)이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뒤틀림응력과 휨응력의 비를 계산하는 수식을 제안하였다.

강박스 거더교의 내부 다이아프램에 관한 매개변수 연구 (A Parametric Study on Intermediate Diaphragms of Steel-Box-Girder Bridges)

  • 박남회;임다수;조선규;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31-239
    • /
    • 2003
  • 과거 수 십년 동안 강박스 거더 교량은 휨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능력과 미적인 측면에서의 우수성으로 인해 많은 시공현장에서 건설되었다. 그러나 박스거더는 편재하된 하중 상태에서 단면의 뒤틀림과 뒴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박스거더의 단점으로 작용한다. 그러한 뒤틀림과 뒴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뒤틀림 응력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박스거더 내부에 다이아프램을 설치하게 된다. 현재까지 건설된 강박스 거더 교량의 다이아프램의 형태는 충복 형태, 프레임 형태 그리고 트러스 형태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매개변수 연구를 통해서 적절한 다이아프램 강성 비를 산정 하는 것과 산정된 강성 비에 근거하여 내부 다이아프램의 간격과 수를 제안하는 것이다. 대상교량은 단실 단면을 갖는 연속화된 직선 강박스 거더 교량이고, 주요한 매개변수는 단면의 형상, 경간 수, 등가 지간장, 내부 다이아프램 강성 그리고 내부 다이아프램 간격 등이다. 매개변수 연구를 통해서 적절한 내부 다이아프램 강성 비의 산정 그리고 내부 다이아프램의 간격과 수가 제안될 것이다.

곡선강박스거더의 뒤틀림 해석 및 격벽간격산정 (A Study on the Distortional Analysis of Curved Steel Box Girders)

  • 구민세;이호경;김대홍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1-408
    • /
    • 2001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ortion of curved steel box girders. For the distortional analysis of steel box girders, two approaches are presented. One is the development of approximate formulas obtained by applying Ritz method. The other is the formulation of stiffness matrix which is derived from the exact solution of the differential equation for distortion. Distortional analysis is carried out by utilizing 3-dimensional elements of a structural analysis computer program (SAP2000). The present analysis focuses on the distortional stress and the effects of the diaphragm. The results of several example cases a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Nakai, Sakai, Heins, and Oleinik's theory and get the effect of diaphragm spacing on the distortional warping stress of the curved steel box girder.

  • PDF

상자형 거더의 격벽이 뒤틀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aphragm on the Distortion of Box Girders)

  • 황선호;홍성수;최진유;강영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5-342
    • /
    • 1999
  • It is well known that l-girders are weak in torsion and it might be more economical to use a box girder, which has great torsional rigidity. The use of box beams does, however, present a potential problem in that cross-sectional distortions can induce large warping normal stresses and transverse bending stress. Accordingly a sufficient number of diaphragm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tortional effects minimal. In engineering practice, diaphragms are spaced in 5m intervals without reasonable basis. It is considered to be noneconomical design to the almost design engineers, and it may produce the unsafe structural systems in special cases such as curved bridges with large initial curvature. These problems have not been solved for the lack of adequate tools of structural analysis.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arametric studies, the design formulas for the distortional warping stress and the reasonable diaphragm spacing of box girder were presented.

  • PDF

곡선 강박스 거더의 휨-뒤틀림 응력비에 따른 중간 다이아프램 간격 (Spacing of Intermediate Diaphragms Horizontally Curved Steel Box Girder Bridges considering Bending-distortional Warping Normal Stress Ratio)

  • 이정화;이기세;임정현;최준호;강영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25-6332
    • /
    • 2015
  • 곡선 박스 거더의 뒤틀림은 곡률 효과로 인하여 직선 박스 거더에 비하여 더욱 취약하지만,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곡선 박스 거더의 중간 다이아프램 간격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 및 곡선 박스 거더의 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뒤틀림 응력을 고려한 중간 다이아프램의 간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에 이용한 대상 교량은 단경간곡선 박스 거더로써,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건설되고 있는 교량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개변수는 중간 다이아프램의 개수 1-6개, 곡률중심각은 0-30도, 지간장은 30m 및 60m, 플랜지의 폭과 높이는 2, 3m로 선정하였다. 휨-뒤틀림 응력비는 5%, 10%, 15%, 20%인 경우에 대해서 직선 및 곡선 박스 거더의 곡률 중심각 및 뒤틀림 응력비에 따른 적정 중간 다이아프램의 간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석 결과와 설계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중간 다이아프램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