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scan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초

단일 색인을 사용한 임의 계수의 이동평균 변환 지원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 (A Single Index Approach for Time-Series Subsequence Matching that Supports Moving Average Transform of Arbitrary Order)

  • 문양세;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42-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단일 색인을 사용하는 임의 계수의 이동평균 변환 지원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단일 색인을 사용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은 색인 저장 공간 및 색인 관리의 오버헤드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동평균 변환은 시계열 데이타 내의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계열 데이타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임의 계수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색인을 생성해야 하고, 이에 따라 색인 저장 공간의 오버헤드와 색인 관리의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이동평균 변환의 정의를 확장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poly-order moving average transform) 개념을 제시한다.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이란, 각 윈도우를 하나의 이동평균 계수에 대해서 이동평균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계수에 대해서 이동평균 변환하여 윈도우의 집합을 구성하는 변환으로서, 이동평균 변환의 정의를 여러 계수로 구성된 집합에 대해서 확장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 개념을 사용한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의 이론적 근거인 정확성을 정리로서 제시하고 증명한다. 또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을 기존 서브시퀀스 매칭 연구인 Faloutsos 둥의 방법 및 DualMatch에 각각 적용하여, 두 가지 이동평균 변환 지원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두 가지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순차 스캔보다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주식 데이타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순차 스캔에 비해서 평균 22.4배${\~}$33.8배까지 성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계수에 대해 모두 색인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성능 저하는 매우 적은 반면 필요한 색인 공간은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일곱 개의 계수를 사용한 경우, 성능 저하는 평균 $9\%{\~}42\%$에 불과한 반면 색인 공간은 약 1/7.0로 크게 줄인다). 이와 같이 성능 측면과 색인 공간 및 관리 측면에서의 우수성에 덧붙여, 제안한 방법은 이동평균 변환 이외의 다른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으로 일반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은 이동평균 변환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종류의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에 폭넓게 적용되는 우수한 연구결과라 사료된다.

나선주사영상에서 모델 기반 경사자계 보상 (Model-based Gradient Compensation in Spiral Imaging)

  • 조상흠;김판기;임종우;안창범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1호
    • /
    • pp.15-21
    • /
    • 2009
  • 목적 : 나선 주사 영상에서 경사자계시스템의 회로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경사 자계를 추정하여 재구성에 사용함으로써 재구성 영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영상장치의 경사자계 시스템은 저항 성분과 자체 인덕턴스, magnet 시스템과의 상호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성분 등을 가지고 있어서 경사자계 증폭기에 인가하는 입력 경사자계 파형과 실제 만들어지는 경사자계 사이에는 시간적인 지연과 함께 파형에도 차이가 있다. 나선주사 영상에서 실제 만들어진 경사자계 파형 및 k-space 궤적은 재구성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사자계시스템을 회로 소자로 모델링하였고, 입력 전압 파형에 대한 출력 전류 파형을 구함으로써 실제 얻어지는 경사자계파형을 유도하였다. 모델링에서 사용한 R-L-C 값은 재구성영상의 화질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 1.5 Tesla MRI 시스템에서 경사자계 시스템의 입력 전압 파형에 대하여 실제 얻어지는 경사자계 파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경사자계파형을 적분함으로써 얻어진 나선 궤적을 재구성에 적용한 결과 재구성 영상의 균일도가 개선되었고, edge 부근에서 overshoot 가 줄어들었으며, 해상도가 향상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R-L-C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경사자계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었고, 입력 전압 파형에 대하여 실제 얻어지는 경사자계(전류) 파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얻은 kspace 나선 궤적을 이용하여 월등히 개선된 재구성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가상 착의 시스템에 의한 비만 여중생의 교복 원형 개발 (A Development of the Uniform Pattern for Obese Junior-High School Girls from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2호
    • /
    • pp.245-25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uniform pattern of obese junior-high school girls by using the virtual twin and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new uniform pattern considered obese junior-high school girls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bust girth=B/2+2.5, armhole depth=B/4, front waist girth=W/4+1.8, back waist girth=W/4+1, front hip girth=H/4+1, back hip girth=H/4+1, chest width=chest width+1.5, back width=back width+1 and back neck width 8cm.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w uniform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it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new uniform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obese junior-high school girls. Also, new uniform pattern was evaluated to allow proper space length of bust, waist, abdomen and hip. Virtual models production through 3D body scan data,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prototypic design method so as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also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High-Velocity Impact Damage Behavior of Carbon/Epoxy Composite Laminates

  • Kim, Young A.;Woo, Kyeongsik;Cho, Hyunjun;Kim, In-Gul;Kim, Jong-H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90-205
    • /
    • 2015
  • In this paper, the impact damage behavior of USN-150B carbon/epoxy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igh velocity impact was studied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Square composite laminates stacked with $[45/0/-45/90]_{ns}$ quasi-symmetric and $[0/90]_{ns}$ cross-ply stacking sequences and a conical shape projectile with steel core, copper skin and lead filler were considered. First high-velocity impact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Three tests were repeated under the same impact condition. Projectile velocity before and after penetration were measured by infrared ray sensors and magnetic sensors. High-speed camera shots and C-Scan images were also taken to measure the projectile velocities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damage shapes of the projectile and the laminate specimens. Next,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explicit finite element code LS-DYNA. Both the projectile and the composite laminate were modeled using three-dimensional solid elements. Residual velocity history of the impact projectile and the failure shape and extents of the laminates were predicted and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understanding on the penetration process of laminated composites during ballistic impact, as well as the damage amount and modes. These were thought to be utilized to predict the decrease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also to help mitigate impact damage of composite structures.

Change of the airway space in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 Lee, Woo-Young;Park, Young-Wook;Kwon, Kwang-Jun;Kim, Seo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23.1-23.7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velop a two-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airwa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airway space would be changed in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Methods: Patients requiring orthognathic surgery from 2012 to 2014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CBCT scans were obtained at three points: preoperatively (T0), immediate postoperatively (T1),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T2). The nasopharynx, oropharynx, and hypopharynx were measured on the CBCT scan for each patient in a repeatable manner. With the midsagittal plane, linear measurements in the middle of each were obtained. For the CBCT, volumetric measurements of each and total airway were obtained. Results: A total of 22 consecutive patients (11 men and 11 women)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1). However, the change of the diameter and volume of the nasopharyn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160, p = .137, respectively). In the oropharynx, the change of both the diameter and volu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operatively and immediate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and also preoperatively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1, p = .010, respectively). In the hypopharynx, the change of both the diameter and volu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operatively and immediate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and also preoperatively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can reduce the volume of airway in the patients of mandibular prognathism. Although total airway volume was reduced significantly, the changes in the volume and diameter of the nasopharynx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affects on the nasopharyngeal airway minimally.

Clinical Analysis of Epidural Fluid Collection as a Complication after Cranioplasty

  • Kim, Seung Pil;Kang, Dong Soo;Cheong, Jin Hwan;Kim, Jung Hee;Song, Kwan Young;Kong, Mi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5호
    • /
    • pp.410-418
    • /
    • 2014
  • Objective : The epidural fluid collection (EFC) as a complication of cranioplasty is not well-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EFC as a complication of cranioplasty, and its outcomes. Methods :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2, 117 cranioplasty were performed in our institution. One-hundred-and-six of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having EFC, or not having EFC.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FC.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using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f the 117 patients undergoing cranioplasty, 59 (50.4%) suffered complications, and EFC occurred in 48 of the patients (41.0%). In the t-test and chi-test, risk factors for EFC were size of the skull defect (p=0.003) and postoperative air bubbles in the epidural space (p<0.001). In a logistic regression,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EFC was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air bubbles. The EFC disappeared or regressed over time in 30 of the 48 patients (62.5%), as shown by follow-up brain computed tomographic scan, but 17 patients (35.4%) required reoperation. Conclusion : EFC after cranioplasty is predicted by postoperative air bubbles in the epidural space. Most EFC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However, reoperation is necessary to resolve about a third of the cases. During cranioplasty,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when the skull defect is large, since EFC is then more likely.

의료영상 가시화를 위한 셀 경계 방식 체적 재구성 방법 (Volume Reconstruction by Cellboundary Representation for Medical Volume Visualization)

  • 최영규;이의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3호
    • /
    • pp.235-24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단층 촬영 영상(tomographic cross-section image)에 포함되어 있는 볼륨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큐베릴 공간을 셀 공간으로 변환하고 경계셀들을 추출하여 볼륨을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셀 경계 표현은 이러한 경계셀들과 이들의 지지 복셀들의 구조에 의해 표현되어 지는데, 항상 볼륨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해낼 수 있다. 이 표현에서부터 가시화등의 작업에 필요한 표면모델을 추출하기 위해 19개의 모델링 원형을 제안하고 체적형, 표면형 그리고 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로부터 3차원 표면을 표 참조방식으로 빠르게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장점은 기존에 제안된 마칭 큐브나 PVP알고리즘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표면생성시의 모호성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마칭 큐브 알고리즘에서 발생하는 표면의 크랙문제도 완전히 해결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고리즘이 표 참조방식을 취하므로 하드웨어화 하기가 매우 용이하여 고속의 모델링이 필요한 분야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 PDF

Epidural Fluid Collection after Cranioplasty : Fate and Predictive Factors

  • Lee, Jung-Won;Kim, Jae-Hoon;Kang, Hee-In;Moon, Byung-Gwan;Lee, Seung-Jin;Kim, Joo-Se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3호
    • /
    • pp.231-234
    • /
    • 2011
  • Objective : Infection and bone resorption are major complications of cranioplasty and have been well recognized. However, there are few clinical series describing the epidural fluid collection (EFC) as complication of cranioplasty. This study was planne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and fate of EFC after cranioplasty. Methods :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in 59 patients who underwent a first cranioplsty following decompressive craniectomy during a period of 6 year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We compared demographic, clinical, and radiographic factors between EFC group and no EFC group. Th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FC were assess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verall, 22 of 59 patients (37.3%) suffered from EFC following cranioplasty. EFC had disappeared (n=6, 31.8%) or regressed (n=6, 31.8%) over time on follow up brain computed tomographic (CT) scans. However, 5 patients (22.7%) required reoperation due to symptomatic and persistent EFC. Predictive factors for EFC were male [odds ratio (OR), 5.48; 95% CI, 1.26-23.79], air bubbles in the epidural space (OR, 12.52; 95% CI, 2.26-69.28), and dural calcification on postoperative brain CT scan (OR, 4.21; 95% CI, 1.12-15.84). Conclusion : The most of EFCs could be treated by conservative therapy. Air bubble in the epidural space and dural calcification are proposed to be the predictive factors in the formation of EFC after cranioplasty.

췌장염 증상없이 췌장-흉막루를 통해 발생한 흉막저류 (Pleural Effusion and Pancreatico-Pleural Fistula Associated with Asymptomatic Pancreatic Disease)

  • 박상면;이상화;이진구;조재연;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226-230
    • /
    • 1995
  • 만성 췌장질환에 의한 흉막삼출은 췌장염 증상없이 대량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흉막액내 아밀라제의 현저한 증가는 췌장질환의 발견에 도움이 되며 대부분 보존적 췌장염 치료로 호전된다. 저자들은 췌장염 증상없이 흉막저류가 발생한 환자에서 흉막액내 아밀라제 증가를 발견하여 복부 및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췌장가낭종과 췌장-흉막루를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콘크리트 라이닝 자동점검진단 장비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evaluation of automatic inspection equipment using line scan camera for concrete lining)

  • 이규필;임형준;김정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43-653
    • /
    • 2020
  • 교통통제 후 인력점검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는 콘크리트 라이닝 점검방식은 교통통제에 의한 정체유발 및 이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이 발생되며, 교통사고 및 점검자 안전 사고 위험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객관적이고 정량적 조사가 가능한 자동점검 장비 및 영상분석을 통한 콘크리트 라이닝 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점검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는 콘크리트 라이닝 점검 및 진단방식의 문제점 해결 및 개선방안 검토를 위하여, 2019년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한 ◯◯터널 상·하행선에 대하여 국내에 도입된 터널 자동점검진단 장비를 이용한 점검 시행 후 정밀안전진단 조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터널 자동점검진단 장비를 이용한 점검은 정밀안전진단 보다 정확하게 균열 등 콘크리트 라이닝에 발생한 결함을 조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