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Tourism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1초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through the use of idle space)

  • 김효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25-426
    • /
    • 2021
  • 문화콘텐츠는 지역 관광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핵심적인 요인으로 인식이 되어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자신들만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도시재생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 도시에서 상대적으로 경제적·문화적으로 낙후되거나 사용하지 않는 유휴공간을 새로이 리모델링함으로써 도시 내 유휴공간을 지역의 특화된 문화예술 공간으로 구축함으로써 하나의 지역 특화 관광산업으로 발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ERVQUAL을 통해 유휴공간을 통해 제공되는 문화콘텐츠가 관광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설정 연구 (A Research on Setting up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cepts to Revitalize Local Tourism in the Post-Corona era)

  • 정종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51-160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적절한 축제콘셉트를 설정하고 국제 경쟁력과 관광자 만족을 위한 관광축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축제콘셉트를 설정하여 구현함으로써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와 실증적 조사 및 종합적인 메타분석 결과는 축제콘셉트 설정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콘셉트 구축, 안전 패키지형 관광축제 방역시스템 구축,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개최가 필요하다. 또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관광축제의 기획과 실행, 마을 단위 소규모 이웃과 이웃이 함께 즐기는 관광축제 콘셉트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삼릉의 사회적 변용과 특성으로부터 본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 (Tourism Resources Strategy of Royal Tomb: from Seosam-noung's Social Transfiguration and Characteristic Perspectives)

  • 박구원;박진우;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50-261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왕릉의 활용논의가 가장 활발히 전개되는 있는 서삼릉을 대상으로 그의 사회적 변용과 이용 및 공간적 특성을 통해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왕릉의 관광레크레이션적 가치는 왕릉이라는 문화적 요인 못지않게 주변지역의 특성적인 환경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왕릉의 개발수요는 기본적으로 관광개발에 앞서 시민휴식공간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바, 시민휴식공간과 관광레크레이션을 어떻게 양립시켜 나갈 것인가가 공간개발의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왕릉의 특성은 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왕릉을 구성하는 인물적 특성과 왕릉을 둘러싼 식생 또는 경관학적 특성에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공간, 식생, 인물 구성에 대한 스토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egotiations in Space and Time: Changing Gender Relations in Thai Tourist-oriented Encounters

  • King, Victor T.;Rotheray, J.
    • 수완나부미
    • /
    • 제11권2호
    • /
    • pp.25-57
    • /
    • 2019
  • The paper addresses Erik Cohen's pioneering work on tourism in Thailand, specifically his publicat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Thai women and foreign (farang) men in tourist-oriented encounters. Of sociological-anthropological interest is his conceptualization of these relations as "open-ended prostitution as a skilful game of luck" based on his study of a Bangkok soi (lane) in 1981-1984, and his exploration of Thai culture in terms of ambiguity and contradiction. On the basis of recent ethnographic research in the northern Thai tourist hub of Chiang Mai and wide-ranging observations on tourism development in Thailand, we examin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se male-female engagements since Cohen's research,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such electronic agencies as social media, messaging, video chat, and internet dating. Whereas Cohen's concept of ambiguity and illusion has tended to disappear from physical spaces, it seems to have resurfaced in virtual space. The complexities of host-guest relations, and particularly the interactions both within the variegated category of "guests" themselves and then between their "hostesses" are explored in terms of sites of tourism-oriented encounters in both physical and virtual space so as to deconstruct these oppositional categories which have been formative in studies of tourism.

  • PDF

스토리텔링구현을 통한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장소성확보 -개실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Securing Placeness at Rural Tourism Village Via Storytelling Implementation -Focusing on Case study of Gaesil Village-)

  • 이병훈
    • 농촌계획
    • /
    • 제18권1호
    • /
    • pp.47-57
    • /
    • 2012
  • The following study has examined possible methodological approach and prospect of implementing storytelling in rural tourism field. It is aimed towards deducing principles of space composition behind securing placeness of rural tourism village through storytelling.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by archival research and case study on field of interest, an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1) Storytelling exhibits principles of narrative structure (exposition, complication, climax, and resolution) in various fields, and has shown tendency to structuralize a plot. 2) It can be said that storytelling is deeply related with people's associations of their inner mind. This can be a logical explanation of a certain sight or location, which is a physical environment itself being the actual narrator and distributor in storytelling. 3) In order to convey a story in a more convincing way, storytelling a naming strategy based on a rhetorical technique, which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creating unique placeness of a rural village. As indicated in our study, means of storytelling-"Continuity and tourist circulation of space composition with a narrative structure, spatial hierarchical order, concealment and revelation, cast, and naming based on rhetorical technique and facilities positioning"-is a viable solution that can bring recovery of the rural village's unique placeness, as well as spatial developme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을 위한 S.I.(Space identity)개발연구: 제천중앙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S.I.(Space Identity) for Culturre and Tourism Market Development: Based on Jecheon Central Market)

  • 박진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97-2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천 최고(古)의 시장이자 최대의 시장인 제천중앙시장의 공간적인 장소성과 문화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S.I.(Space Identity)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형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제천중앙시장의 현황을 조사 분석한 후 공간별 스토리텔링에 입각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공간디자인의 컨셉은 공존으로 공간, 시간, 사람, 문화로 나누어 상인과 상품, 상가는 하나의 공간에서 시간성을 공유하고 공존함을 세부내용으로 하였다. 따라서 각 층별 시설물은 각 층별로 게이트, 안내판, 조명, 휴게공간, 디자인 벤치시설, 안내센터, 영업 준수선, 바닥사인물, 게이트 바닥사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제천중앙시장 상가의 새로운 수요창출 및 매출이 증대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을 구축하여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관광농원 단위 공간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the Spatial Model for the Tourism Farm)

  • 김정화;이춘석
    • 농촌계획
    • /
    • 제3권1호
    • /
    • pp.68-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atial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ourism farm plan. This study includes : (1) the analysis of existing facilities and activities of 22 tourism farms in Kyunggido and (2)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user's attitudes in 3 tourism farm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ajor activities in the tourism farm are the resting/playing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roup meeting. 2) Average area is 17879.4uf (5418 坪). The most frequent facility is restaurant and lodge. 3) It is necessary to propose various types of tourism farm considering both natura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ural region and users'various wants. The tourism farms are official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Natural education type, Mind and body training type, Weekend farm type, Recreation type. 4) The space for tourism farm is divided into an area of production, and area of processing, and an area of convenience/recreation. 5) It is desired the convenience facilities are located in front of a farm, and the area of production is located at the back of a farm, and simple rest facilities are located all of the farm. 6) The weekend farm model and processing/convenient facility model are proposed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the weekend farm models are proposed - simple type, composite type, and garden type. Three types of the processing/convenient models are proposed one building type, adjacent building type, and scattered building type.

  • PDF

Koh Chang Island Eco-Tourism Mapping by Balloon-born Remote Sensing Imagery System

  • Kusanagi, Michiro;Nogami, Jun;Choomnoommanee, Tanapati;Laosuwan, Teerawong;Penaflor, Eileen;Shulian, Niu;Zuyan, Ya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94-896
    • /
    • 2003
  • Koh Chang Island is located near the east border of Thailand. The government of Thailand promotes the island as a model of eco-tourism spots. The Island undeveloped until recent years, is expected to change to major tourist attraction. 'Digital Koh Chang project' has thu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monitor the environment and land use status of the island and to support its sound development. In March 2003, a field survey of this project was planned and field data were collected using both airborne and ground platforms and an ocean vessel. These data were combined with satellite data in the laboratory. This presentation is all balloon-born system field operation. A 5-meter length balloon filled with Helium gas was used, whose payload consisted of two RGB standard color digital still cameras, two directional rotating servo motors, a camera mount cradle as well a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ponents. A series of aerial high-resolution digital images were rather easily obtained using this inexpensive system, making it possible to monitor intended landscape features in a specific field. Design of simple, low-cost and easily transportable flying platforms and local field surveys using them are useful for getting local ground truth data to calibrate satellite or airborne-based RS data. The design analysis to upgrade the system is further investigated.

  • PDF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정기시장 공간구조분석 -평창 대화장을 중심으로-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raditional Periodical Market using Space Syntax Method)

  • 정대영;윤아영;윤지환;김상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679-700
    • /
    • 2013
  • 최근 농촌지역이 쇠퇴하면서 농촌사회의 중심공간이었던 전통정기시장이 점차 축소되고 상권이 붕괴되면서 존폐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통정기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사회적, 지리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5일장이었던 평창 대화장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방법인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 및 보행동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인 공간구조는 통합도와 명료도가 높게 나타나 방문객이 전체 공간을 인지하고 이동하기에 효율적인 구조이지만 소비를 촉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보행동선을 분석한 결과 시장의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주요시설 주변에 분포하는 동선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전통정기시장은 단순하고 명료한 공간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쇠퇴한 정기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장소성을 강화하고 방문객의 소비를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mproving Aviation Sector for International Tourism Promotion in Korea

  • Lee, Kang-Wook
    • 한국항공우주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8년도 제40회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9-30
    • /
    • 2008
  •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the main problems for attracting inbound tourists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aviation sector.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policy issues of tourism-aviation sector. The major impediments in the aviation sector for attracting inbound tourists can be lack of flight seat supply at peak season, flight time schedule, and cooperation of Airlines. Policy suggestions for international tourism promotion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re-adjustment of flight time schedule between Japan-Korea routes, market promotion for attracting Chinese visitors, development of Korea-China-Japan triangular tourism product, efficient provision of airport facility, and in particular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sectors of countries and private sectors of Airlines and travel agen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