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curing Placeness at Rural Tourism Village Via Storytelling Implementation -Focusing on Case study of Gaesil Village-

스토리텔링구현을 통한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장소성확보 -개실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1.30
  • Accepted : 2012.03.22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following study has examined possible methodological approach and prospect of implementing storytelling in rural tourism field. It is aimed towards deducing principles of space composition behind securing placeness of rural tourism village through storytelling.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by archival research and case study on field of interest, an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1) Storytelling exhibits principles of narrative structure (exposition, complication, climax, and resolution) in various fields, and has shown tendency to structuralize a plot. 2) It can be said that storytelling is deeply related with people's associations of their inner mind. This can be a logical explanation of a certain sight or location, which is a physical environment itself being the actual narrator and distributor in storytelling. 3) In order to convey a story in a more convincing way, storytelling a naming strategy based on a rhetorical technique, which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creating unique placeness of a rural village. As indicated in our study, means of storytelling-"Continuity and tourist circulation of space composition with a narrative structure, spatial hierarchical order, concealment and revelation, cast, and naming based on rhetorical technique and facilities positioning"-is a viable solution that can bring recovery of the rural village's unique placeness, as well as spatial developme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겸, 2002, 농촌관광의 가능성과 발전방향. CEO information, 333, 1-24.
  2. 고선영, 2006, 장소자산에 기반한 농촌체험관광마을의 유형화: 경기도 4개 마을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3. 김경찬, 2008, 농촌관광마을의 지역여건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광욱, 2008,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 41, 249-276.
  5. 김기국, 2007,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연구: 기호학 이론과 분석모델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4, 151-158.
  6. 김병주, 이상해, 2006, 풍수와 한국 전통마을에 대한 생태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6), 19-30.
  7. 김정미, 2006, 미디어에 따른 스토리텔링의 의미변화와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53-60.
  8. 노재현, 2009, '이산구곡가'를 활동한 '마이경승'의 스토리텔링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63-74.
  9. 류선무, 1998, 농촌공원의 자원별 관광농업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시현, 2003, 농촌관광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국토, 263, 18-30.
  11. 박한식, 박용순, 고동완, 2009. 관광프로그램 개발의 스토리텔링사례: 김삿갓 방랑 서사구조 중심. 관광학연구, 33(2), 191-208.
  12. 백선혜, 2005, 장소성과 장소마케팅. 서울: 한국학술정보.
  13. 서동훈, 김효정, 2009, 문화콘텐츠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민족문화논총, 43, 471-501.
  14. 송광인, 2006, 농촌관광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22, 111-126.
  15. 송효섭, 2010,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시학과 언어학, 18, 163-180.
  16. 신상섭, 1999a, 한국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환경설계원칙. 국토, 9, 78-85.
  17. 안종현, 2008, 농촌관관마을 만들기와 주민참여: 광양시 신촌마을과 장흥군 진목마을의 사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오경환, 2002,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오익근, 2010, 관광상품의 브랜드전략. 서울: 대왕사.
  20. 오지현, 김억, 2004, 건축설계를 위한 '연속적 공간'과 인간의 공간지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2), 359-362.
  21. 유정미, 2007, 지역박물관의 전시 해석기법 연구 :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석환, 황기원, 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32(5), 169-184.
  23. 이주향, 2004, 전시공간디자인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완구, 2005,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농촌휴양마을조성에 관한 연구: 홍성 판교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경운, 2006, 서사공간의 문화기호 읽기와 스토리텔링 전략 I : 태백산맥의 '벌교'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9, 273-291.
  26. 최진식, 2007, 실내디자인의 감성적 접근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8(4), 731-739.
  27. 최혜실, 2003, 디지털 스토리텔링. 정보과학회지, 21(2), 12-15.
  28. 황기원, 1983, 시각언어구성에 의한 환경설계이론. 환경논총, 13, 44-61.
  29. 황기원, 1989, 경관의 다의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55-68.
  30. 한국관광공사, 2006, 관광스토리텔링-그 빛을 발한다. 서울: 한국관광공사.
  31. Potteiger, M. & Purinton, J, 1998, Landscape Narratives: Design practices for telling stor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2. Rapport, A., 1982, The meaning on the built environment. London: pion Ltd.
  33. Saarinen, J, 2006, Traditions of Sustainability in tourism stud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3(4), 1121-1140. https://doi.org/10.1016/j.annals.2006.06.007
  34. Tuan, Y. P, 1995, 공간과 장소-Space and place, 구동회, 심승희 역, 서울: 삼영사, 원서출판 1977.
  35. Turner, P & Turner, S., 2006, Place, Sense of Place, and Presence. Presence, 15(2), 204-217. https://doi.org/10.1162/pres.2006.15.2.204

Cited by

  1. 어메니티자원 분석을 통한 비안도 어촌 마을 특화계획 vol.19,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3.1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