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Text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9초

Digilog를 이용한 과학관의 활성화 방안 (A study on Vitalizations of Science Museum with Digilog-Book)

  • 윤영두;최훈;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6-568
    • /
    • 2013
  • 최근 정부의 창조과학의 일환으로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학전시는 인프라의 부족과 예산 및 인력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과거의 과학관은 현장학습 체험의 대표적인 장소이자 유청소년들의 호기심의 장소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과학관의 경쟁상대는 테마파크나 온라인 게임들이 경쟁의 대상으로 부각되어지면서 체험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체험 전시기기의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해외 선진 과학관의 사례를 살펴보면 과학관이 단순한 과학교육 체험의 장이 아닌 하나의 문화공간으로서 휴식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이외에도 주변 생활을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나 패션 등과 결합하여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획일화 되어진 전시기기의 설명 패널을 디지로그 북을 이용한 설명 패널로 교체하여 관람객의 연령과 학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과학지식에 대한 지적 호기심 유발과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사회적 공론장으로서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 장르 관습과 한계 (Television Debates: Genre Conventions and Their Limits as Public Spheres)

  • 김훈순;김은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8권
    • /
    • pp.63-97
    • /
    • 2002
  • 본 논문은 텔레비전이 시사토론 장르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으며, 그러한 장르적 양식이 사회적 공론장으로서의 공적 토론에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관심을 갖고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시사토론 네 편을 대상으로 2001년 6월 한달 간의 포맷, 주제, 참여자, 통용되는 지식 등을 텍스트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텔레비전 토론은 시사성 주제, 심야편성, 논쟁적 토론, 찬반구도, 생방송 등의 특징적 틀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정책토론의 경우 거의 똑같은 형식과 내용을 반복하고 있었다. 이 들은 경성/거시적인 주제, 권위적이고 조직적인 진행, 전문가와 남성으로 구성된 패널, 집단적 이해의 반영, 제한된 수용자 접근권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토론장르가 수적으로는 활성화되어 있지만 획일적인 관습의 반복에 따라 결국 공론장의 다양한 가능성은 엄격하게 재생산되는 관습적 틀 속에 함몰되어 양식만이 재생산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치토론장르에서 새로운 시도가 나타나고는 있지만 보다 민주적이고 심층적인 토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장르관습의 전반적인 변화가 요청된다.

  • PDF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화 Change of Season)

  • 채동현;변원섭;손연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109-1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o analyze of the preservice teachers' naive theories about the change of season. And it is to find a instruction strategy which can solve problem about this.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is observed by the 3 methods which are simply explaining with words, explaining with pictures and models. The author is to find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relationship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The important changable primary factors, which can effect to the general Idea formation, are naturally dragged out through the obser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4 first year preservice teachers of one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used. Before the interview. the author tries to form rapport with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ment materials, pencil. paper, camcorder, digital recorder and interview note were used for the study with reflection of them just way they are.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all of 4 preservice teachers had not being understand the concept about the change of season and the three ways of explanation methods were not matched each other, so it is revealed that the general Idea of the change of season,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is not strongly formed. In spite of the repeated study of the change of season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it has many problem about recognition of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which pre-elementary teachers have.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experiment in elementary science text book and naive theories by the activity which is explaining the change of season in three dimension space. to prevent the naive theories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may have.

  • PDF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분석 -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ender Identity of On-line Game Character - focused on -)

  • 한혜원;김서연;구혜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60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형상화 양상 및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이 구축되는 방식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연구 대상으로 채택하고, 젠더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게임 개발자가 제시하는 시스템, 이미지, 담화 등에서 나타나는 캐릭터의 젠더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플레이어의 재생산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게임 개발자로부터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게임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은 현실의 관습 및 선입견을 답습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플레이어 또한 그러한 흐름에 부응하고 있었다. 온라인 게임은 플레이어의 텍스트 개입과 변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끊임없이 발전하고 진화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내재하는 바, 인간 경험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Contents in Middle-School Home-Economics)

  • 박일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9-8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t contents from teachers’, parents’and students’view points based on the sixth 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to apply these results at school settings and to provide the materials as a basi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Subjects were 59 teachers, 253 parents, and 389 students from 3 cities and 5 counties in CholaBukDo. A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the researcher was used as an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32 contents on Family life subarea, all the teachers, the parents and the students put the emphasis on sex such as pregnancy, purity, sex-ethics, etc. This result means that middle-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this was also a common concern about adolescents in our society. Of 37 contents of Managing home resource and Consumer life subarea, teachers though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an important subject and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finding a method to conserve good environment were more important. This result reflects their concern on the environment. Of 49 contents on Dietary life,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ve elements”which is basic on their dietary life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dolescence and growth and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which is more related to their current life. Of 40 contents on Clothing life subarea, while teachers put the emphasis on the method how they can buy ready-made clothes, parents and students wanted them to teach what kind of clothes are suitable for themselves. Of 18 contents on Residing life subarea,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for adjusting the 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ffective use of the residing space. By finding out what kinds of Home-economics contents are important from the view point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and for selecting contents of a new-coming text book. However, restricted sampling must be considered and further studies which cover the whole area might be needed.

  • PDF

특징, 색상 및 텍스처 정보의 가공을 이용한 Bag of Visual Words 이미지 자동 분류 (Improved Bag of Visual Words Image Classification Using the Process of Feature,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 박찬혁;권혁신;강석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82
    • /
    • 2015
  • 이미지를 분류하고 검색하는 기술(Image retrieval)중 하나인 Bag of visual words(BoVW)는 특징점(feature point)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이미지 특징벡터들의 분포를 통해 쿼리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검색해주는 시스템이다. Words를 구성하는데 특징벡터만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이미지를 검색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징벡터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색상정보나 반복되는 패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텍스처 정보를 Words를 구성하는데 포함시킴으로서 다양한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 부분에서는 특징정보만을 가진 words를 이용해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와 색상정보와 텍스처 정보가 추가된 words를 가지고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를 비교하였고 새로운 방법은 80~90%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교육 사이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Google Earth)

  • 이선주;강영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3-2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지리 관련 학습 자료를 지도를 기반으로 매쉬업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현해 봄으로써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지오웹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지리교육에 있어서도 지도에 기반한 다양한 변화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지만, 지리교육분야에서 그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콘텐츠를 설계하고, 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영상, 개념도 등 다양한 관련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둘째, 수집된 자료를 구글의 오픈 API를 활용하여 지도기반으로 매쉬업하였으며, 셋째, 교과서 분석에 따른 내용분류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을 다루는 지리교육에서 텍스트위주가 아닌 지도기반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지오웹환경에서 교과서의 다양한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누벨당스 작품에 나타난 퍼포먼스 의상의 미적 특성 연구 - 필립 드쿠플레(Philippe Decouflé)의 안무작품과 필립 기요텔(Philippe Guillotel)의 의상디자인을 중심으로 - (Performance Costumes and Stage Direc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Nouvelle Danse Work - Focused on the Philippe Decouflé's choreography work and costume design of Philippe Guillotel -)

  • 김향자;김영삼
    • 복식
    • /
    • 제65권5호
    • /
    • pp.126-14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s of choreographer Philippe $Decoufl{\acute{e}}$ and the performance costumes designer Philippe Guillotel, and identify the intrinsic values shown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s. And it proposes a vision a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modern fashion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performing arts comple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hown in Philippe $Decoufl{\acute{e}}$'s art pattern applies dynamic improvisation, decategorization reflected in the media interactivity, time and space of a variable scalability, complex artistic genres and transcends cultural boundar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costume can be described as a co-existence between dynamics of aesthetic layers, 'Media body' represen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compounds with the technology, and integrated variable expandability. And aesthetic values inherent in the performance costumes are summarized as abstraction, playfulness, reproducibility, and theatricality. Modern fashion performance and limited production of the center 'costumes' in the fashion images can be used in diverse ways, and innovative marketing has gone through a change in image production. Metaphysical text of the advanced performance genre can be presented in a new perspective to fashion derivatives 'Media body'. And the 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kitsch, the grotesque, and surrealism in theater will produce creative stage direction.

Theoretical analysis of Y-shape bridge and application

  • Lu, Peng-Zhen;Zhang, Jun-Ping;Zhao, Ren-Da;Huang, Hai-Yu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1권2호
    • /
    • pp.137-152
    • /
    • 2009
  • Mechanic behavior of Y-shape thin-walled box girder bridge structure is complex, so one can not exactly hold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Y-shape thin-walled box girder bridge structure through general calculation theory and analytical method. To hold the mechanical behavior better, based on elementary beam theory, 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analytical method, taking account of restrained torsiondistortion angledistortion warp and shearing lag effect at the same time, authors obtain a thin-walled box beam analytical element of 10 degrees of freedom of every node, derive stiffness matrix of the element, and code a finite element procedure. In addition, authors combine the obtained procedure with spatial grillage analytical method, meanwhile, they build a new analytical method that is the spatial thin-walled box girder element grillag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validate the precision of the obtained analysis method, authors analyze a type Y-shape thin-walled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lementary beam theory analytical method, the shell theory analytical method and the spatial thin-walled box girder element grillage analysis method respectively. At last, authors test a type Y-shape thin-walled box girder bridge structure. Comparisons of the results of theory analysis with the experimental text show that the spatial thin-walled box girder element grillage analysis method is simple and exact. The research results are helpful for the knowledge of the mechanics property of these Y-shape thin-walled box girder bridge structures.

SMS를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소통 실태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using SMS)

  • 차경수;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0-68
    • /
    • 2009
  •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학부모는 교사와의 의사소통에서 시간 공간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며, 교사도 학급당 많은 인원수와 업무과중 등으로 학부모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SMS를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소통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알아보았다. SMS 활용 실태에서 아동에 대한 정보 교류 및 교육 활동을 위해 SMS가 필요하다는 대답이 높았으며, 교사는 아동에 대한 교육 정보 교류를, 학부모는 생활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담임에 대한 부담 해결, 담임과의 친숙함 형성, SMS 무반응 이유 탐색 및 대처 방안 마련, 학부모 요구에 맞는 정보 제공하기, 학부모의 답장률 높이기, 문자 용량 확대, 컴퓨터 온라인 접속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