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10

Search Result 6,1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NEMATODES IN GOAT AT CHITTAGONG HILLY AREAS OF BANGLADESH

  • Kamal, A.H.M.;Uddin, K.H.;Rahm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343-345
    • /
    • 1993
  • Eight hundred and seventy on goats from Naikhongchari FSR site in Bandarban district were examined for gastro-intestinal nematodes. The parasites encountered in the region were Haemonchus Sp, Bunostomum Sp, Oesophagostomum Sp and Strongyloides Sp. The overall infection rate was 78.41%. Among various species found. Haemonchus Sp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although Oesophagostomum and Bunostomum were also found in this studies. The seasonal fluctuation in infection was assessed by monitoring the fecal egg count. The maximum values for the prevalence and overall mean EPG were observed after the heavy rain fall season and rem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from June to November. Haemonchus Sp and Oesophagostomum Sp appeared to be of major important parasites in the goats of this climatic zone which deserved proper treatment to attain higher production from goat.

韓國産 뿔톡토기科의 6新種 및 洞窟産 1未記錄種등에 관한 分類學的 硏究 (Some Entomobryidae Including Six New Species and One New Record of Cave Form (Collembola) from Korea)

  • Lee, Byung-Hoon;Park, Kyung-Hw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7-188
    • /
    • 1984
  • 남한의 30여개 지역의 삼림토양에서 뿔톡토기과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3속 10종을 얻은 바 이 가운데 6신종 (Entomobrya jirisana n. sp., Entomobrya quadrata n. sp., Entomobrya vigintiseta n. sp.,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Homidia heugsanica n. sp., Homidia bilineata n. sp.) 및 1 한국미기록종 (Sinella curviseta Brook, 1882)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는 잣나무에서 채집되었고 Sinella dubiosa Yosii, 1956는 눈이 없는 진동굴성으로 삼척의 초당굴미기록종이다. 본 연구결과 한국산 뿔톡토기는 모두 3속 23종이 된다.

  • PDF

호알칼리성 Corynebacterium sp. YT-14를 이용한 감량가공폐수와 종합염색폐수 중의 terephthalic acid 제거

  • 이현욱;임동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59-360
    • /
    • 2002
  • 1. TPA 제거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개발하였으며 동정 결과 Corynebacterium sp. 로 판단되며 Corynebacterium sp. YT-14로 명명하였다. 2. TPA 제거를 위한 Corynebacterium sp. YT-14의 최적 배양온도는 $35^{\circ}C$ 였고, 최적 초기 pH는 pH 10이었다. 3. Stirred loop bioreator에 Corynebacterium sp. YT-14를 배양한 후 감량가공폐수와 종합염색폐수를 회분식으로 처리한 결과 감량가공폐수에서 처리 7일 후 TPA 제거효율이 85.4% 였으며, 종합염색폐수에서는 처리 3일 후 TPA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Two New Sponges of the Genus Haliclona (Demospongiae: Haplosclerida: Chalinidae) from Korea

  • Kang, Dong-Won;Sim, Chung-J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3권2호
    • /
    • pp.169-173
    • /
    • 2007
  • Two new marine sponges in the family Chalinidae, Haliclona (Haliclona) uljinensis n. sp. and Haliclona (Reniera) hongdoensis n. sp., are collected from Uljin and Hongdo Island, Korea during 2004-2007. H. (H.) uljinensis n. sp. is closely related to H. (H.) oculata in type of spicules. However, ectosomal skeleton of H. (H.) uljinensis n. sp. is reticulated and isodictyal reticulated type but H. (H.) oculata has not any dermal specialization in skeleton. The growth form of H. (H.) uljinensis n. sp. is thin encrusting with numerous cylindrical tubes on the surface but H. (H.) oculata is solid branch form. Haliclona (R.) hongdoensis n. sp. is closely related to H. (R.) aquaeductus in skeletal structure and growth form. However, oxeas of H. (R.) hongdoensis n. sp. are larger than H. (R.) aquaeductus's.

Seven new species of genus Dyside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Dysideidae) from Korea

  • Young A Kim;Kyung Jin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38-47
    • /
    • 2023
  • Seven new species of genus Dyside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Dysideidae) are described from Jejudo Island and Geomundo Island, Korea. These new species are compared with other reported species in fibre structure and arrangement, and cored detritus. Dysidea reticulum n. sp. is similar to D. glavea in skeletal structure but differ in sponge shape. Dysidea simplex n. sp. is close to D. glavea with loosely arranged skeletal structure but fibres in this new species are not cored with large sands. Dysidea pyeongdaensis n. sp. is characterized by tube-like surface oscules open toward the sandy bottom. Dysidea capillus n. sp. is similar to D. dokdoensis in skeletal structure, but differs in long surface conules. Dysidea mukriensis n. sp. is close to D. corallina in distinct dense surface conules, but differs in sponge shape and skeletal structure. Dysidea membrana n. sp. is similar to D. sabulum in primary fibres cored with numerous large sands, but differs in sponge surface conules and secondary fibres. Dysidea chujaensis n. sp. is unique in the sponge shape and skeletal structure.

Phenol 분해균주의 분리 및 페놀함유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Isolation of a Phenol-degrading Bacterial Strain and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Phenols)

  • 이현돈;이명은;김형갑;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73-1279
    • /
    • 2013
  • 방향족화합물들로 오염되어있는 토양 및 산업폐수를 포함한 각종 시료로부터 phenol에 분해활성이 높은 56균주를 순수분리 하였으며, 이들 분리 균주 중 균체생육과 phenol 분해활성이 가장 높은 균주인 GN13을 선별하였다. 분리균주 GN13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Neisseria 속 세균과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적으로 Neisseria sp. GN13으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 Neisseria sp. GN13의 균체생육 및 phenol 분해를 위한 최적온도와 최적 pH는 각각 $32^{\circ}C$와 7.0였다. 유일 탄소원으로 phenol 1,000 mg/l를 포함하여 최적화된 배지를 사용한 jar-fermentor 배지에서 배양 30시간에 균체생육이 최대에 이르렀으며 배양 27시간째 거의 모든 phenol이 분해되었으며, catechol deoxygenase 활성측정에 의하여 Neisseria sp. GN13은 meta-와 ortho-pathway를 통하여 catechol 분해가 일어났다. Neisseria sp. GN13은 phenol 함유 인공폐수에서의 phenol 분해율은 배양 30시간 만에 97%의 phenol이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폐수에 대한 Neisseria sp. GN13과 활성슬러지 처리구에서의 TOC 제거효율은 각각 83%와 78%였다. 석유화학폐수에 대한 Neisseria sp. GN13의 COD 제거율은 활성슬러지만을 포함한 대조구보다 약 1.3배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분리균주 Neisseria sp. GN13은 phenol을 함유하고 있는 여러 폐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자유생활아메바의 분류학적 접근 (Immunological approach for classification of free-living amoeba in Korea)

  • 신호준;김종환;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89-298
    • /
    • 1992
  • Acanthnmoeba sp. YM-4의 영양형은 사상의 침상위족을 내어 전형적인 각canthamoeba 속의 특징이 관찰되었으며, 포낭(씨스트)은 외벽이 등근혐이었고 내벽이 단순한 구형이거나 다소 불규칙한 2개의 세포벽을 갖고 있었다. SDS-PAGE 결과, Acanthamoeha sp. Yhf-4는 약 16개의 주요 단백질 분획이 관찰되었는데, 2차원 전기영동 결과와 함께 Acanthamoeba sp. YM-4의 단백질 분획은 A. culbertsoni와 거의 같은 양상이 관찰되었다. Acanthamoeba sp. YM-4로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myeloma 세포를 융합한 결과, 항체를 분비하는 17개 clone을 얻을 수 있었다. 생성된 단세포를 항체 중 isotyping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McAY 6, McAY 7, McAY 8, McAY 13, McAY 16 단세포군은 IgGl 항체를, McAY 10, McAY 11 단세포군은 19M 항체를 분비하였다. 생성된 단세포군 항체는 대부분이 아메바의 세포막에 있는 항원과 반응하였으며, EITB 실험결과, McAY 7 단세포군 항체는 43 kD에서 반응대가 관찰되었고, McAY 10 단세포군 항체는 55 kD과 105 kD에서 반응대가 관찰되었다. ELISA 방법을 이용한 단세포를 항체들과 여러 아메바 간의 교차반응실험 결과, McAY 7 단세포군 항체는 Acanthamoeba sp. YM-4에만 반응하였고, McAY 6과 McAY 10은 A. culbertsoni와도 반응하였다. 또한 McAY 11은 모든 아매바와 교차반응을 보였다.

  • PDF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 손미선;박종환;임채홍;김세경;임병진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105-112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영산강수계의 4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과 일차생산량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 (수온, 용존산소량, pH,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규조강 43종, 녹조강 93종, 남조강 16종, 기타 강 22종으로 총 17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 밀도는 $275cells{\cdot}mL^{-1}{\sim}58,60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봄철과 가을철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 여름철에는 Scenedesmus quadricauda, Pediastrum biwae 및 Coelastrum sp.와 같은 녹조강과 Aulacoseira granulata와 같은 규조강이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과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와 같은 남조강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신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Peanibacillus sp. BCNU 5016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aenibacillus sp. BCNU 5016 as a Novel Probiotic)

  • 최혜정;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6
    • /
    • 2014
  •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한국의 염장 발효 생선가공품인 젖갈로부터 Paenibacillus sp. 균주들을 탐색하였다. 이들 균주들 중에서 BCNU 5016은 그람양성균으로 gelatinase와 urease를 생산하지 않는 전형적인 Paenibacillus sp. 균주로 확인되었다. 이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바탕으로 계통적으로 Paenibacillus polymyxa의 근연종임이 확인되었다. Paenibacillus sp. BCNU 5016은 내산성 실험을 통해 pH 2.5에서 3h 배양 후에도 91.89%까지 생존함이 확인되었고, 담즙산에도 뛰어난 내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BCNU 5016은 자가응집능, 공동응집능 및 소수성 능력으로 볼 때 우수한 장점막 부착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Paenibacillus sp. BCNU 5016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 우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고구마 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Reclaimed from Sweet Potato Processing Sludge)

  • 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47-753
    • /
    • 2013
  • 고구마의 가공공정(절단, 성형, 세척) 중 발생하는 고구마 가공슬러지로부터 고구마전분을 회수하여 전분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재고하기 위해 회수된 고구마전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고구마 가공 슬러지의 냉동저장에 따른 고구마전분의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전분들의 총전분 함량은 94.1-95.6%의 범위에 있었으나 겉보기 아밀로오스와 인 함량은 냉동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고구마 전분이 다른 전분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냉동저장 처리는 고구마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사슬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구마전분 입자의 결정구조를 변형시켰으며 무정형 영역을 감소시켰다. 이로 인해 고구마전분의 팽윤력과 페이스팅 점도특성은 감소하였으며 최대호화온도와 호화종결온도는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고려할 때 고구마 가공 슬러지를 획득한 즉시 회수한 고구마전분은 고구마로부터 직접 분리한 고구마전분과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여 상업적인 전분소재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냉동저장된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분리 정제한 고구마전분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공식품에 있어 이의 가공적성 및 최종품질에 대한 영향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