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0

검색결과 6,163건 처리시간 0.032초

Microcystis sp.로 수화된 상수원수에 전염소 및 폴리아민 투입이 정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 입자상 물질 분포 (Effect of Pre-chlorine and Polyamine Dosing for Microcystis sp. Bloomed Water o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 Particle Matter Distribution)

  • 손희종;김상구;이정규;황영도;류동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556-560
    • /
    • 2017
  • Microcystis sp.로 수화된 원수에 대해 전염소 처리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응집보조제로 polyamine을 투입하였을 때의 응집 및 여과공정에서의 효과를 수중의 입자상 물질의 분포로 평가하였다. Microcystis sp.로 수화된 원수를 전염소 처리하면 Microcystis sp. 군집이 각각의 세포들로 분산되어 응집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보조제로 polyamine을 이용하면 응집제 단독으로 응집하는 경우에 비해 탁도와 입자성 물질 제거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직경 $5{\mu}m$ 이하의 입자상 물질의 제거에 탁월하였다. Microcystis sp.로 수화된 상수원수를 이용하는 정수장에서는 전염소 처리를 배제하고 정수장을 운영하는 방법이 후단공정에서 입자상 물질의 제거 및 관리에 효율적이었다.

The Modulatory Effect of Sodium Propionate Treatment i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Intracellular Growth of Brucella abortus 544 in Raw 264.7 Cells

  • Heejin Kim;Tran Xuan Ngoc Huy;Trang Thi Nguyen;Alisha Wehdnesday Bernardo Reyes;WonGi Min;Hu Jang Lee;Jin Hur;Suk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006-1012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dium propionate (SP) treatment on intracellular mechanism of murine macrophages and its contribution to host immunity during Brucella abortus 544 infection. The intracellular growth assay revealed that SP inhibited Brucella replication inside the macrophages. To determine intracellular signaling involved during SP treatment after Brucella infection, we analyzed the change of five different cytokines production relevant to SP such as TNF-α, IL-10, IFN-γ, IL-1β, and IL-6,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oost with IL-10 was apparent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for 48 h as well as IL-1β which was apparent at 24 h post-infection and IFN-γ which was apparent at 24 h and 48 h in comparison to SP untreated groups. On the other way, SP-treated cells displayed suppressed production of TNF-α and IL-6 at all time points tested and 48 h post-infec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we conducted western blot to establish a cellular mechanism, and the result suggested that SP treatment attenuated p50 phosphorylation, part of the NF-κB pathway.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SP against Brucella infection could be attributed through induction of cytokine production and interference on intracellular pathway, suggesting SP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treating brucellosis.

유류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 sp. 2-3A의 유화활성 (Emulsification Activity of Acinetobacter sp. 2-3A Isolated from Petroleum Oil-Contaminated Soil)

  • 임지현;정성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261-1270
    • /
    • 2009
  • Fifty hydrocarbon-metabolizing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polluted by the petroleum oils in Gamman-dong, Busan. Among them, strain 2-3A, showing strong emulsification activity, was selected by oil film-collapsing metho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s Acinetobacter sp. and designated as Acinetobacter sp. 2-3A.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on the growth of Acinetobacter sp. 2-3A were $25^{\circ}C$ and pH 7.0, respectively.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the most effective emulsification activity were 3.0% olive oil and 0.5% peptone, respectively. The 0.15% potassium phosphate was the most effective emulsification activity as a phosphate source. The optimum emulsification activity condition was $20^{\circ}C$, pH 7.0, and 2.0% NaCl. The optimum time for the best production of biosurfactant was 27 hrs.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was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range from $4^{\circ}C$ to $100^{\circ}C$, pH range from 6.0 to 10.0, and NaCl range from 0% to 10%. For the oil resolvability of the biosurfactant, the residual oils were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y.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biosurfactant decreased and decomposed crude oils from $_nC_{10}$ to $_nC_{32}$.

버섯병원균에 대한 길항세균 Bacillus sp. SD-10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by Produced Bacillus sp. SD-10 with Antagonistic Activity Towards Mushroom Pathogens)

  • 이상원;류현순;갈상완;박기훈;김철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67-471
    • /
    • 2004
  • Bacillus sp. SD-10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을 이용하여 버섯의 갈색무늬병균 및 푸른곰팡이병균에 대한 천연물 버섯병해 방제약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를 행하였다. Bacillus sp. SD-10은 35∼4$0^{\circ}C$의 배양온도에서 30∼40 hrs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배양액을 이용하여 T. virens의 균사 생육저해 및 포자발아 억제 농도를 검토한 결과, 균사생육은 30 ul 이상 처리 시 뚜렷하게 저해되었으며 포자발아는 평판배지에 5%(v/v) 이상 첨가 시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Bacillus sp. SD-10의 배양액으로부터 항균물질을 순수분리하여 UPX-1으로 명명하고, UPX-1을 $^1H-$NMR과 $^{13}C$-NM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동정한 결과 탄소 6개로 구성된 당 2개가 2당류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임이 밝혀졌다. UPX-1은 T. virens 뿐 아니라 Pse. tolaassi에도 아주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적조생물 살조세균 탐색 -IV. 살조세균 Micrococcus sp. LG-5가 생산하는 살조물질의 특성과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V. Characteristics of Algicidal Substances, Produced from Micrococcus sp. LG-5 and the Effects on Marine Organisms-)

  • 정성윤;박영태;김무찬;최석철;성희경;김재영;김태운;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9-347
    • /
    • 2000
  • 적조생물을 살조시키는 해양세균 Microcorcus sp. LG-5가 생산하는 세포외 분비 살조물질의 최적 생성조건, 살조물질의 특성과 한외여과 분획별 살조활성 및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자연생태 조화형, 환경 친화적 적조방제 기술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icrococcus sp. LG-5의 살조물질 생성 최적온도는 $20{\~}30^{\circ}C$로 살조활성이 $100{\%}$였으며, 살조물질 생성 최적 pH는 7.0, 최저 염농도는 $3.0{\%}$였다. 또한 세포외 분비 살조물질의 $IC_(50)$ 값은 $0.482{\%}$였다. 세포외 분비 살조물질의 열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 열처리한 배양여과액 $1{\%}$ 첨가시 12시간 후에 $31.4{\%}$, 24시간 후 $79.7{\%}$, 36시간 후 $94.6{\%}$의 살조활성을 보였고 $5{\%}, 10{\%}$의 경우 각자 36시간, 24시간 후에 $100{\%}$ 살조되었으며, 열처리하지 않은 배양여과액을 넣었을 때와 비교해볼 때 살조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이 Micrococcus sp. LG-5가 생산, 분비하는 살조물질은 열에 안정한 내열성 물질로 판단된다. 또한 대사산물의 pH 안정성은 $pH 6.0{\~}8.0$에서 거의 $100{\%}$의 살조활성을 보였으며 $pH 5.0{\~}10.0$에서 살조활성이 $85{\%}$ 이상으로 나타나 살조물질은 약산성과 알카리에서 살조활성이 안정하였다. 또한 한외여과의 결과, 분자량 $>10,000, 10,000{\~}1,000, <1,000$의 3개의 분획 모두 살조활성이 있었으며, 각 분획 모두 열에 대단히 안정하였다. 각 분획별 $IC_(50)$ 값은 분자량 1,000 이상에서 강한 살조활성이 나타났으며 분자량 1,000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살조활성을 보였다. Micrococcus sp. LG-5가 해양세균에 미치는 영향은 E. faecalis, E. coli, K. pneumoniae 및 V. alginolyticus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보였으나, P. aeruginosa, P. fluorescens, S. typhi, S. aureus, V. cholerae 및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전혀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적조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A. tamarense, E. gymnastica, G. catenatum, G. niikimotoi, G. sanguineum, G. impudicum, H. triquetra, H akashiwo, P. micans와 Pyramimonas sp.에 대해서는 살조활성을 보였으나 Chlamydomonas sp., C. closterium, P. mininum, P. triestimum, Pseudonitzschia sp.와 S. trochoidea에 대해서는 살조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적조생물에 따라 살조활성이 다양하게 나타나 종 특이성이 낮았다. 먹이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1 galbana를 제외하고 실험한 모든 먹이생물에 별다른 영향이 없거나 오히려 성장을 촉진시켰고, 또한 살조세균 배양여과액을 넙치 사육수에 $10{\%}$까지 투여하였을 때 양식 넙치에 미치는 유해한 생리학적 영향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살조세균 Micrococcus sp. LG-5의 배양여과액은 조사된 적조생물을 제외한 해양세균, 치${\cdot}$자어의 먹이생물 및 양식 넙치에 유해한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적조생물 살조세균 탐색 II. 적조생물 Prorocentrum micans 살조세균 Pseudomonas sp. LG-2의 분리와 살조특성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Pseudomonas sp. LG-2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 이원재;박영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2-858
    • /
    • 1998
  • 1996년 7월 마산만의 해수를 0.8 $\mu$m filter에 여과한 여과액과 f/2배지에서 배양한 P. micans와의 혼합배양액에서 P. micans를 사멸시키는 해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검사와 균체지방산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LG-2로 명명하였으며, 그 살조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Pseudomonas sp. LG-2의 개체수와 배양여과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P. micans의 사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3\times10^5,\;1.3\times10^6$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한 시험관의 P. micans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7일 후에는 $10^2$ cells/ml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배양석과액의 최종농도가 $30\%$일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3일 후 거의 사멸하였다. Pseudomonas sp. LG-2의 성장시기에 따른 배양여과액의 사멸효과는 잠복기의 경우 P. micans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수증식기 중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5일 후 P. micans의 개체수를 1/2로 감소시켰으며, 정상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후 급격히 감소시켜 배양 3일 후 대부분 사멸시켰다. Alexandrium tamarense, Prorocentrum micans,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5종의 적조원인 편모조류에 대한 Pseudomonas sp. LG-2의 살조특이성은 P. micans와 S. trochoidea에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Report on the Occurrence of Perkinsus sp. in the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n

  • Choi, Kwang-Sik;Park, Kyung-Il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7-237
    • /
    • 1997
  • Five species of intertidal clams including Ruditapes philippinarum, Tegillarca granosa, Solen strictus, Heteromacoma irus, and Coecella chinensis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sp. using fluid thioglycollate medium (FTM) fortified with antibiotics and histological techniques. Each individual clam was placed in a test tube filled with 10ml FTM, placed in totally dark place, and incubated over a week. After incubation the clam tissues were stained with Lugol's iodine solution and examined under a light microscope to find out any hypnospores of Perkensus sp. in the tissues. Cross-sections of the clams were also embedded in paraffin, sliced to 3um, and stained with Harry's hematoxylene and Picro eosine to observe the presence of tomont or trophozoites. Perkinsus sp. were found in the presence of tomont or trophozoites. Perkinsus sp. were found in the tissues of R.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Kangjin and Wando,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However, Perkinsus sp. was not found in four other species of clams nor R. philippinaurm collected from Kimnyong and Waido in Cheju. A size-dependent Perkinsus sp. infection was found in R. philippinarum collected rom Kangjin and Wando the clams smaller than 15mm in shell width do not exhibit and Perkinsus sp. while other clams greater than 20mm in shell width exhibit almost 100% infection.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rkinsus sp. in the clams, FTM cultured clam tissues were digested with 2M NaOH solution and the number of hypnospores in the tube were counted. The number of hypnospores counted from the tissues indicated that each Manila clam contains 100,000 to 3,500,000 Perkinsus cells or 20,000 to 1,000,000 cells per gram tissue wet weight. The results of cell counts also suggests that such a high occurrence of Perkinsus sp. in the clam may cause mortality, as already reported from other studies of Perkinsus spp.

  • PDF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Z1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Z1)

  • 장동호;고은정;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4-140
    • /
    • 2011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5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생물 계면활성제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확인되어 Pseudomonas sp. Z1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Z1은 클로람페니콜과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와 리튬, 망간, 바륨 등의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0-7.0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Z1이 생성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는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배양액의 표면장력이 급격히 감소해, 배양 21시간 후에 최대 28 dyne/cm까지 감소되었고, 2% 이상의 NaCl을 첨가한 경우 배양액의 생물계면활성제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Occurrence of Earthworm in Agro-ecosystem)

  • 홍용;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88-93
    • /
    • 2007
  • 2006년 5월부터 10월까지 국내 농생태계 49지점에서 탐색 수집된 지렁이는 3과 5속 15종 1,846 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agrestis 20.9%, Amynthas koreanus 20.3%, Amynthas heteropodus 15.4%, Amynthas sp. 8.7%, Drawida japonica 8.0%, Eisenia fetida 7.2%, Amynthas hilgendorfi 7.0%, Bimastos parvus 3.2%, Amynthas hupeiensis 2.5%, Aporrectodea caliginosa 1.8%, Amynthas corticis 1.8%, Aporrectodea tuberculata 1.3%, Eisenia andrei 1.2%, Amynthas sp.20.4%, Amynthas sp. 1 0.3%이다. 종 조성 비율을 보면 이와 같이 왕지렁이속, A. agrestis, A. koreanus, A. heteropodus 3종이 차지하는 개체수는 1,046개체로 전체의 약 56.7%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농생태계의 우점종 이다. 성숙 개체와 미성숙 개체의 비율은 1.25:1로 성숙된 개체가 더 많이 출현하였다. Amynthas sp. 1, Amynthas sp. 2는 본 조사를 통하여 처음으로 확인되는 신종 후보로, 여러 외부형질, 특히 malepore의 형태가 지금가지 국내에서 기록된 다른 왕지렁이속에 속하는 종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Sp1-Induced SETDB1 Overexpression Transcriptionally Inhibits HPGD in a β-Catenin-Dependent Manner and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Gastric Cancer

  • Fan, Yaguan;Yang, Libo;Ren, Yi;Wu, Yunhua;Li, Linhai;Li, Lihu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4호
    • /
    • pp.319-338
    • /
    • 2022
  • Purpose: Gastric cancer (GC) has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the cure rate of surgical treatment and drug chemotherapy is not ideal. Therefore, development of new treatment strategies is necessary. We aimed to identify the mechanism underlying Sp1 regulation of GC progression. Methods and Methods: The levels of Sp1, β-catenin, SET domain bifurcated 1 (SETDB1), and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HPGD) were detect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targets of SETDB1 were predicted by AnimalTFDB, and 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was used for confirming the combination of Sp1, β-catenin, and SETDB1. HGC27 or AGS cells (1×106 cells/mouse) were injected into mice via the caudal vein for GC model establishment. The level of Ki67 was detect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as performed for evaluating tumor metastasis in mice with GC. Results: HPGD was inhibited, while the protein levels of Sp1, β-catenin, and SETDB1 were up-regulated in GC tissues and cell lines. HPGD overexpression or SETDB1 silencing inhibited the proliferation, invasion, and migration of GC cells, and Sp1 regulated the proliferation, invasion, and migration of GC cells in a β-catenin-dependent manner. Furthermore, HPGD served as a target of SETDB1, and it was negatively regulated by SETDB1; additionally, Sp1 and β-catenin bound to the SETDB1 promoter and negatively regulated HPGD expression. We proved that Sp1 regulated GC progression via the SETDB1/HPGD axis. Conclusions: Our findings revealed that Sp1 transcriptionally inhibited HPGD via SETDB1 in a β-catenin-dependent manner and promoted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G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