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cyst nematod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콩 Cyst 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 QTL 탐색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Resistance to Soybean Cyst Nematode Race 5)

  • Choi, In-Soo;Kim, Yong-Chul;Kim, Sung-Man;Lee, Chung-Yeol;Park, Hyean-Cheal;Halina T. Skorupsk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12-721
    • /
    • 1997
  • 콩 품종 Essex와 PI 437654간 교잡 후 F$_2$유래 F$_3$ 계통들을 재료로 하여 작성된 RAPD 유전자지도상에 cyst 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 QTLs 분석을 실시한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회귀분석 결과 26개의 marker들(22 RAPD, 4 RFLP)에서 cyst 선충 race 5 저항성 반응에 대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MAPMAKER /QTL 분석 결과2개의 저항성 QTL들이 탐색되었는데, 이 QTL들은 2개의 linkage groups(LGC-20와 Group 2)에 위치하였다. 3. 탐색된 2개의 QTL들 중 1개는 우성유전, ?고 나머지 하나는 열성유전양상을 나타내었다. 4. 콩 cyst 선충 race 5의 저항성에 대한 유의성이 인정되는 5개의 marker들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총 26개의 조합들 중 4개의 marker들(E02$^3$, G$10^1$, W03, pK418C)로 구성된 조합에서 가장 높은 표리적 변이의 값(35.2%)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콩 씨스트선충의 HG type 분석 (Studies on HG Type of Heterodera glycines in Korea)

  • 김동근;최인수;한원영;류영현;김명식;배창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31-35
    • /
    • 2013
  • 콩 저항성품종 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국내 13개 콩 씨스트선충 집단을 대상으로 HG type를 조사하였다. 국내 콩 씨스트선충 HG type는 0, 2, 5, 2.5, 1.2.7, 2.5.7로 총 6개의 HG type가 발견되었다. 그중 HG type 2.5가 3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HG type 2.5.7(23.0%)이었다. 각 indicator별로는 PI 88788 가해 집단이 76.9%, PI 209332 가해 집단이 61.5%, PI 548316('Cloud') 가해 집단이 30.8%, PI 548402('Peking') 가해 집단이 7.7%였고 PI 90763, PI 437654, PI 89772를 가해할 수 있는 콩 씨스트선충 집단은 없었다. PI 90763, PI 437654, PI 89772은 국내 모든 콩 씨스트선충 집단에 대해 저항성으로 나타나 저항성품종 육성 교배 모본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콩시스트선충의 밀도변화 기작 (A Mechanism of Density-Dependent Population Change in Heterodera glycines)

  • 김영호;리그스;김경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9-206
    • /
    • 1986
  • 콩시스트선충 Race 3에 이병성인 대두품종 Lee와 저항성인 대두품종 Lee와 저항성인 Pickett을 공시, 3가지 다른 접종수준(식물개체당 1,760, 440, 110마리의 2기 유충)에 따른 선충의 침입과 시스트 형성을 조사하였고, 이병 뿌리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선충의 침입율은 이병성 대두에서 접종수준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항성, 품종에서는 접종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접종수준에 다른 침입율 차이의 정도는 시스트 형성, 즉 저항성과 직접적으로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성 대두품종에서 시스트 형성율은 최고접종수준에서 다소 감소하였고, 저항성 품종에서는 이병성 품종과 비교할 때 시스트 형성율이 현저히 낮아, 대두품종에서의 선충의 밀도변화는 선충의 침입보다는 선충의 생장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조직의 형태적 특징은 대두품종간에 그리고 감염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병성 품종의 뿌리조직에서는 syncytium이 형성되었으나, 여러마리 선충에 의해 감염된 부위에서는 syncytium이 접종 5일후에 퇴화하였다. 저항성 대두에서도 선충의 감염정도에 따라 이병조직의 형태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직병리학적인 차이는 이병성 및 저항성 대두에서의 콩시스트선충의 밀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 PDF

Identification of AFLP Marker Linked to a SCN Resistant Gene in Soybean

  • Ko, Mi-Suk;Kim, Myung-Sik;Han, Soung-Jin;Chung, Jong-Il;Kang, Jin-Ho
    • Plant Resources
    • /
    • 제5권3호
    • /
    • pp.169-175
    • /
    • 2002
  • The soybean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nchinoe; SCN) is a devastating pest of soybean and is responsible for significant losses in yield. The use of resistant cultivars is the effective method to reduce or eliminate SCN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FLP markers linked to the SCN resistant genes. Bulked genomic DNA was made from resistant and susceptible genotypes to SCN and a total of 19 primer combinations were used. About 31 fragments were detected per primer combination. The banding patterns were readily distinguished in resistant and susceptible bulked genotypes. Polymorphic fragments were detected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bulked genotypes in the primer combination of CGT/GGC, CAG/GTG and CTC/GAG. In primer combinations of CGT/GGC and CAG/GTG, bulked resistant genotype produced a polymorphic bands. However, in primer of CTC/GAG, bulked susceptible genotype produced a polymorphic fragments. Three AFLP markers identified as a polymorphic fragments between bulked genomic DNA were mapped in 85 F2 population. Among them, only two markers, CGT/GGC and CTC/GAG, was linked and was mapped. Broad application of AFLP marker would be possible for improving resistant cultivars to SCN.

  • PDF

강원도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 씨스트선충의 분포 확산 (Spread of Cyst Nematodes in Highland Chinese Cabbage Field in Gangwon-do)

  • 권순배;박동권;원헌섭;문윤기;이재홍;김용복;최병곤;서현택;고형래;이재국;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39-345
    • /
    • 2018
  • 2011년 강원도 태백에서 최초 발생이 확인 된 사탕무씨스트선충은 고랭지 배추에 경제적 손실을 주는 주요 선충의 하나이다. 또한 2017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역에서 클로버씨스트선충도 분포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씨스트선충의 확산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고랭지 배추 재배지역에서 씨스트선충의 발생지역 조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2017년에는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PCR기법으로 이들 두 선충 이외에 국내 분포가 알려진 콩씨스트선충의 검출지를 강원도 고랭지배추 주산지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씨스트선충류의 감염포장은 매년 증가하여 2017년 태백, 삼척, 정선, 강릉지역에서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정선지역이 2017년까지 누적 감염 포장 수가 245개로 가장 많았다. PCR분석이 가능한 41점의 씨스트선충들 중 61%가 클로버씨스트선충이었으며 사탕무씨스트선충은 9.8%에 불과하였고, 콩씨스트선충도 29.3%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알려졌던 씨스트선충 검출 포장의 일부는 콩씨스트선충이 감염되어 있을 것으로 보이며 클로버씨스트선충이 고랭지 배추재배지에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 종에 대한 방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콩 기생성선충의 중요도 등급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oybean in Korea and Their Importance Rating)

  • 김동근;최인수;류영현;허창석;이윤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7-333
    • /
    • 2013
  • 전국의 콩밭에서 274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콩씨스트선충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38%(25-51%)였고 씨스트 밀도는 토양 $300cm^3$ 당 평균 46개(1-500)로 중요도 1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검출율은 약 13%였는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에서 높은 검출율(16-44%)을 보여 중요도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내부기생성 선충인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은 경기, 강원 등 북부지역에서 검출율(10-13%)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중요도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나선선충류인 Helicotylenchus는 특히 제주에서 검출율과 밀도가 높았는데(62%, 토양 $300cm^3$당 평균 571마리), 제주도는 국내 나물콩의 주산지로 앞으로 나선선충이 나물콩에 피해를 주기 않을까 우려되며 중요도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위축선충류인 Tylenchorhynchus, 침선충류인 Paratylenchus, 주름선충류인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검선충류인 Xiphinema, 궁침선충류인 Paratrichodorus, Trichodorus 등은 국내 콩밭에서는 밀도와 검출율이 낮음으로 중요도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의 선충들은 콩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식이성이 토양 조균류인 Tylenchus, Aphelenchus, 잎선충류의 Aphelenchoides, 줄기구근선충인 Ditylenchus, 벼뿌리선충, Hirschmanniella immamuri, 그 외 꼬리주름선충 Basiria graminophila, 곤봉선충류인 Psilenchus, Pseudhalenchus 등은 콩밭에서 드물게 발견이 되고 콩에 대한 피해는 알려져 있지 않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창선충 Hoplolaimus tylenchiformis는 콩에 상당한 피해를 끼치는 선충이나 표본미확인 상태임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콩밭에서 총 26속 41종의 식물기생성선충이 보고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충 종류별 콩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콩 식물기생성선충을 16속 30종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주요 콩 기생선충의 중요 우선순위는 1) 콩씨스트선충, 2) 뿌리혹선충, 3) 뿌리썩이선충으로 생각되며 4) 제주지역의 나물콩은 나선선충의 피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에 대한 콩 저항성품종 및 Race검정 (Studies on the Resistance and Races of Soybean-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n Korea)

  • 김동근;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2
    • /
    • 1983
  • 콩씨스트선충의 방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공씨스트선충(Heteropera glycines)의 race를 검정하고 콩 장려 16품종들의 콩씨스트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 중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race 5에 대하여 저항성 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황금콩, 힐콩, 단엽콩 등이 비교적 선충의 증식이 적게되는 품종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일본에서 공씨스트선출에 저항성 품종으로 육성된 "동북태"(Kaiden)는 아주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기국에서 감수성 판별품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엽콩" (Essex)과 "힐공"(Hill)은 다른 품종보다 선충의 증식이 적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콩씨스트선충은 지역에 따라서 race가 다르게 나타났나. 전남 화순에서는 race 1, 경남 염산과 경기도 수원에서는 race 5 그리고 경북 선산에서는 새로운 "race c" 등 3개의 race가 검정되었다. 이 실험에서 우리나라에도 공씨스트선충의 race 1, race 5 및 race c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밟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