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eed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3초

콩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건조제로서 비선택성 제초제의 활용 가능성 (Possibility of Using Non-selective Herbicides as Desiccants for Improving Soybean Harvest Efficiency)

  • 원옥재;홍서연;서은지;박재성;이홍석;박진기;류종수;한원영;한길수;송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58-3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콩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건조제를 선발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4종의 비선택성 제초제를 활용하여 건조제의 선발시험 및 지상부 건조와 약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콩 수확기 건조제로 사용한 4종의 비선택성 제초제 모두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건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년차 실험에서도 처리시기에 따른 건조효과를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지역간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건조제가 콩 성숙기 전후에 처리하여 수확을 하였는데, 보통 성숙기 약 1~2주후면 예취 수확이 가능한 상태로 콩 잎이 대부분 떨어져 있으며, 줄기도 일정 부분 건조되어 있기 때문으로 무처리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2. 건조제 처리에 따른 수확량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며, 100립중, 종실의 모양과 색변화, 수확된 종자의 발아율의 저하가 확인 되지 않아 약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건조제 처리에 따른 종실 내 잔류농약은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검출량이 증가하였으며, 시험약제 중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의 검출량이 높았으며, 티아페나실이 보다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콩 잔류농약허용치 이하의 값을 나타내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연구는 콩 건조제 처리로 기계수확을 1~2주 정도 단축시킬 것으로 보여 작부체계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Thacker, P.A.;Petri,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1531-1539
    • /
    • 2009
  •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value of canola (B. napa) and mustard (B. hirta) press cakes obtained from the biodiesel industry as ingredients for use in diets fed to broiler chickens. A total of 210, one-day old,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even dietary treatments. The control diet was based on wheat and soybean meal and contained 15% canola meal. For the experimental diets, 5, 10 or 15% of the canola meal was replaced with an equal amount of either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irds fed diets containing either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compared with canola meal.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of the canola biodiesel press cakes was higher than the mustard biodiesel press cakes. Ether extrac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irds fed canola biodiesel press cake compared with canola meal and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did not differ between birds fed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and canola meal.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or feed intake between birds fed diets containing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Feed conver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birds fed either canola or mustard biodiesel press cake compared with canola meal. Mortality was unaffected by treatment. Since the performance of broilers fed canola biodiesel press cakes was essentially the same as that of broilers fed canola meal, it is difficult to justify a premium to be paid for canola biodiesel press cake over that paid for canola meal.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fed biodiesel press cake obtained from canola or mustard seed. As mustard seeds are generally available at a lower price than canola seed, there may be some incentive to use mustard rather than canola seed for producing biodiesel press cake for use in poultry production.

Response of Growing and Laying Japanese Quails (Coturnix japonica) to Dietary Sunflower Seed Meal

  • Elangovan, A.V.;Verma, S.V.S.;SastrySastry, V.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726-1730
    • /
    • 2000
  • High fibre (CF, 242 g/kg) sunflower seed meal (SSM) was incorporated in standard grower and layer quail diets at 0, 50, 75 or 100 g/kg replacing part of the soybean meal (SBM) and deoiled rice bran (DORB). Each grower diet was offered to 30 quails housed in battery cages from day one to 5 weeks of age. At the end of the growing period, Twelve female quails from each of the four respective dietary groups were transferred to the individual laying cages and their laying performance from 7 to 20 weeks of age were evaluated on diets containing SSM at similar levels as that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results of growth bioassay revealed that the live weight gain, feed intake, nutrient reten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quails in different dietary groups did not vary significantly (p>0.05), although the quails fed SSM based diets utilized the feed less (p<0.05) efficiently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During the laying period,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remained unaffected due to dietary treatments but feed required per unit egg production increased (p<0.05) as the level of SSM in diet was increased to 100 g/kg. Although, the cost of feed per kg decreased due to the incorporation of SSM in diet but the same was not reflected in feed cost per unit gain, meat or egg production as such parameters were comparable on all the diets. It could thus be concluded that the SSM can be incorporated in quail diets upto 100 g/kg for part of SBM, an item usually expensive and also in short supply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India.

시중 유통참기름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Evaluation of Current Sesame Oils Sold in Markets)

  • 박재홍;김순천;조성완;김은선;최경철;김영국;임태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6
    • /
    • 1991
  • 참기름의 변조 여부를 쉽게 판별하고, 변조에 사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FV(Fatty acid ratio & villavecchia reaction) value를 상요하였다. FV value 는 gas chromtography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C18: 1 + C18 : 2/C16 : $0{\times}C18$ : 3값을 구하고 이 값에 modified cilavecchia -suarez test(MVTV)에서 얻어진 값을 곱하여 결정하였다. 이 FV value를 이용하여 전남 지방 시장등지에서 구입한 참기름 총 74건에 대해 그 순도를 판별하고 변조에 사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수거된 참기름들에 대해 FV value 로 산출한 결과 총 74건 중 11건만이 순수한 참기름으로 추정되어졌다. 변조에 상용된 혼입유의 실태를 산출된 FV value로 추정한 결과 대두유 혼입이 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미강유 혼입 및 깻묵을 유기용매로 재 추출한 참기름이 각각 10건, 들깨유 혼입이 8건, 옥수수유 혼입이 7건, 면실유 혼입이 3건, 채종유 혼입이 2건 등이었다.

  • PDF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hanges of Doenjang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Different Strains)

  • 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7-481
    • /
    • 1992
  • 품질이 좋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래식 된장과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를 혼합한 된장을 제조해서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압, 가열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이 붕괴되거나 ghost 상태를 보였고 표피부와 내부의 세포질은 원형질 분리가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protease에 의한 당단백 구상체의 융합과 amylase에 의하여 전분이 분해되어 작은 공포를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균침투 과정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부에서 내부로 이행되어지며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 된장의 표피부와 유세포에서 점질물이 보인다. 또한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성이 나빠지고 세포벽이 다각형으로 되는데 재래식 보다는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구가 현저하였다.

  • PDF

무환자(無患子)나무 종자(種字)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apindus Mukurossi Seeds)

  • 김명찬;정태명;양민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6
    • /
    • 1977
  • 1. 무환자(無患子)나무종자중(種字中)의 유지함량(油脂含量)은 45.7%로서 콩, 참깨, 땅콩에 비해서 많은 편에 속한다. 2.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61.6%)와 Gadoleic acid(20.4%)로서 주요성분(主要成分)을 이루고 있고 monoene산(酸)이 전체지방산(全體脂肪酸)의 82%를 차지하고 있는것이 특징적(特徵的)이다. 3. Amino산조성(酸組成)은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이 6.673%로서 가장높고 대체적으로 필수(必須) amino산(酸)인 Isoleucine(1.255%), Leucine(2.145%), Lysine(2.191%), Phenylalanine(1.536%), Threonine(1.171%), Valine(1.772%)등이 함량(含量)이 높았다. 4. Sterol조성(組成)은 4-desmethyl sterol, 4-monomethyl sterol fraction에서 다 같이 일반고등식물중(一般高等植物中) 성분(成分)과 대차(大差)가 없었으며 단지 4-monomethyl sterol fraction에 있는 RRT 1.27(31.5%)의 미동정물질(未同定物質)이 있다는 것이 특이(特異)하였다.

  • PDF

고온과 한발이 콩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on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 신평;상완규;김준환;이윤호;백재경;권동원;조정일;서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46-352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의 기상을 가지고 연도별에 따른 대원, 대풍2호, 풍산나물콩의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와 종자 크기, 지방,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 연도별 생육 시기를 보면 대원과 대풍2호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생육 시기가 빠른 경향을 보였으나 풍산나물콩은 큰 차이가 없었다. 생육 기간 중 R1~R5에서 평균기온은 모든 품종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높은 반면에 강수량은 풍산나물콩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적었다. 수분모형으로 각 연도의 일별 토양수분함량을 예측한 결과 2018년이 2017년보다 한발 기간이 길었고 개화시부터 종실비대기 이전까지 한발이 지속된 것으로 예측되었다. 종실 수량과 백립중은 2017년이 2018년보다 더 컸으며, 종실 크기는 2017년의 종실이 2018년보다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2017년의 지방함량이 2018년보다 많았고 대풍2호, 대원이 연도별 기상에 따른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단백질 함량은 2018년이 2017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품종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2018년의 개화시부터 종실비대시 이전 기간이 2017년보다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은 기상으로 인하여 콩의 수량, 지방 및 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고온과 한발에 내성이 있음과 동시에 품질 감소가 저하되는 콩 품종 개발 및 재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된다.

이모작 적응 조숙 대립 다수성 콩 품종 '참올' ('Chamol', an Early Maturing, High Yield, and Large-seed Soybean Cultivar for Double Cropping)

  • 고종민;김현태;한원영;백인열;윤홍태;이영훈;이병원;정찬식;하태정;신상욱;박장환;김홍식;서정현;강범규;서민정;최규환;신정호;곽도연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78-484
    • /
    • 2018
  • '참올'은 대립 다수성 특성의 이모작 적응 콩 품종 육성을 목표로 1998년에 내재해성이 우수하고 수량이 많은 '신팔달콩2호'를 모본으로, 조숙 대립 단기성 품종인 '큰올콩'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선발한 품종이다. 1999~2000년에 $F_1$, $F_2$ 세대를 양성하고, $F_3$부터 계통 전개하여 선발하였으며, 2007~2008년에 생산력 검정시험을 거쳐 대립 다수성 단기성 콩으로 유망하여 밀양210호의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9~2011년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 적응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안정성, 균일성에 문제가 없고 이모작 작부체계에 적합하여 2011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규품종으로 선정하고 '참올'로 명명하였다. '참올'은 유한신육형이며 엽형은 난형이고, 꽃색은 백색이다. 모용색은 회색이고, 협색은 황색,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이며 종실모양은 구형이다. 개화기는 '새올콩'과 같고 성숙기는 '새올콩'보다 6일 늦은 수준이나, 생육기간이 100일 내외로 9월 중순경에 수확이 가능하여 이모작 작부체계가 가능하다. 경장은 44 cm로 '새올콩'보다 다소 작고 도복에 강하며, 콩나방 피해립율은 2.1%로 '새올콩'에 비해 약간 높았다. '참올'은 특히 탈립에 약하여 성숙기에 바로 수확해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SMV) 및 불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종자 병해립의 발생은 '새올콩'보다 적었다. 종실의 조단백질 함량은 43.7%이고 조지방 함량은 19.3%이며 기능성 성분인 이소플라본 총 함량은 1,330㎍/g으로 분석되었다. '참올'의 종실 100립중은 27.7 g으로 대립종이며, 지역적응시험에서 수량성은 2.62톤/ha으로 '새올콩' 대비 28% 증수하였다.

사료 단백질의 Fraction과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Feed Protein Fractions and In situ Protein Degradation Rate)

  • 이세영;정유석;송재용;박성호;성하균;김현진;고종열;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51-358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단백질 원료사료를 사용하여 단백질 fraction과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을 구한 다음 이들 사이에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원료사료는 대두박, 콘글루텐, 면실박, 카폭박 및 임자박이었다. 단백질 fraction은 CNCPS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은 캐뉼라가 장착된 홀스타인 거세우 3두를 이용하여 반추위에서 원료사료를 4, 8, 12 및 24시간 배양하여 구하였다. 단백질 fraction 중 A fraction은 카폭박이 14.6%로 가장 높았고, 콘글루텐이 0.6%로 가장 낮았다(P<0.05). B1 fraction은 대두박이 8.27%로 가장 높았으며, B2 fraction은 대두박과 면실박이 74%로 가장 높았다. B3 fraction은 임자박이 40%로 다른 원료사료에 비교해 뚜렷하게 높았다. C fraction은 콘글루텐이 약 42.5%로 가장 높았다.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은 대두박이 98%로 가장 높았고, 콘글루텐은 28%로 가장 낮았다. 단백질 fraction과 in situ 분해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쉽게 용해되는 부분(A, B1 fraction vs a값) 사이에,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과 소화가능한 단백질 fraction 사이에, 그리고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에서 a값을 제외한 값과 B2+B3 fraction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다(P<0.01).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단백질 fraction은 원료사료의 반추위내 분해율을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원료사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재배연도에 따른 검정콩 종자의 안토시아닌 함량 및 색차변이 (Variation of Contents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Cultivation Year in Black Soybean Seed)

  • 주용하;박재훈;정명근;윤승길;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07-511
    • /
    • 2004
  • 본 시험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기능성 성분인 검정콩 안토시아닌에 대하여 종자내 개별색소 종류에 대한 검정과 함량 및 색차의 변이를 구명하여 특수콩 품종육성 및 재배 생리적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 및 재배품종인 검정콩1호, 검정콩2호, 검정올콩, 선흑콩, 흑청콩, 일품검정콩, 청자콩, 진주1호, 다원콩, 쥐눈이콩(G), 쥐눈이콩(Y), 검정콩3호, 검정콩4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검정콩 13개 재배품종의 개별 안토시아닌 검정에서 검정콩1호와 선흑콩이 cyanidin-3-glucoside(C3G)만 검출되었으며, 흑청콩은 delphinidin-3-glucoside(D3G)와 C3G가 검출되었고, 나머지 품종들은 D3G, C3G, petunidin-3-glucoside(Pt3G)가 모두 검출되었다. 2. 공시된 검정콩 재배품종의 안토시아닌 함량의 범위는 D3G가 $0.55\~2.63mg/g,$ C3G가 $2.77\~8.38mg/g$, Pt3G가 $0.38\~5.66mg/g$ 및 total anthocyanin(TA)이 $3.32\~16.67mg/g$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3. 안토시아닌의 색차의 범위는 명도(L)가 $34.09\~42.89$, 적색도(a)가 $12.77\~22.85$, 황색도(b)가 $5.36\~12.79$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4. 안토시아닌은 D3G, C3G, Pt3G 및 TA 모두 상호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