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Grain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2초

콩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Achievement and Perspectives of Seed Quality Evaluation in Soybean)

  • 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95-106
    • /
    • 2002
  • Soyb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protein and oil in the world. Recently, emphasis has been lai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for the processing soybean foods. Improvement of soybean components has been expected to improve food-processing quality for the processed soybean products such as soymilk and various edible ingredients as well as fur the traditional soyfoods. In Korea, soybean breeding research programmes have been focused on the quality of the products derived from soybean with yield stability, and some new modified soybean varieties haying good food-processing quality were developed recently. So the efforts of establishing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s in soybean are important. Three main categories should be considered in view of soybean seed quality; the marketing value such as grain size, shape, and appearance; the eating and processing value such as dehulled ratio, water absorption rate, and benny flavor; the nutritional value such as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s. And the new frontiers in research are looking at the functional nutrients in soybeans and how to improve them. In case marketing value, mainly the appearance is evaluated, therefore, each country has an application of standard related to quality. Each determination of standard class, heat-damaged kernels, splits, and soybeans of other colors is made on the basis of the grain when free from foreign materials. But processing value and nutritional value for standardization were not studied in detail till now. In addition, soybean has potential role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most notably cancer, osteoporosis, and heart disease. The functional nutrients include a protease inhibitor, phytic acid, saponins, and isoflavones, etc.. It is believed that standardization of soybean quality should perfor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relatively high price of domestic soybean products has weakened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market related to WTO. So, we should focus on further research into the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of quality-standard in soybean.

Impact of phosphorus application on the indigenous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oybean growth and yield in a 5-year phosphorus-unfertilized crop rotation

  • Higo, Masao;Sato, Ryohei;Serizawa, Ayu;Gunji, Kento;Suzuki, Daisuke;Isobe, Katsunor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1-351
    • /
    • 2017
  •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are particular soil fungi that benefit many crops and require a symbiosis with plant roots to survive. In our previous stud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MF root colonization and soybean grain yield in a four-year consecutive winter cover crop-soybean rotational system without phosphorus fertilizer. It is suggested that higher AMF root colonization can be a better solution for improving soybean growth and grain yield in P-limited soil. Our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 P application is the main factor improving soybean growth, P nutrition and grain yield, and the benefit from AMF to soybean P uptake and growth in a P-limited soil. Impact of a P application on AMF root colonization and communities in soybean roots and their potential contribution to soybean growth and P nutrition under a five-year P-unfertilized crop rotational system were investigated over two-years. In this study, four cover crop treatments included 1) wheat (Triticum aestivum); 2)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3) rapeseed (Brassica napus); and 4) fallow in the crop rotation. The amount of triple superphosphate as a P fertilizer applied rate after cultivation of cover crops was 120 and $360k\;ha^{-1}$ in 2014 and 2015, respectively. Soybean roots were sampled at full-flowering and analyzed for AMF communitie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techniques. The AMF root colonization in the soybean roots at full bloom st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ver crop and P application throughout the two-year rotation. The two-year rotation of different cover crops or fallow impacted the molecular diversity of AMF communities colonizing roots of soybean. Redundancy analysis (RDA) indicated that AMF communities colonizing roots of soybea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ver crop rotations. The AMF communities colonizing roots of soybean were clearly influenced by a P application in the two-year trial. Moreover, a P application may have positively impacts on the AMF communities under P-deficit soil due to the continuous cover crop-soybean rotational system without a P fertilizer.

  • PDF

남부지역 논의 밀 이모작에서 하계 곡실작물 도입의 적합성 (Compat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Winter Wheat - Summer Grain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 서종호;황정동;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8-28
    • /
    • 2021
  • 남부지역 논에서 식량작물을 최대로 생산하기 위해 밀양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15~2018년의 4년 동안 겨울밀-벼, 겨울밀-콩 및 겨울밀-곡실용옥수수의 이모작 체계의 생육기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밀의 수확적기는 6월 중순으로 하작물은 6월 하순에 파종(이앙)이 가능하였다. 벼의 6월 하순 이앙 시 안전출수와 벼의 수량성 확보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가을에 성숙기가 늦어 뒷그루 밀 파종에는 지장이 많았으며, 특히 중만생종 벼의 경우 수확기가 11월 상순으로 늦추어져 밀의 적기파종이 어려웠다. 콩은 6월 하순이 파종적기이므로 작기상 큰 문제가 없었으며 성숙기도 10월 중순으로 11월 상순의밀 파종에 큰 무리가 없었다. 곡실용옥수수는 6월 하순 파종 시 성숙기가 가장 빨라 밀과의 이모작에서 작기상 가장 유리하였다. 겨울밀-하작물 이모작에서 밀은 콩과 곡실용옥수수 후작에서는 안정적인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벼의 후작에서는 강우가 많은 해에는 수량이 감소할 위험성이 있었다. 벼, 콩, 곡실용옥수수의 수량성은 각각 600, 350, 800 kg/10a로 높은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고 중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수량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생종이 만생종보다 이모작에 유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에서도 콩과 옥수수 등 밭작물의 도입 시 물리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역 논에서 밀-콩/곡실용옥수수 이모작은 작기 연결성 및 토양개선, 소득성(콩)에서 밀-벼 이모작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춘파호밀 리빙멀치가 잡초억제 및 콩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sown Rye Living Mulch on Weed Suppression and Soybean Production)

  • 서종호;권영업;이재은;정건호;성장훈;김충국;김욱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2-198
    • /
    • 2011
  • 생육 중인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기술체계를 가지고 2007년은 호밀의 파종시기를, 2009년은 시험장소를 달리하면서 잡초억제 및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중요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월초~5월초에 파종한 호밀 리빙멀치에 의한 콩 파종 후 40~50일까지의 잡초억제 효과는 70~90%로 현저히 높았는데, 호밀 파종기에 따른 잡초억제의 차이는 없었다. 또 호밀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는 콩 수확기 까지 지속되었다. 2. 잡초 초종별로는 잡초발생량의 60~80%를 차지하는 피에 대한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가 뛰어났으며 일찍 발아한 명아주보다 콩 파종 후 발아한 피, 바랭이 및 쇠비름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3. 호밀을 4월 초에 파종한 것이 4월 말~5월 초에 파종한 것보다 콩 파종 시 리빙멀치량이 많았으며, 그에 따라 콩 초기생육이 많이 억제되었고, 수확기 종실수량의 감소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호밀을 4월 말~5월 초에 파종했을 때 콩의 초기생육은 억제되었지만 호밀이 고사한 후에 콩의 생육이 많이 회복되었고, 종실수량은 관행재배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008년 지역별 시험에서는 콩 종실수량은 호밀 리빙멀치 유무보다 지역의 포장조건에 따른 영향이 컸다. 5. 봄 잡초발생 경향, 리빙멀치량에 따른 잡초억제, 콩 초기생육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체계에서 호밀의 파종시기를 4월말 이전으로 당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유색대두 수집종의 특성연구 제1보 유색대두 수집종의 종실 및 생육특성 연구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 Seed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in Growth and Yielding of Collected Colored - Soybean Cultivars)

  • 구자옥;민경수;하기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1-215
    • /
    • 1983
  • 수집된 재래의 유색대두종을 일률적인 재배조건하에서 종실특성 변이와 종실종군별 생육진전 및 수량형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유색대두 수집종들은 100립중을 기준으로 하여 20gr 이하의 소립중, 20-25gr의 중립중, 25-30gr의 대립종 및 30gr 이상의 특대립종 등 4개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종실크기에 관련된 요인중 종실장과 종실폭의 변이는 종실후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종실중과 경중 및 주당협수 등의 형질들은 변이계수에서 생육일수나 결과일수 등의 형질보다 큰 경향이었다. 4. 생육일수와 성숙일수 및 개화시기는 립중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개화기와 성숙일수는 경장 및 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장과 경중은 수량형질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주당협수는 100립중과 부의 상관을, 또한 수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풋콩 재배지에 따른 파종시기가 종자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Time on Seed Production of Vegetable Soybean at Different Locations)

  • 백인열;신두철;박창기;이진모;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4-51
    • /
    • 1995
  • 도입에 의존하고 있는 풋콩 종자 생산체계를 확립하고자 조숙성 품종인 큰올콩과 풋콩 도입풍종인 Fukura 피두를 평야지(영남농업시험장) 및 고랭지(경남 밀양군, 사자평 :해발 850m)에 파종시기(5월 15일, 6월 15일, 7월 15일)를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과 병해립 및 저장후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협수가 많고 100립종은 무거웠으며 수량도 높았다. 재배지별로는 평야지가 고랭지보다 증수되었고, 큰올콩이 Fukura보다 수량성이 높았다. 2. 남부지방의 산간 고랭지는 평야지에 비해 생육 및 100립종이 저하하고 수량성이 크게 떨어져 평야지보다 불리하였다. 3. 안전립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높고, 평야지 및 큰올콩품종에서 증수되었으며, 전체 립종에 대한 안전립 비율은 고랭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4. 파종시기에 따른 병해정도는 큰올콩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Fukura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나병립율이 높았고, 미이라병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자정병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5. 종자의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은 것이 높았으며, 5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확ㆍ저장한 종자의 발아율은 매우 낮아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풋콩 종자생육을 위한 적정파종시기는 수파기의 고온ㆍ다습한 환경을 고려하여 6월 중순경이 좋을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콩의 동화기관과 수용기관의 능력평가 (Source and Sink Limitations to Soybean Yield)

  • 이석하;성열규;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5-259
    • /
    • 1995
  • 콩의 수량에 대한 광합성 기관(source)과 광합성생물 수용기관(sink)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꼬투리의 크기에 비하여 종실 건물면적이 불량한 수집검정콩인 강릉재래 밀 금릉재래, 꼬투리의 비대가 충실한 백운콩 및 수원 168호를 공시하였다. 두 수준의 재식밀도(ha당 55,000, 110,000 개체)와 개화기 이후 등숙 기간 중 차광막을 설치하여 광합성 능력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건물중분배 및 개체수량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및 종실건물중의 품종간 광합성능력 변화를 위한 재식밀도 및 차광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고 품종 및 처리간 유의적인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2. 지상부 총건물중에 대한 종실건물중 비율은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어, 수원 168호가 가장 높았으며, 광합성 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처리 가운데 극히 광이 부족한$S_2$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3. 등숙기간중에수량을 위한 source와 sink 능력을 광합성 기관 제한정도(source limitation value)에 의하여 품종간 비교하여 보면, 꼬투리에 종실이 충분히 면적되는 수원 168호는 source가, 수집검정콩인 강릉재래나 금릉재래는 sink의 기능이 수량에 있어서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PDF

콩에 있어서 알칼리 붕괴도와 그의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lkali Digestibility of Soybean Seeds and Its Inheritance)

  • 이홍석;박의호;임병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9-185
    • /
    • 1984
  • 콩에 있어서 알칼리 붕괴도(ADV)의 활용 가능성과 적정검정방법, 품종간 차이와 재배환경의 영향등을 구명하고 아울러 ADV의 유전현상을 추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재래 밭밑콩, 국내 장려품종 및 외국에서 도입된 소입품종들과 ADV를 달리하는 품종 또는 계통들관의 교배종자를 공시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알칼리 붕괴도의 검정을 위한 알칼리 용액은 25~30%의 KOH용액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종자처리를 위한 알칼리 용액의 온도의 영향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으나 대체로 $25~35^{\circ}C$범위가 양호하였다. 3. 종실의 알칼리 용액 중 침지시간은 24시간 정도로서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알칼리 붕괴도의 품종간 차이는 현저하여 수집 재래 밥밑콩 계통은 ADV가 모두 높고 외국도입 소입품종들은 모두 낮았으며 국내 장려품종들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어 3품종은 ADV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1품종은 중정도이었으며 그밖의 품종은 모두 낮다. 5. 알칼리 붕괴성의 유전현상은 저ADV가 단순우성으로 작용하는 단일유전자에 의하여 지배되는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작에서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성 (Response on Canopy Structure, Dry Matter and Yield of Corn and Soydean on Alternative Row Cropping)

  • 홍경식;이호진;유재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7-368
    • /
    • 1987
  •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재배시 각 작물 상호간의 교호비율에 따른 이들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옥수수 단작, 옥수수와 대두의 교호비율이 각각 1 : 1, 1 : 2, 1 :3인 이랑 교호작, 그리고 대두단작의 5가지 재배 양식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는 대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이 짧아지고 착수고가 낮아졌으며 줄기의 굵기는 굵어졌다. 대두는 옥수수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장이 길어지고 줄기가 가늘어졌으며 생장후기 도복의 정도가 심해 졌다. 2. 엽면적지수는 교호작에 의해 2∼8% 증가되었으며 지상부 건물중도 다소 늘어났다. 엽면적과 건물중의 수직분포는 교호재배시 중하부의 분포비율이 높아져 보다 고르게 분포되었다. 3.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엽중의 분포비율이 높아지고 엽이외 부분의 비율이 낮아졌다. T/R ratio는 단작보다 교호작에서, 교호작간에는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되어 식물체중에 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 식물체내 전질소량은 단작에 비하여 교호작에서 교호비율 및 시기에 따라 4∼22% 증가되었다. 그러나 부위별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타 작물과의 교호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옥수수의 수량구성요소는 증가되었으나 대두의 수량구성요소는 감소되었다. 6. Land equivalent ratio(LER)은 교호재배시 0.96∼1.01로 단작 1.00과 차이 없었으나 예상수량에 대한 실제 수량의 비로 평가할 때, 총질소수량은 1.10∼1.25, 총건물수량은 1.07∼1.12, 그리고 총종실수량은 1. 17∼1.20으로 교호재배에 의해 수량생산성이 높아졌으며 옥수수와 대두의 1 : 1 교호작이 비교적 유망하였다.

  • PDF

단백자원으로서의 대두증산에 관한 연구 - 품종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가 대두의 수량형질과 단백질 및 유분생육량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Yield Increase of Soybean as a Protein Source -Varietal response of yield components, protein and oil yield to different sowing dates and calcium levels in soybean-)

  • 현신규;이은웅;이춘영;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
    • /
    • 1970
  • 단백자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작물인 대두의 자실수량, 단백 및 유분수량이 품종별로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영양을 받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대두품종 충북백, 육우 003 및 장단백목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5월 22일(대두단작재배) 및 6월 11일(맥후작재배) 및 7월 1일 (만파재배)로 달리하고 석회시용량을 10a당, 0.5kg, 100kg으로 다르게 처리하여 본 시험을 1969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농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성적에서 나타난 대두의 수량형질, 단백 및 유분수량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품종중 육우003의 자실수량이 가장높았다는데 이는 육우003에 주당협수가 다른 품종보다 현저히 많다는 데에서 기인되었다. 단백함량은 충북백>육우003>장단백목의 순위였고 지유함량은 장단백목>충북백>육우003의 순위였으나 단위면적당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자실수량이 많았던 륙우003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와같은 품종간 수량차이는 파종기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설계재배에 있어서는 품종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크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2. 제1파종기와 제2파종기간에 자실수량차이는 없었으며 만파재배인 제3파종기에서는 자실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제3파종기에서 1주당협수의 감소가 현저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단백질함량과 지유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별로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제3파종기에서 자실수량의 감소와 함께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서 분지수 협수가 증가하였으며 자실수량도 증가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자실수량이 석회 100kg/10a 시요구에서 가장 높았다. 단백함량도 석회시용량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지유함량은 석회무시용구가 가장 높았다. 단백수량은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수량 및 단백함량이 같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현저히 증수되었으며 지유함량은 자실수량의 증가에 의해서만 증수되었다. 4. 수량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경장과 주당경중, 100립중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경중과 주당맥수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분지수와 100립중간에, 주당협수와 자실수량간에, 100립중과 단백함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인정할수 있었으며, 주당협수와 100립중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