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xhlet extraction metho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Soxhlet 추출법에 의한 가공 식품의 Trans 지방산 정량 (Quantification of Trans Fatty Acids in Processed Foods by Soxhlet Extraction Method)

  • 노경희;김소희;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29-1536
    • /
    • 2004
  •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인의 상용 가공식품 중 마가린 6종, 쇼트닝 2종, 라드 2종, 햄버거 4종, 도너츠 4종, 식빵 2종, 구운 과자 4종, 유탕 스낵 10종, 초콜렛 6종, 땅콩제품 4종, 전자렌지용 팝콘 2종, 닭튀김 4종, 감자튀김 4종, 치즈 2종 등 총 56종을 선정하여 Soxhlet 추출 방법에 의한 총 지방 함량과 ATR-IR 방법에 의해 trans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후 마가린 6종, 쇼트닝 2종 및 라드 2종 등 총 10종의 식품을 GC/MS로 trans 지방산 함량 및 이성체를 확인하였다. IR 분석에 의한 마가린의 총 지방 중 trans 지방산 함량은 5.03~32.73%인데 반해 쇼트닝은 1.98~11.33%, 라드는 1.70~1.96% 함유하고 있었다. 햄버거가 0~5.43%, deep frying류인 도너츠가 0.74~11.10%였다. 구운 과자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7.37~26.54%인 반면 쵸코렛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닭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0.44~14.85%였으며, 감자튀김은 5.18~27.01%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치즈의 trans 지방산 함량은 11.34~12.88%이었으나 바싹한 과자와 쵸코렛에서는 trans 지방산 함량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섭취 분량 중에 trans 지방산을 2 g 정도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에는 도너츠, 유탕스낵(tortilla), 전자렌지용 팝콘, 감자 튀김 등이 있다. GC/MS 방법에 의한 마가린의 총 지방 중 trans 지방산 함량은 8.27~28.53%, 쇼트닝은 8.81~9.17%, 라드는 6.03~8.00%를 함유하고 있었다. 마가린의 trans 지방산 이성체로는 C18:1t의 함량이 총 이성체 중 70.03%를 차지하였으며 쇼트닝과 라드는 C18:1t과 C18:2t의 함량이 각각 50.45와 37.64%, 32.43%와 47.37%였다. C18:1t의 함량이 현저히 높은 마가린의 경우 GC/MS 방법보다는 IR 방법에서 trans 지방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18:2t과 C18:3t의 함량이 높은 쇼트닝과 라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GC/MS 방법에서 IR 방법에 비해 높은 trans 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두 방법 간의 상관성은 $r^2$=0.91이었다.

환경대기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포집과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Ambient Atmosphere)

  • 백성옥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대기중 저농도 수준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들의 포집과 분석방법을 평가하였다. PAH의 포집매체로서 기체상은 Tenax 흡착제를, 입자상은 PTEE 및 유리섬유필터를 이용하였으며 양자 모두 저유량샘플러에 의해 포집되었다. 필터 및 흡착제에 함유된 유기성분은 Soxhlet 장치로 추출하였으며 신속하고도 간편한 Silica 미니칼럼을 이용하여 PAH 함유성분을 분리하였다. PAH 성분은 역상 HPLC로 분리되어 형광 및 UV 검출기로 검지하였다. 분석은 환경보건학적 중요성을 갖는 18개의 PAH에 대하여 행하여졌다. 분석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추출능(시료의 회수율), 시료의 전처리단계, HPLC 분리능과 재현성 및 검출한계치 등이 평가되었으며 이울러 서로 다른 포집매체의 이용에 따른 회수율의 영향도 비교 검토되었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포집 및 분석방법을 실제 환경시료에 적용하여 가스상 및 입자상 PAH 분석을 위한 실례를 제시하였다.

  • PDF

포도가공 부산물로부터 화장품용 항산화물질의 추출 및 분리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Fraction from Waste of Grape Products for Cosmetic Application)

  • 김의진;이태호;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77-482
    • /
    • 2009
  • 본 연구는 포도가공부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자원의 활용과 환경오염을 줄이고, 공정을 간결하게 하여 실제산업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도가공 부산물을 포도과피와 포도씨로 나누어 과피에서는 anthocyanin을 씨에서는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를 주 대상물질로 하여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였다. 추출된 항산화물질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이들의 효능은 DPPH법, SOD법을 이용하여 대조군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두 방법 모두 포도씨 추출물의 효능이 포도과피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도를 보였다. 이렇게 생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multiple lamella emulsion의 화장품 제형을 개발하였고 이 제형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입자 크기와 초고압 처리에 따른 유기용매와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서의 대두유 추출수율의 변화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High Pressure Process on the Extraction Yield of Oil Compounds from Soybean Powder Using Hexane and Supercritical Fluid)

  • 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03-208
    • /
    • 2011
  • 유기용매와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대두분말에서 지방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에서 분말화공정(분쇄)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입자도와 초고압처리에 의한 추출속도를 측정하였다. 대두분말의 입자가 작을수록 추출속도가 향상되었으면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표면적이 증가하여 고-액추출에서 중요한 반응기작인 물질전달속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초고압공정을 적용 시 동일한 입자크기에서 추출속도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는 대두분말 내부에서 발생하는 확산현상에 대한 저항이 초고압상태에서의 변화로 감소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초임계유출에 의한 추출은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입자의 크기가 큰 상태에서는 초고압처리를 전처리로 사용할 경우 시간당 추출량을 상당부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입자크기가 작을 경우 초고압처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고추중의 Capsaicin 정량(定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psaicin in various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 이태영;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권
    • /
    • pp.23-28
    • /
    • 1963
  • 1. 등전씨(藤田氏)의 Ether-alkali partition extraction법(法)을 개량(改良)하여 Capsaicin을 순수(純粹)하게 분리(分離)하여 정량표준곡선(定量標準曲線)을 얻었다. 2. Soxhlet장치(裝置)를 사용(使用)하여 Ether-Acetone(3:1) 혼합용매(混合溶媒)로 Capsaicin을 추출(抽出)한 후(後) 58% Methanoldmf 전개제(展開劑)로 하는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불순물(不純物)로부터 Capsaicin을 순수(純粹)하게 분리(分離)하였다. 3. Diazobenzenesulphonic acid를 발색제(發色劑)로 사용(使用)하는 Schulte-Kruger 변법(變法)에 약간(若干) 개량(改良)을 가(加)하여 각품종별(各品種別) 고추중(中) Capsaicin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하였다.

  • PDF

식용유지 중 벤조피렌 분석법 비교 연구 (A study of analytical method for Benzo[a]pyrene in edible oils)

  • 김민정;박준영;김민주;조은영;박미영;한난숙;황숙남
    • 분석과학
    • /
    • 제36권6호
    • /
    • pp.291-299
    • /
    • 2023
  • 식용유지 중 benzo[a]pyrene 추출법으로 액체-액체 추출법, Soxhlet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방법들은 추출 시간이 길고 많은 양의 용매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고 단시간에 분석이 가능한 QuEChERS법을 적용하여 현재의 복잡한 benzo[a]pyrene 분석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QuEChERS법은 식용유지를 n-hexane saturated acetonitrile과 n-hexane으로 녹인 후 magnesium sulfate, sodium chloride를 이용해 추출하는 방식이다. 이 시험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2, 0.05 ㎍/kg 이며, 직선성은 0.1~10 ㎍/kg 농도 범위에서 검량선 결정계수 (R2)는 0.99 이상이었다. 회수율과 회수율에 대한 상대표준편차는 각각 74.5~79.3 %, 0.52~1.58 % 였으며, 정확성 및 정밀성은 각각 72.6~79.4 %, 0.14~7.20%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 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 (2016)」 및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 AOAC 가이드라인 (2023)」을 모두 만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법은 기존 분석법 대비 상대적으로 간편한 전처리 방법으로 분석 시간과 용매 사용량을 각각 92 %, 96 %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에어샤워부품의 용출 가스 중 유기화합물의 반 정량적 Headspace GC-MS 분석 (Semiquantitative Dynamic Headspace GC-MS Analysis for Organic Compounds Outgassed from FAB Materials of Air Shower)

  • 박현미;백승우;김영만;이강봉
    • 분석과학
    • /
    • 제13권4호
    • /
    • pp.412-422
    • /
    • 2000
  • 실리콘 웨퍼 산업계의 청정실에서 사용되는 에어샤워기중 고분자로 제작된 부품들을 $100^{\circ}C$에서 30분간 다이나믹 해드 스페이스에서 가스로 용출한 후 GC-MS로 분석 하였다. 에어샤워기가 가동중인 청정실의 대기를 흡착관 튜브방식으로 채취하였고, 이러한 흡착관 튜브에 흡착된 유기화합물은 쏙시렛 용출법을 이용하여 용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에어샤워기의 제조 부품(electric over current relay, acryl plate. polycarbonate window, filter, fan housing, steel galvanized cold plate and canvas buffer)들로 부터의 분석결과 대부분의 성분들은 제조부품의 고분자 성분들에서 유래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에어샤워기가 가동중인 청정실의 대기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비교 연구는 청정실내에서의 유기오염물질이 에어샤워기의 고분자 제조부품으로부터 유래 되었는지를 확인하게 해준다.

  • PDF

GC/ECD 및 GC/MS를 이용한 트리클로산 정량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sting method of Triclosan with GC/ECD and GC/MS)

  • 정희재;이재인;권덕준;엄희정;최철호;최기인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10-4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항균제, 세정제 및 살균제의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인 트리클로산에 대한 전처리 방법 및 정량분석 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말헥산을 추출용매로 하여 속실렛 추출기에서 8 시간 추출할 경우, 가장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으며, 분석장비는 GC-ECD와 GC-MS 모두 양호한 분석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제한 종이 여과지 시료 및 솜 시료를 각각 30 개씩 분석한 결과, 높은 트리클로산 추출효율, 낮은 분석 편차, 일원배치법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조제한 시료 및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출 및 분석방법은 종이 및 섬유시료 내 트리클로산 분석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sulation resistance property of EVA (Ethylene-vinyl acetate)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nts

  • 진가언;정태희;주영철;강기환;장효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4.1-424.1
    • /
    • 2016
  • 태양전지 모듈의 봉지재로 사용되는 EVA(Ethylene-Vinyl acetate)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frame의 실링재나 glass edge 부분의 결함으로 인해 수분이 침투되어 모듈의 내부자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모듈의 효율 감소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EVA의 crosslinking degree, 절연 저항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VA의 crosslinking degree를 보기 위해 soxhlet extraction method를 이용하여 gel content를 측정하였으며, 라미네이션 과정 중 curing time에 따른 gel content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실험을 바탕으로 gel content에 따른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EVA의 crosslinking degree에 의한 절연 저항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공산품 함유 PAHs 분석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sis of PAHs in consumer products)

  • 송문환;조영달;최은경
    • 분석과학
    • /
    • 제27권4호
    • /
    • pp.201-212
    • /
    • 2014
  • 발암성 및 잔류성을 갖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이하 PAHs)의 법적인 규제가 공산품 함유에로 확장된 현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속슬렛 추출에 의한 전처리 및 GC-MS 분석에 의한 공산품에 함유된 18종 PAHs의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고 공산품 4종에서의 18종 PAHs 함유 여부를 분석하였다. GC-MS SIM 크로마토그램의 머무름 시간 및 피크 면적의 정밀도는 각 0.00%~0.05% 및 1.16%~3.69%의 RSD로 측정되었고 각 PAH의 농도 범위 0.3125 mg/L~5.00 mg/L에서 얻은 검정곡선은 상관계수 $R^2$값이 18종 모두 0.999 이상으로 산출되었다. 본 검정곡선을 이용한 18 종 PAHs의 GC-MS 기기분석의 정량 한계는 0.327 mg/L (Benzo[ghi]perylene)~0.464 mg/L (Acenaphthylene)로 산출되었다. 스파이킹에 의한 18종 PAHs의 속슬렛 추출에 의한 회수율은 DCM, 헥세인, 혹은 톨루엔 사용 시 모두 95%~105%로 측정되었고, 이상의 조건에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공산품 4종에서 18종 PAHs를 분석한 결과, 3개 시료에서는 Phenanthrene이 정량한계 근방의 소량으로 검출되었고, 망치(손잡이 부분) 시료에서는 Phenanthrene을 비롯한 15종 PAHs가 최대 83.4 mg/kg~최소 8.5 mg/kg 범위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