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wing field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7초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Damping-off of Bush Okra Using Rhizosphere Strains of Pseudomonas fluorescens

  • Abdelzaher, Hani M.A.;Imam, M.M.;Shoulkamy, M.A.;Gherbawy, Y.M.A.
    • Mycobiology
    • /
    • 제32권3호
    • /
    • pp.139-147
    • /
    • 2004
  • A severe damping-off disease of bush okra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was diagnosed in plastic houses in Der Attia village, 15 km southwest of El-Minia city, Egypt, during the winter of 2001. Bush okra seedlings showed low emergence with bare patches inside the plastic houses. Seedlings that escaped pre-emergence damping-off showed poor growth, stunting and eventually collapsed. Examination of the infected tissues confirmed only Pythium aphanidermatum, showing its typical intercalary antheridia, and lobulate zoosporangia. P. aphanidermatum was shown to be pathogenic on bush okra under pot and field experiments. Bacteria making inhibition zones against the damping-off fungus P. aphanidermatum were selected. Agar discs from rhizosphere soil of bush okra containing colonies were transferred onto agar plate culture of P. aphanidermatum. After 2 days of incubation, colonies producing clear zones of non-Pythium growth were readily detected. The two bacteria with the largest inhibition zones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fluorescens. Bush okra emergence(%) in both pot and plastic houses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sease control could be obtained by applying P. fluorescens to the soil or coating the bacteria to the bush okra seeds before sowing. In the plastic houses, application of the bacteria onto Pythium-infested soil and sowing bush okra seeds dressed with bacteria gave 100% emergence. In addition, This was the first reported disease of bush okra by this oomycete in Egypt.

파종기(播種期)와 피복재료(被覆材料)가 황금(黃芩)의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wing Date and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 박규철;박태동;박인진;최경주;김상철;김명석;허길현;정병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5-172
    • /
    • 1995
  •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재배시(黃琴栽培時) 적정(適正) 파종기(播種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양(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종(麗川種)을 공시(供試)하여 책시(責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률(出芽率)은 비닐피복(被覆) 재배(栽培)가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 비하여 48% 높았고 비닐피폭(覆栽) 재배시(栽培時) 파종기(播種期) 및 피복(被覆) 재료(材料) 간(間)에는 5월(月) 10일(日일) 파종(播種)이 93%, 투명(透明)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90%로서 가장 높았으며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에서 양호(良好)하였다. 2. 개화기(開花期)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과 투명(透明)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빠른 경향(傾向)이었고 개화(開花) 소요(所要) 일수(日數)는 5월(月) 10 일(日) 파종(播種)에서 $74{\sim}80$일(日) 로 가장 짧았다. 3. 동엽중(童葉重)등 지상부(地上部) 생육양(生育量)과 주근장(主根長), 근경(根徑), 상근수(上根數)등 지하부(地下部) 생육양(生育量)은 파종기(播種期) 간(間)에는 4월(月) 20일(日,) 피복(被覆)비닐 종류간(種類間)에는 흑색(黑色)P. E 피복재배(被覆栽培)가 증가(增加)되었다. 4,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파종기(播種期) 간(間)에는 4월(月)20일(日) 파종(播種)이 4월(月) 1일(日) 파종(播種)(109.Sfg/10a)에 비해 5% 증수(增收) 가져 왔으며 피복재료(被覆材料) 간(間)에는 흑색(黑色)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투명(透明)P.E 피복재배(被覆栽培) (99.4kg/10a) 대비(對比) 13% 증수(增收)를 보였고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에서 가장 증수(增收)를 나타냈다.

  • PDF

잇꽃의 파종기(播種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묵(收墨)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Safflower)

  • 강승원;이장우;박경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0-206
    • /
    • 1995
  • 잇꽃의 안전다수확(安全多收穫) 재배기술(栽培技術) 확립(確立) 일환(一環)으로 경기도농촌진흥원특용작물시험국장(京畿道農村振興院特用作物試驗國場)에서 중북부지역(中北部地域) 파종기(播種期) 설정(設定)과 P.E. 피복(被覆) 재배(栽培) 및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 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播種期)가 10일 빠를수록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는 $3{\sim}4$일(日), 개화기(開花期)는 2일(日), 성숙기(成熟期) $1{\sim}2$일(日) 빨랐고 주당화두교(株當花頭敎)와 화두당립수(花頭當粒數)가 많았으며 100립중(粒重)도 무거웠다. 2. 파종기별(播種期別) 종실수양(種實收量)은 조파(早播)할수록 많아 파종적기(播種適期)는 해빙직후(播種適期)인 3월(月)20일(日)경(頃)으로 10a당(當) 종실수양(種實收量)은 86.0kg이었다. 3. P.E.피복(被覆) 재배(栽培)는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출아기(出芽期), 개화기(開花期)가 $2{\sim}3$일(日)빠르며, 주경장(主莖長), 분지장(分枝長)이 길고 주당분지수(株當分枝數)도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4. P.E.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보다 $m^2$당(當) 주수(株數)와 주당화두수(株當花頭數)는 많아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고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는 모든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가 유의차(有意差)를 보였다. 5. 10a당(當) 종보수양(種寶收量)은 P.E.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177,9kg/10a)에 비(比)하여 20% 증수(增收)되어 P E.피복재배(被覆栽培)가 유리(有利)하였고, 조간거리(條間距離) 70+30cm 2열(列)로 할때 주간거리(株間距離)는 무피복(無被覆) 재배시(栽培時) 10cm (20천주(千株)/10a) , P.E.피복 재배시(被覆 栽培時) 15cm (13.3천주(千株)/10a)가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로 생각된다.

  • PDF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A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in Nursery Stage: Case of Bangladesh

  • Nandi, Rajasree;Dey, Soma;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of seeds on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at the nursery of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Furthermore, seedling growth attributes under different doses of fertilizer (urea) was also experimented to find the best dose of fertilizer on this tree species at the nursery stage for better field level growth. Seeds were placed to six pre-sowing treatments e.g. control (PT0), treated with sand paper rubbing (PT1), nicking (PT2),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48 hours (PT3),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seeds sown at propagator house with increased temperature (PT5). It was found from the study that germination was started earlier (at 31 days) in treatments sand paper rubbing (PT1) and nicking (PT2).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93%) was in PT1 followed by 86% in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80% in PT0 (control). Germination percentage was observed least (63%) in PT2 even though germination started earlier. For fertilizer dose experiment to seedlings at the nursery level, treatment FT1: 100 kg/ha (0.33679 g urea/pot/seedling) comparing with other treatments FT0: 0 kg/ha (Control), FT2: 200 kg/ha (0.67358 g urea/pot/seedling), FT3: 300 kg/ha (1.01037 g urea/pot/seedl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case of collar diameter (6.74 mm), number of leaves, shoot dry weight (19.74), total dry weight (28.16 g), total fresh weight (67.96 g), volume index (3904.82), sturdiness (127.69).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Quercus gomeziana seedlings revealed better performances under the treatment FT1 i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ake decision on organic fertilizer dose application to seedlings of Q. gomeziana for large scale plantation and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시호(柴胡)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대한 파종기(播種期) 및 초기관수(初期灌水) 효과(效果) (Effects of Irrigation and Sow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재철;김정혜;류정기;김기재;박준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8-324
    • /
    • 1997
  • 파종기(播種期)와 생육초기(生育初期) 관수(灌水)가 삼도시호(三島柴胡)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봄파종 시호(柴胡)의 출현일수(出現日數)는 파종후(播種後) 10일 간격으로 20mm씩 3회 관수한 시험구에서 38일로 무관수구(無灌水區)의 54일에 비하여 16일 단축(短縮)되었다. 2. 입모율(立毛率)은 10일간격 20mm씩 3회 관수한 시험구에서 64%인데 비하여 자연강우시 46%, 무관수에서는 25%로 아주 저조하였다. 3. 파종기(播種期)에 관수(灌水)한 경우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무관수(無灌水) 및 자연강우(自然降雨)에서 보다 양호(良好) 하였으며 10a당 수량(收量)은 10일 간격 20mm 3회 관수한 경우 58kg으로 자연강우, 무관수에 비하여 각각 20%, 94%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4. 생육초기(生育初期)$(5{\sim}6$월) 10일 간격으로 30mm씩 6회에 걸쳐 관수한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요오드 증기($I_2$)의 무 작물체에 대한 침적속도 및 뿌리 전류계수 : 피폭실험 결과 (Deposition Velocity of Iodine Vapor ($(I_2)$) for Radish Plants and Its Root-Translocation Factor : Results of Experimental Exposures)

  • 최용호;임광묵;전인;박두원;금동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1-158
    • /
    • 2010
  • 무에 대한 $I_2$ 증기의 작물체 침적속도와 뿌리 전류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파종 후 29 일에서 53 일 사이에 생육시기별로 작물체를 $I_2$ 증기에 80 분 간 피폭시켰다. 피폭은 오전 중에 투명한 상자 내에서 수행되었다. 침적속도($ms^{-1}$)는 대체로 $1.0{\times}10^{-4}{\sim}2.0{\times}10^{-4}$의 범위로 생육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상대습도가 높을 경우 값이 커진다는 기존 보고와 어느 정도 일치하였다. 본 침적속도는 몇몇 야외 측정치보다 수 십 배 정도 낮았고 이는 주로 피폭상자 내의 낮은 풍속($0.2\;ms^{-1}$ 내외)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뿌리 전류계수(작물체 총침적량에 대한 수확시 뿌리 내 함유량의 비)는 다소 보수적으로 계산하여 파종 후 29 일 피폭에서 $1.3{\times}10^{-3}$, 파종 후 53 일 피폭에서는 $5,0{\times}10^{-3}$이었다. 본 실험결과의 이용에 있어서는 기상 조건, 요오드의 물리화학적 형태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Quantity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tatoes for Chipping during Autumn Cultivation by Harvest Time

  • Gyu Bin Lee;Jang Gyu Choi;Do Hee Kwon;Jae youn Yi;Young Eun Park;Yong Ik Jin;Gun Ho J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23
  • As the demand for processing potatoes increases, imports of raw potatoes and potato products are in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potato production as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in Korea. Potato varieties for processing that can be grown in fall have been developed, but research on cultivation technology and processing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to improve chip processing quality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 time by investigating the quantity and chipping characteristics of potato chips during autumn cultivation. As the test varieties, the chip processing varieties "Saebong", "Eunsun", and "Geumnaru" were used, and the potato cultivation site was the Seocheon-gun Test field (214 Gaeya-ri) of the Chungcheongnam-do. The test treatment was at harvest time after spring cultivation, and the potatoes were harvested at 70, 80, 90, and 100 days after sowing based on the sowing time. The investigation items were potato productivity (total yield, yield of standard processing, and number of tubers) and chip-processing characteristics (chip color, dry matter content, glucose content, etc.).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yiel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according to the treatment. The total yield (ton/ha) was 27.5 to 3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of 70 to 100 days after harvest. The standard quantity for processing (yield of 81-250g potatoes per unit) also showed a similar trend. In chipp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high in specific gravity and glucose content. The specific gravity was highest at 1.077 at 70 days after harvest, and the glucose (mg/dL) content was the lowest at 37.5 at 80 days after harv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but chip color (L value) was the highest at 64.4 at 70 days after harves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chip processing is 70 to 80 days after sowing.

  • PDF

몇가지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와 콩과목초(科牧草)를 혼파(混播)할 경우 파종비율(播種比率)에 따른 목초(牧草)의 생산성(生産性)과 경합관계(競合關係) (Competition Relation and Forage Yields by Different Sowing Rate in Grass and Legume Mixtures)

  • 조진웅;김충수;이석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9-116
    • /
    • 1993
  • 본(本) 실험(實驗)은 목초지(牧草地)에 있어서 혼파(混播)의 경우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와 콩과목초(科牧草)를 혼파할 때 그에 따른 생산성(生産性)과 경합관계(競合關係)를 분석(分析)하고 화본과와 콩과목초를 일정한 비율로 파종하였 때 파종비율에 따른 초종들간의 경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중(乾物重)은 단파(單播)했을 때 톨페스큐구에서 $1105g/m^2$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이트클로바에서 $503g/m^2$으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혼파의 경우는 톨페스큐-레드클로바 (1:0.1)구(區)가 $1500g/m^2$으로 가장 높았으며, 오차드그라스-화이트클로바 (1:0.1)구(區)가 $844g/m^2$으로 가장 낮았다. 2. LAI는 혼파구(混播區)에서 단파구(單播區)의 화본과(禾本科) 초종(草種)보다 증가하였는데 단파구(單播區)의 오차드그라스에서 9.3, 레드클로바에서 12.5, 톨페스큐는 6.5, 화이트클로바는 8.1을 보인 반면, 혼파구(混播區)에서는 오차드그라스-레드클로바구에서 10.7-12.1, 오차도그라스-화이트클로바구에서 9.2-12.3, 톨페스큐-레드클로바구에서 9.2-12.4, 톨페스큐-화이트클로바구에서 7.8-8.1을 보였다. 3. 목초(牧草)의 수량(收量)으로 살펴본 단파(單播)에 비해 혼파(混播)의 유리함을 비교하는 지수(指數)로서 RYT를 살펴보면 오차드그라스-레드클로바의 1:0.1파(播) 종구(種區)와 1:1파(播) 종구(種區)를 제외하고는 RYT가 1.0보다 모두 커 혼파(混播)가 단파(單播)에 비하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콩과목초(科牧草)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높을수록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경합력(競合力)이 떨어지는데 화이트클로바와의 혼파(混播)에서 레드를로바보다 그 정도가 더 컸으며 톨페스큐가 오차드그라스보다 콩과목초(科牧草)에 대한 경합력(競合力)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콩과목초(科牧草)에 대한 RCC를 살펴보면 콩과목초(科牧草)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높을수록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는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었는데 레드클로바보다는 화이트 클로바와의 혼파(混播)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다단식 시렁을 이용한 벼 어린모 육묘 기술 (Raising of Rice Infant Seedling Using of Shelve)

  • 김상수;전병태;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92-496
    • /
    • 1990
  • 비닐하우스 내의 좁은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일시에 대량의 어린묘를 육묘코자 비닐하우스 내에 다단식 시렁을 설치하여 각 시렁 위치별로 묘소질과 본답생육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던 결과 1. 시렁간격 20cm에서는 육묘일수 10일까지는 시렁 위치에 따른 묘소질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일 묘에서는 도장으로 이앙상태가 좋지 않았다. 2. 시렁간격 30cm에서는 육묘일수 12일에도 도장현상이 없었으나 문고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3. 관수일수간격 간에는 묘소질 및 이앙상태에 차이가 없었다. 4. 시렁위치에 따른 본답 생육 및 수량에도 차이가 없었다.

  • PDF

Antagonistic Potentiality of Trichoderma harzianum Towards Seed-Borne Fungal Pathogens of Winter Wheat cv. Protiva In Vitro and In Vivo

  • Hasan, M.M.;Rahman, S.M.E.;Kim, Gwang-Hee;Abdallah, Elgorban;Oh, Deo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585-591
    • /
    • 2012
  • The antagonistic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on a range of seed-borne fungal pathogens of wheat (viz. Fusarium graminearum, Bipolaris sorokiniana,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as assessed. The potential of T. harzianum as a biocontrol agent was tested in vitro and under field conditions. Coculture of the pathogens and Trichoderm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learly showed dominance of T. harzianum. Under natural conditions, biocontrol effects were also obtained against the test fungi. One month after sowing, field emergence (plant stand) was increased by 15.93% over that obtain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and seedling infection was reduced significantly. Leaf blight severity was decreased from 22 to 11 at the heading stage, 35 to 31 at the flowering stage, and 86 to 74 at the grain filling stage. At harvest,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was increased by 50%, the yield was increased by 31.58%, and the 1,000-seed weight was increased by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