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rn Coastal Area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42초

울릉도 연안산 해조류 넓미역 Undaria peterseniana의 서식 특성 (Inhabit Features of a Brown Alga Undaria peterseniana in Coastal Area of Ulleung Island)

  • 윤성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747-756
    • /
    • 2015
  • Brown alga Undaria peterseniana has been interested in the commercial scale aquaculture for warm water species development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However, this species was classified an endangered species caused by a decrease in habitat and natural population. In this study, inhabit characteristics of U. peterseniana was investigated in their natural habitat of Ulleung Island, Korea. The U. peterseniana population was occurred dense patches at 20~30m depth. Total length of the alga reached 1.0~2.0m and the largest width ranged 10.0~35.0cm during the study. In 2013, habitats of this species increased two site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and their distribution extended to low depth (10m) of coastal area. In long-term data, seawater temperature revealed a continuous increment by strong going north of East Korea Warm Current or Ulleung Warm Eddy turning around the coast of Ulleung Island. It suggested that habitat extension of U. peterseniana may be caused by suitable settlement condition and increase of warm water around the coastal area. Current studies of this species may be continuously required in the possibility of fisheries resources as aquaculture species and index species of increment of water temperature at the fixed monitoring site in East Sea.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search ecological feature U. peterseniana population at the natural habitat of Ulleung Island.

농업 기후 지대 구분과 기상 재해 특성 (Agroclimatic Zone and Characters of the Area Subject to Climatic Disaster in Korea)

  • 최돈향;윤성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2호
    • /
    • pp.13-33
    • /
    • 1989
  • 농업기후는 적지 적작을 통하여 주어진 기후자원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의미에서 더욱 정밀하게 분석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작물 생산의 안정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작물별로 농업기후 지대를 구분하여, 지대별로 알맞은 품종과 재배 기술을 도입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업기후지대 구분은 농업생산을 지배하는 기온, 강수량, 일조, 습도, 바람 등 작물의 생육과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지대를 구분한다. 벼재배를 위한 농업기수지대는 이앙기의 강수량과 한발지수, 생육 유효 온도(15$^{\circ}C$ 이상)의 출현시기와 지속기간(작물기간), 생육 단계별 저온 출현율을 비롯하여 기온, 일조시수 등의 분석과 종합 판단을 통하여 비슷한 지역을 하나의 지대로 묶어 구분한다. 구분된 우리나라의 벼재배 농업기후 지대는 19개 지대로서, (1) 태백고령지대, (2)태백준고령지대, (3)소백산간지대, (4) 노령소백산간지대, (5)영남내륙산간지대, (6) 중북부내륙지대, (7) 중부내륙지대, (8) 소백서부내륙지대, (9) 노령동서내륙지대, (10) 호남내륙지대, (11) 영남분지지대, (12) 영남내육지대, (13) 중서부평야지대, (14) 차령남부평야지대, (15) 남서해안지대, (16) 남부해안지대, (17) 동해안북부지대, (18) 동해안중부지대, (19) 동해안남부지대이다. 한편 작부농계를 위한 농업기후지대는 벼재배 농업기후지대를 바탕으로 하고, 각 지대별로 여름 작물과 겨울 작물을 위한 기후요소들과 전래되어온 작부농계를 고려하여 9개 지대로 구분하였다. 9개의 작부농계 농업기후지대는 (I) 산간고령지대, (II) 산간지대, (III) 중북부내륙지대, (IV)중북부서부해안지대, (V) 중남부서부해안지대, (VI) 경북내륙지대, (VII) 남부내륙지대, (VIII) 남부해안지대, (IX)동해안지대 등이다. 농업기후지대별 농업기상재해의 특성은 벼 이앙기에 한발지수 1.4 이상을 보인 (11) 영남분지지대, 동해안의 북부(17)와 중부(18) 지대 등이 가뭄 상습지로 나타났고, 냉해 위험지대에는 (2)태백준고냉지대가 포함된다. 태풍과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가 년평균 4회 이상인 지대는 (10) 호남내륙지대, (15) 남서해안지대, (16) 남부해안지대로서 강수량분포와 태풍 진로와 관계가 깊다. 그 다음으로 년2~3회 풍수재를 입게 되는 지대는 동해안의 (17), (18), (19) 지대인데, 이 지대는 한발, 냉해, 풍수해가 겹친 지대이다.

  • PDF

제주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요인과 멸치 난자치어 분포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 고준철;유준택;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94-410
    • /
    • 2007
  • Anchovy spawn from the end of May to mid-Octo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14.8-27.2\;^{\circ}C$ and the salinity is 26.0-33.6 psu. The main spawning season is between July to August,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21.7-27.2\;^{\circ}C$ and the salinity is between 26.0-32.2 psu. The main spawning grounds of anchovy are coastal areas shallower than 50 m around the islands located in the Jeju Strait. Anchovy larvae are distributed near the fronts between Chuja-do, Jangsu-do, Yeoseo-do, and the open sea rather than in the spawning grounds. Anchovy eggs and larvae densit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high level of $Chlorophyll-{\alpha}$ during the summer season (July-August). In terms of the suspended sediment (SS) levels along the northern coast of the Jeju Strait, high densities of anchovy eggs (12.0-18.0 mg/L) were observed, mainly in the area affected by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ern sea with high SS levels, while larvae (10.0-19.0 mg/L) tended to be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with high SS levels, including the open sea. In terms of the dissolved oxygen (DO) content, eggs (5.4-6.8 mg/L) were observed in coastal areas with a high DO content, while larvae (4.2-6.4 mg/L) were distributed widely in areas with a relatively low DO content, from the southern coast to the open sea.

봄철의 한국 남해 멸치와 정어리난 분포 및 감소율의 비교 (Comparisons of Egg Distribution and Mortality Rate between Anchovy and Sardine during Spring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김진영;김주일;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9-305
    • /
    • 1994
  • 1991년과 1992년의 $3{\sim}4$월에 한국 남해안에서 어난을 채집하여 멸치와 정어리 난 분포역의 변동을 비교하고 발생 단계별 분포밀도로써 감소율을 추정하였다. 멸치와 정어리 난은 1991년 3월과 1992년 3월말${\sim}4$월초에 대마도 남서해역에서 동시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특히 1992년에는 1991년에 비하여 멸치와 정어리난 분포범위가 남해중부 외해역까지 확장되어 있었다. 조사해역의 표층수온은 $8.6{\sim}17.8^{\circ}C$였으며, 멸치와 정어리 난의 대부분은 $14{\sim}15^{\circ}C$에서 출현하였다. 1991년 3월 $4{\sim}15$일에 있어서 난의 발생단계별 분포밀도로부터 추정된 순간감소계수를 비교하면 멸치는 0.268/일, 정어리는 0.132/일로서 정어리 난 난의 1일 감소율이 멸치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1993 TSUNAMI FLOODING ONTO AONAE DISTRICT, OKUSHIRI ISLAND

  • Yamashita, Taka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3-6
    • /
    • 1996
  • On July 12, 1993, a large earthquake (M=7.8) occurred off the south-west of Hokkaido, Japan. The tsunami generated by this earthquake caused a disaster which took a heavy toll of lives, more than 200 persons dead, by the flooding of tsunami in the area of Aonae district in Okushiri island. Investigation after the disaster made clear that southern lowland was flooded by the tsunami coming from west about 5 min after the shock and the second tsunami from the east attacked eastern lowland of the Aonae District about 10 min after the shock. (omitted)

  • PDF

해수의 광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 IV ) - 한국남해안 - (Optical Properties of Sea Water ( IV ) - Coastal Waters of Southern Part of Korea -)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4권1호
    • /
    • pp.37-41
    • /
    • 1978
  • Optical properties were studied in the costal water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based on twenty oceanographic stations from 1 st to 9 th February, 1977. Submarine daylight intensity was measured by using an underwater luxmeter (Toshiba No.9). Daylight intensity in the upper 30m depth layer was measured at 1 m depth interval.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ea water in the area ranged from 0.101 to 2.539 (mean 0.578). The Secchi-disc depth in the area ranged from 0.8 to 13 meters (mean 5.33 me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coefficient (K) and transparency (D) was k= 1. 704/ D. The mean water color in the area was 5. 75 (3-9) in Forel scales. The rates of light penetration for daylight at 1m layer in the area ranged from 13.18 to 82. 05% and the mean was 59.56%, while the rate at 5m layer ranged from 0.007 to 46.1% and the mean was 18.47%.

  • PDF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8-214
    • /
    • 1990
  • 한국 남해에 있어서 식물플랑크촌의 현존양은 4월이 가장 많으며 그 지리적 분포상태는 주로 연주도와 대마도간의 수온전선형성해역에 가장 풍부하고 그 전선에서 연안측이 외양측보다 더욱 풍부한 경향이므로 전선형석 위치에 따라 그 농도가 달라지게 된다. 현존양이 2월과 4월에는 최고양으로 출현한 205선의 01점에 8월에는 반대로 최소양으로 출현한 이유는 이 해역의 환경요인이 다른 연도의 것보다 뛰어나게 고온, 고염, 빈산소 및 빈영양상태이므로 이들의 특성을 지닌 Tsushima 난류수괴가 연안까지 침투한 까닭인 것으로 사료된다. 출현종류는 33속 72종 중 규조류가 27속 61종이고 경모조류가 6속 11종이며 시기별 출현종류수는 출현량이 4월에 가장 많은데 비해 8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조성은 2월은 Eucampia zodiacus, 4월은 Skeletonema costatum과 Chaetoceros curvisetus 및 8월은Chaetoceros affinis 등으로서 시기별로 대차가 있었다. Eucampia zodiacus는 2월과 4월에 있어서 남해연안수역과 제주도 서방의 혼합수역을 지표하는 지표종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 PDF

Stomach contents of the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in the coastal area of Yeosu, Korea

  • Yoon, Ho-Seop;Soh, Ho-Young;Park, Sang-Duk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5-196
    • /
    • 2003
  • The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1860) (formerly known as Trachypenaeus curvirostris) occur in the East China Sea, Korea and Japan to China(Kubo, 1949; Paulinose, 1982), and is locally abundant specie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Kim, 1997). The main investigations into diets of shrimps have been on the Penaeidae(Chong & Sasekumar, 1991; Wassenberg & Hill, 1993), Crangonidae(Pihl & Rosenberg, 1984; Allen, 1966; Boddeke et at., 1986). (omitted)

  • PDF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Shin, Hyeon Ho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93-498
    • /
    • 2013
  •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in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wo sediment cores were collec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Germina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sola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a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a toxic dinoflagellate A. tamarense.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n Yeoja Bay appeared from 30 to 32 cm depth upwards (ca. 1980s), and their concentration increased around 10 to 12 cm depth (mid-1990s). Similarly, cyst concentration in Gamak Bay also increased from 40 to 44 cm depth (ca. 1990s).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report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caused by A. tamarense in 1980s and 1990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연안통합관리의 과학적 및 지역적 접근 (A Regional Approach for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with Scientific and Local Knowledge)

  • 이찬원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9
    • /
    • 2003
  • 수산, 항만, 관광 등 남해 연안 바다의 이용은 지역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의 연안관리와 연안 환경 문제에 관한 일시적인 처방은 더 이상 유동성 적조, 산소결핍, 잘피 서식의 감소 등 연안 문제 해결의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1999년 연안관리법이 통과된 후 2001년부터 현재까지 연안지역관리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연안지역관리계획에는 연안 생태도시 구축, 연안오염물질 감소, 제도적 장치 개발, 모니터링 계획, 예산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연안역 통합관리의 성공적인 출발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조뿐만 아니라 지역의 NGO와의 조화로운 모색이 필요하다. 연안관리의 해역분류 중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된 마산만 지역에는 마산만 살리기 시민연합이 조성되어 과학적인 정보의 제공과 지역 특수성에 부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이 진행됨으로써 성공적인 연안통합관리의 실행이 가능해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