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rn Coastal Area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4초

기후변화에 따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산란장 환경 변화 (Changes in the Spawning Ground Environment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due to Climate Change)

  • 김윤하;정해근;이충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27-143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spawning ground are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To estimate long term changes in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of the common squid, water temperature at 50 m deep that can be inferred from sea surface temperature (SST) based on both NOAA/AVHRR (1981.07-2002.12) and MODIS/AQUA (2003.01-2009.12) ocean color data was analyzed. In addition, five climate indices, Arctic Oscillation Index (AO), Siberian High Index (SH), Aleutian Low Pressure Index (ALP), East Asia Winter Monsoon Index (EAWM)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which are the main indicators of climate chang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were us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and climate indic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atch of common squid throughout four decad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 and EAWM. Especially, PD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39) a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8).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O and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46) as well 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2). Temporally, the area of the winter spawning gr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n the 1980s was smaller than those areas in the 1990s and 2000s, because the area was disconnected with the western coastal spawning ground of Japan in the 1980s, while the area had been made wider and more continuous from the Korea strait to the western coastal water of Honshu in the 1990s and 2000s.

울산 연안 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공간 변동 및 저서건강도 평가 (Spatio-temporal Variation and Evaluation of Benthic Healthiness of Macro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on the Coast of Ulsan)

  • 정봉근;신현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223-235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enthic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on the coast of Ulsan, located on the southern East Sea of Ko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at 15 stations, four times seasonally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2016. From the coast to the outer sea, surface sediments turned into fine grained sediments. There were complex coarse-grained sedimentary facies in various forms in the coastal zones while those with mud facies were found in the offshore zone. Organic matter content (LOI) and sulfide amount (AVS) recorded extremely high values, and increased from the coast to the outer sea, showing a similar trend to mud content with depth.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revealed a mean density of $525ind./m^2$, and the total species number of species was 84. The major dominant polychaetous species were Magelona japonica, Lumbrineris longifolia and Heteromastus filiformis throughout the four seasons. Magelona japonica was concentrated predominantly in shallow coastal areas, but was present in all the regions of the survey area. Lumbrineris longifolia showed higher density in offshore regions more than 30 m deep, whereas H. filiformis showed higher density in coastal areas less than 30 m in depth.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ecological areas according to species composition, such as the northern coastal area between Ulsan PortOnsan Port, the southern area around Hoeya River and the outer sea area. Benthic environments in the study area, as determined by AMBI and BPI index, maintained a healthy condition in all four seasons with the AMBI at a level above GOOD and BPI at a level above FAIR. As organic matter accumulation continues to take place in the Ulsan coastal area, it is essential that detailed research activities continue to be carried out and ongoing monitoring be maintained.

황해 남동해역에서의 열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Budget in the South 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 이현철;안희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7-227
    • /
    • 1987
  • 황해동남해역 (33$^{\circ}$N-36$^{\circ}$N, 120$^{\circ}$E)의 해면 열수지를 기상자료와 해양자료 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현열, 증발열, 장파복사열을 모두 년변화를 하고 겨울철에 는 제주해협을 따라 강한 온도 전선을 나타내지만 여름철에는 동쪽 연안해역을 향해 감소하는 경향을 가진다. 전해역은 교환열량의 년변화 및 분포의 특징에 따라 중앙해역, 연안해역, 남부해역으로 나뉘어진다. 남부해역의 총교환열량의 년변화 진 폭은 중앙해역, 연안해역에 비하여 매우 크다. 대체적으로 조사해역은 증발열과 현열에 의해 가열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경기만 남부 해역의 저서다모류 군집 (Benthic Polychate Community in the Southern Area of Kyeonggi Bay, Korea)

  • 신현출;강성길;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4-172
    • /
    • 1992
  • 본 연구는 경기만 남부해역에 형성된 저서다모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85년에 아산만에서 , 1987년에 이북 지역에서, 1988-1989년에 대난지도 에서 아산만까지, 1992년에 덕적도 남족해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다모류는 전체 저서동물중 개체수의 57.4%를 점하는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 총 124종이 채집되었 으며,는가 서식밀도는 211 indiv.m/SUP -2/이었다. 우점하는 다모류는 Prionospio sp. (28.8%), followed by Nephtys polybranchia (6.0%), Tharyx sp. (4.8%) Stermaspis scutata (4.4%), Lumbrineris longifolia (3.9%)등이다. 대체로 연안에 따라 이북 앞 아산만 남양만 입구 등의 지역에서 출현 종 수 및 서식밀도가 높고, 외해의 수로지역 에서 낮았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지역은 아산만에서부터 외해로 향하면서 순차적으로 5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아산만 및 남양만 입구에는 Tharyx-Chone 군집, 아산만 의 입구에서 대난지도까지에는 Sternaspis-Heteromastus 군집, 대난지도에서 외해쪽의 수로지역에는 Hemipodus 군집, 이북 앞 연안지역에는 Lumbrineris 군집, 그리고 이북 남쪽 연안의 한 정점에서 Prionospio 군집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었다. Tharyx Chone 군집은 출현종이 75종으로 많고,Prionospio군비은 Prionospio sp.의 극우점으로 서식밀도가 3,695 indiv.m$^{-2}$ 으로 매우 높다 Hemipodus 군집은 서식밀도는 매우 낮으나 차지하는 면적이 가장 넓다.경기만의 남부해역은 북부해역에 비해 출현종수는 많으며 서식밀도는 낮았다.그러나 북부해역의 수로지역과는 우점종이 서로 유사하다.

  • PDF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상호;최현용;손영태;권효근;김영곤;양재삼;정해진;김종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38-150
    • /
    • 2003
  • 만경강과 동진강이 담수를 유출하는 서해중부 연안에서 41,000 ha의 하구 천해역을 간척하기 위해 33 km의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고 있다. 이 연안역에 담수의 주 공급원은 방조제 북쪽에 위치하는 금강이다 현재 고군산군도 와 연결되고 있는 방조제는 이 해역을 세 지역으로 나누는데 방조제의 북서, 남서 그리고 동부(새만금) 지역이고, 새만금 지역 해수는 북방조제에 한 곳과 남방조제에 두 곳인 미축조 구간을 통해 교환된다. 이 연안역에서 저염수와 관련된 하계순환을 진단하기 위해 1998년과 1999년에 수온과 염분의 분포와 구조를 관측하였다. 북방조제 외측지역의 표층에서는 저염수의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는데, 금강하구 입구에서 북서쪽으로 60 km까지 확장하고 외해수와 경계지어지는 강한 풀룸전선을 형성한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염분분포는 두 강물이 병합되고 있으며 저염수가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쪽으로 편향되었음을 보여준다. 남방조제 외측지역 표층에서는 곰소만으로부터 북쪽으로 확장하는 다른 저염수의 작은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저염수 분포와 전선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새만금 방조제 주변에 반시계방향의 연안수 순환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방조제 내측에서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으로 유출되는 하구 수와 남쪽 방조제 미축조 구간을 통하여 외해에서 유입하는 해수로 구성된다. 하지만 방조제 축조가 완성된 후에는 만경강과 동진강 담수 유출이 인위적이고 직접적으로 남방조제 외측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방조제 주변 연안역 순환형태는 변화될 것이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한국 남해안 전선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Coastal Front by Numerical Simulat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배상완;김동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141-1149
    • /
    • 2011
  • The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was simulated to understand coastal sea front of forma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this study, we used to concept of stratification factor, to realize seasonal distribution of stratification coefficient which of seasonal residual flow, considered with, tide, wind and density effect. Tidal current tends to flow westward during the flood and eastward during ebb. The current by the wind stress showed to be much stronger the coastal than the offshore area in the surface layer. And the current by the horizontal gradient of water density showed to be relatively weak in the coastal area, with little seasonal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 flow in the offshore area showed results similar to tha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he stratification factor (SHv) was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total flow of tide, wind and density effect. In summer, the calculated SHv distribution ranged from 2.0 to 2.5, similar to that of the coastal sea front. The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showed to be strong during the winter, when the vertical stratification is weak.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gradient became weak in summer, during which vertical stratification is strong. Therefore, it is presume that the strength of vertical stratification and the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affect the position of the coastal sea front.

한국 남해안 관광개발의 잠재력과 전략 (Potential and Strategy on Tourism Development of the Southern Costal Area in Korean Peninsular)

  • 이정록;유성종;안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10-42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의 관광개발 잠재력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관광개발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의 남해안은 온화한 기후조건, 수려한 해상경관, 독특한 도서문화 등을 보유하여 다양한 관광활동에 최적의 여건을 제공하고 있고, 한중일을 연결하는 해상관광항로의 결절적 위치성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해안은 내륙의 국립공원과 제주도 및 강원도 중심의 관광개발정책 등에 의해 효율적인 관광개발이 추진되지 못했다. 그러나 동북아 정제권에서 관광수요의 증가, 해양관광 선호하는 관광객의 급증, 남해안지역에 대한 접근성 개선, 수도권의 대안축으로 남해안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최근에는 남해안의 개발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남해안의 효율적인 관광개발을 위해서는 연안지역 개발을 규제하는 각종 제도의 완화, 남해안 관광을 위한 특별법의 제정, 동북아 해상관광루의 설정, 남해안 연안여객항로의 개설, 2012년 여수 세계박람회의 유치 등의 정책과제가 장단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Hydraulics of a two-layer rotating flow; Application to the Korea Strait

  • Cho, Yang-Ki;Kim, Kuh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9-12
    • /
    • 1995
  • The Korea Strait becomes deeper than 200 m from south to north in general except coastal area, whereas its southern part is shallower than 125 m except for a deep trough (Fig.1). The flow in the Korea Strait could be simplified as two layers (Isobe, 1995); the Tsushima Warm Water in the upper layer and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KSBCW) in the lower layer (Fig.2). (omitted)

  • PDF

濟州道周圍 및 南海沿岸 堆積物中의 重金屬含量 (HEAVY METAL CONTINT IN THE SEDIMENTS FROM THE CONTINENTAL SHELF AROUND JEJU ISLAND AND SOUTHERN COASTAL AREA, KOREA)

  • 석봉출;박병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42
    • /
    • 1983
  • 濟州道周圍 大陸棚地域과 韓半島 南海沿岸에서 總 39個의 海底堆積物中의 重金屬含量이 測定되었다. 濟州道周圍의 平均含量은 Zn 59.1ppm, Mn 362.6ppm, Cr 63.8ppmiouPb 15-7ppm, Co 10.0ppm, Ni 28.9ppm, Cu 10.5ppm, Fe 2.7%로 나타났다. 南海沿岸에서는 Zn 79.5ppm, Mn 384ppm, Pb 8.6ppm, Ni 17.8ppm, Cu 23.2ppm, Fe 1.59%로 나타났다. 濟州道周圍에서는 細粒質堆積物이 分布하는 北西部가 기타 地域에 比해 높다. 反面 南海沿岸에서는 地域的 傾向成이 나타나지 않지만 馬山灣과 鎭海灣은 周圍隣近陸上의 産業活動에 의한 影響으로 他地域에 比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馬山灣과 鎭海內灣에서 Zn과 cu의 高含量을 除外 하고는 全體的으로 世界沿岸堆積物의 平均치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含量이다. 각 表示成分間의 相關性은 濟州道周圍에서 Zn-Cu, Ni-Cu, Fe-cu, Cr-Cu, Co-Zn, Ni-Zn, Cr-Zn, Ni-Co, Fe-Co, Cr-Co, Fe-Ni, Cr-Ni, Cr-Fe간에 密集한 正의 相關性이 나타나며, Pb, Mn을 除外한 全元元素成分이 粒度와 良好한 正의 相關性을 나타내 粒子가 細立일수록 元素의 吸着率이 크다. 南海沿岸에서는 Cu-Zn, Cu-ni 및 Ni-Mn를 除外하고는 相關關係가 不良하다. 이는 堆積環境이 地域別로 다르고 또한 陸上의 人爲的 活動에 따른 流入含量의 差異에서 온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