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 and West coast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31초

지오텍스타일 봉합 인장강도와 지반의 응력증가분 해석 (Seam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Mat and Stress Increment Analysis)

  • 채유미;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3-79
    • /
    • 2018
  • 서해안과 남해안 그리고, 하천유역에는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산업시설 공간과 농경지 확보를 위해 토목섬유매트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광대한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초기단계로 장비 진입을 위해 토목섬유매트를 포설하고 접합하여 넓은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킨다. 토목섬유매트 봉합강도는 원단 인장강도의 50% 정도만 힘을 발휘하고 있어 장비주행성에 융기와 침하 등 지지력 저하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토목섬유매트 봉합기술들을 분석하고 각 방법들의 인장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목섬유매트의 봉합강도를 증가시켰을 때, 상재하중에 의한 지반내의 응력증가분이 감소하는 경향을 수치해석으로 확인하였다. 봉합강도를 60, 70, 80%으로 향상시켰을 때 토목섬유에 의한 지반의 지지력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연안산 권패류의 tetramine 함량 (Tetramine Contents of Sea Snails from the Korean Coast)

  • 목종수;손광태;이태식;오은경;황혜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63-67
    • /
    • 2007
  • To prevent food poisoning after ingesting sea snails containing tetramine we measured the tetramine $[(CH_3){_4}N^+]$ contents of sea snails from the Korean coast using both ion chromatography (IC) and spectrometry. In total, 177 sea snail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Pohang, 19 species, 95 individuals), the west (Gunsan, 4 species, 46 individuals), and the south (Tongyeong, 8 species, 36 individuals) coasts. The working solution of tetramine standard for IC and the tetramine extract from the salivary gland of Neptunea arthritica cumingii were very stable for one month at $18^{\circ}C,\;4^{\circ}C$, and room temperature. The tetramine content was high in the salivary gland of Heptunea species such as N. intersculpta $(9,813{\mu}g/g)$, N. arthritica $(8,240{\mu}g/g)$, N. arthritica cumingii $(6,967{\mu}g/g)$, N. eulimata $(6,946{\mu}g/g)$, N. constricta $(5,965{\mu}g/g)$, and N, amianta $(4,502{\mu}g/g)$. The mid-gut gland and muscle contained small amounts of tetramine. The tetramine content was highest in the autumn, but no clear regi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인공구조물에 의한 대항리 갯벌의 장기 지형변화 (Effect of Artificial Structures on the Long-Term Topographic Changes at Daehang-ri Intertidal Flat, the West Coast of Korea)

  • 최태진;정의영;양영진;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2호
    • /
    • pp.75-82
    • /
    • 2020
  • The Daehang-ri intertidal flat located the just outside of the Saemangeum dike has been reported to show new-developing flats. Based on the topographic surveys of 21 times from 2000 to 2016 by a leveling method every year, this site clearly shows variation of deposition/erosion in time and space. Deposition has consistently occurred at the rate of +3.75 cm per year at the area along the dike (Zone 1), and this tidal flat is expanding and prograding seaward. In the area of far from the dike (Zone 2), on the other hand, erosion prevails at the rate of -2.38 cm per year, and this zone tends to retreat landward. However, the erosional trend of Zone 2 has slightly slowed down since 2014. As a whole from 2000 to 2016, net deposition is recorded over 3.0 m at the upper beach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dike (Zone 1), while erosion up to 1.0 m in Zone 2. In conclusion, the results at the Daehang-ri intertidal flat clearly revealed that its topographic changes were induced by the artificial structures and water masses through its sluice gate. Counter-clockwise gyre newly created after the sea dikes construction probably results in relocating of sediment outside the dike 1 by transportation of materials eroded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long the coast.

천문동 자생지 환경 및 생육 특성 (Environm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 김대향;박춘봉;강찬호;김종엽;임주락;최정식;최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2-215
    • /
    • 2003
  • 한약재 및 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멸종위험에까지 처해있는 천문동의 체계적 보호 및 보존을 위하여 자생지 분포특성조사와 유전자원을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충남 이남)과 남해안, 동해안(경북 이남)의 45개 지역을 중심으로 유전자원의 분포특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생이 확인된 26지역으로부터 천문동 자생종을 수집하였다. 2. 자생지분포 조사 결과 섬을 제외한 육지부 천문동 자생지는 북위 $36^{\circ}15'$ (충남 보령군 남포면 월전리 죽도) 이남의 서해안으로부터 동경 $128^{\circ}02'$ (경남 사천시 실안동 강포) 이서의 남해안이었다. 3. 천문동은 해안선에 주로 분포하고, 자생지 주요 식생은 소나무가 우점 하였다. 4.자생지 천문동의 생육상황은 햇볕의 투과정도가 좋을수록 지하부 생장량이 많았다.

풍쇄 슬래그를 이용한 샌드매트 대체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Replacing Material for Sand Mat by Using Precious Slag Ball)

  • 신은철;이운현;유정훈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55-62
    • /
    • 2009
  • 최근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 주로 분포되고 있는 연약지반에 대한 건설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은 지반의 강도가 약하고, 압축성이 강해서 구조물을 축조하기 전에 반드시 표층안정처리, 압밀촉진, 치환공법 등의 지반개량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표층처리공법은 샌드매트의 포설을 이용한 처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샌드매트공법에 요구되는 모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샌드매트 대체제로서 풍쇄 슬래그의 사용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본 물성시험, 실내 통수능 시험, 침하특성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 PDF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recruited on artificial substrates in the Korean coast

  • Ye Ju Lee;Taekjun Lee;Jeongho Kim;Dong Gun Kim;Sook Shin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87-98
    • /
    • 2022
  •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south, and east coasts of Korea and to identify the indicator species representing each region. Acrylic attachment plate sets were installed in Jeongok, Mokpo, Tongyeong, Yangpo, and Gangreung, and the invertebrate fauna thus captured were identified. Monitoring was performed in each area from March 2017 to May 2018. Water depth, temperature, and salinity at each loca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influence of abiotic factors on the community structure. As a result, the mean depth of plates installed and the water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area. A total of 32 invertebrate species were identified in all localities, a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es compositions was found between Mokpo and Gangreung. The community structur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 change in the plate depth, and a larger number of indicator species appeared on shallower plates. Finally, we determin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invertebrates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the Korean ocean by characterizing the dominant invertebrate taxa and the indicator species at each site.

조석-해일 비선형성과 관련된 태풍-해일 특성 (Typhoon-surg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with the Tide-surge Interaction)

  • 강주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25-37
    • /
    • 2015
  • 태풍발생시기의 조석-해일 비선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Chi-square test를 통한 정량적 해석결과 목포를 비롯한 서남해안 지역에서 비선형성이 가장 우세하였고 서해안과 남동해안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태풍-해일 발생패턴을 첨두형과 지속형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는데 조석-해일 비선형성은 지속형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서해안의 경우 저조시 해일발생빈도가 높지 않게 나타나는 이유는 남해안경로 태풍에 의한 음해일 발생이 많은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서해안경로 태풍에 대해서는 태풍통과 이후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해일 비선형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남동해안의 경우에는 첨두형 태풍이 잦아 비선형효과에 의한 저조시 해일발생빈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남해안경로 태풍의 경우 통과인근지역에서는 고조시에도 대규모 해일발생이 가능하므로 태풍-해일에 의한 범람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의 확산(擴散) 유형(類型) (Dispersal Pattern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 Margarodidae), in Korea)

  • 정영진;박영석;전태수;신상철;박지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06-309
    • /
    • 2000
  • 우리나라 해안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해송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솔껍질깍지벌레는 1963년 전남 고흥에서 최초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계속 확산되어 현재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으로 분포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1983년부터 1999년까지 임업연구원에서 수행한 발생선단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확산방향을 최초 발생지로부터 서해안쪽으로의 북향, 내륙지역으로의 동북향, 남해안쪽으로의 동향 등 3방향으로 구분하여 확산 유형을 분석하였다. 내륙으로의 확산은 해송의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연평균 약 4.3km의 확산속도를 보였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해송의 밀도가 낮아지는 곳에서는 속도가 매우 느려졌다. 해송의 밀도가 높은 서해안쪽 북향과 남해안쪽 동향은 확산속도가 각각 연평균 5.9, 3.3km로서 북향으로의 확산속도가 가장 높았다.

  • PDF

Divers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Fungal Endophytes in Five Halophytes from the Buan Salt Marsh

  • Khalmuratova, Irina;Choi, Doo-Ho;Yoon, Hyeok-Jun;Yoon, Tae-Myung;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408-418
    • /
    • 2021
  • The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of fungal endophytes that are associated with five halophytic plant species (Phragmites australis, Suaeda australis, Limonium tetragonum, Suaeda glauca Bunge, and Suaeda maritima) growing in the Buan salt marsh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have been explored. About 188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se plant samples' roots and were then studied with the us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ITS1-5.8S-ITS2). The endophytic fungal strains belonged to 33 genera. Alternaria (18%) and Fusarium (12.8%), of the classes Dothideomycetes and Sordariomycetes, were most rampant in the coastal salt marsh plants. There was a higher diversity in fungal endophytes that are isolated from S. glauca Bunge than in isolates from other coastal salt marsh plants. Plant growth-promoting experiments with the use of Waito-C rice seedlings show that some of the fungal strains could encourage a more efficient growth than others. Furthermore, gibberellins (GAs) GA1, GA3, and GA9 were seen in the Sa-1-4-3 isolate (Acrostalagmus luteoalbus) culture filtrate with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between 1991 and 2007)

  • 이병두;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5-20
    • /
    • 2009
  •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시 군 구 단위고 산불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 및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부터 2007년까지 17년간 발생건수, 연소면적, 확산속도, 건당 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특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GIS를 이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의 공간적 특성 변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전국 시 군 구는 산불위험성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도시와 인근 지역은 산불위험이 낮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나, 강원도 영동지방 4개 시 군은 가장 위험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그 뒤를 이어 남, 서해안에 인접한 시 군 구의 산불위험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