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 Korean Medicine

검색결과 1,473건 처리시간 0.029초

저산소에 노출된 참돔(Pagrus major)의 개체 크기에 따른 내성 비교 (Comparison of tolerance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hypoxia with body size)

  • 한지도;김흥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79-388
    • /
    • 2023
  • 본 연구는 수온 24℃에서 체중 0.6-786 g 범위의 참돔 52개체의 SMR을 측정한 후 점진적인 저산소 조건에 노출시켜서 Scrit를 측정하여 개체 크기에 따른 저산소 내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SMR (mg O2 kg-1hr-1)은 SMR=351.59·W-0.195 (r2=0.934, p<0.001)의 관계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고, 체중(W)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참돔의 체중과 Scrit 사이에는 Scrit (%)=2.316·logW+17.805 (r2=0.682, p<0.001)의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체중 0.6-786 g인 개체의 Scrit는 17.3-24.4% 범위에서 개체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여 작은 개체가 저산소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에서 최초로 분리된 갈고리벌레과 Cymothoids의 특성 연구 (First report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Cymothoids isolated from cultured flathead grey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 서한길;오명주;조미영;한현자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3-408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양식 가숭어에서 최초로 분리된 등각류는 Nerocila japonica와 가장 근연한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형태학적 분류 등 명확한 종 동정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직접 노출에 의한 구충 효과를 확인한 결과 trichlorfon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eptobasidium sp.에 의한 구실잣밤나무 고약병의 분자학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Molecular Diversity in Castanopsis sieboldii with Felt Disease Caused by Septobasidium sp.)

  • 이건우;서상태;차병진;한상섭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20-424
    • /
    • 2023
  • 2020년 제주도 동백동산 내 구실잣밤나무 수피에 고약병과 관련된 Septobasidium sp.가 발견되었다. 분리한 균주는 습실 처리하여 새로 생성된 균사에 대한 genomic DNA를 추출한 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및 small subunit rDNA 유전자에 대해 염기서열을 밝혔으며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통해 균주들간의 분자학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이 새로운 Septobasidium sp.은 기존에 알려진 고약병들과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으로 다르게 나타나 새로운 종으로 보고한다. 또한 이 고약병은 관찰 당시 주변의 다른 수목들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오직 구실잣밤 나무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으로 기주특이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Methanol extract of Elsholtzia fruticosa promotes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Deumaya Shrestha;Eunbin Kim;Krishna K. Shrestha;Sung-Suk Suh;Sung-Hak Kim;Jong Bae Se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1호
    • /
    • pp.204-218
    • /
    • 2024
  • Elsholtzia fruticosa (EF) is present in tropical regions throughout South Asian countries as well as the Himalayas. Although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digestive, respiratory, and inflammatory issues, its effect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s unknow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EF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ell differentiation was assess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oil-red O stain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and C/EBPα,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to provide insight into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mechanis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F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ith elevated lipid accumulation occurring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apparent cytotoxicity. EF enhance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FABP4, adiponectin, and FA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The effect of EF was more pronounced during the early and middle stages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Treatment with EF decreased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mRNA and protein levels, while increasing C/EBPα and PPARγ expression. Treatment with EF resulted in the upregulation of cyclin E and CDK2 gene expression within 24 h, followed by a decrease at 48 h, demonstrating the early-stage impact of EF. A concomitant increase in cyclin-D1 levels was observed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indicating that EF modulates lipogenic and adipogenic genes through intricate mechanisms involving CHOP and cell cycle pathways. In summary, EF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possibly through CHOP and cell cycle-dependent mechanisms.

간호사의 수면의 질, 주간졸음 및 간호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 김미성;김장락;박기수;강영실;최마이클승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4호
    • /
    • pp.229-242
    • /
    • 2013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교대근무가 수면의 질, 근무중 졸리움, 그리고 간호 업무중 인지한 오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C시에 소재한 300병상이상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0명이었으나 조사 거부자 및 기재 누락이 많은 응답이 많은 사람을 제외하고 209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5월 2일부터 5월 20일 사이 자기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로 이루어졌다. 수면의 질은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PSQI-K)도구, 주간졸리움은 Epworth Sleepiness Scale(ESS)도구,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의 수면의 질은 단순 분석에서는 낮번 고정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나빴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그리고 근무 특성을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교차비 1.92, 95% 신뢰구간 0.58-6.37).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의 근무중 졸리움 정도는 단순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공히 낮번 고정 간호사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는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이 단순 분석에서는 낮번 고정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특성, 그리고 수면의 질 및 주간졸리움의 정도를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교차비 1.26, 95% 신뢰구간 0.38-4.21). 우울감과 근무중 졸리움 정도는 인지한 오류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우울감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에서 교차비가 3.31(95% 신뢰구간, 1.11-9.84)이었고, 근무중 졸리움정도가 1점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1.18(95% 신뢰구간, 1.07-1.30)이었다. 결론적으로 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수면의 질, 근무중 졸리움, 그리고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과는 독립적인 연관성은 없었으나, 근무중 졸리움은 인지한 오류 경험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모자 보건 센터에서의 고위험 산모 의뢰 기준의 타당성 (Validity of Referral of High Risk Pregnancy in MCH Center)

  • 김귀연;박정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146-152
    • /
    • 1989
  • 대구시 남구 보건소 모자 보건 센터의 조산원들이 고위험 임부로 판정하여 타의료 기관으로 의뢰한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한지를 알아 보기 위해 1985년 4월 1일에서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분만을 위해 모자 보건 센터를 방문한 임부 6,017명을 대상으로 센터에 도착하는 즉시 본 연구를 위한 전임 요원이 일반적 특성과 산과력을 면접 조사하고 임신 결과를 추적 조사하였다.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5,820명 가운데 704명(12.1%)이 의뢰되었는데 분만 결과가 불량(사산, 저체중아, 신생아 사망)했던 경우는 의뢰된 임부 가운데 4.4%로 센터에서 분만한 임부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1) 조산원들의 임상적 소견으로 의뢰 여부를 판정한 것이 분만 결과와의 일치율은 86.5%였다. 의뢰 이유는 조기 파수(46.5%)와 아두 골반 불균형(20.2%)이 가장 많았는데 이들도 제왕 절개 분만율이 각각 10.1%, 17.6%로 대부분 정상아를 분만하였다. 임산 소견을 제외한 임부의 특성과 산과력으로 임신 결과를 판별 분석한 결과 재태기간이 가장 높은 판별 계수(0.88)를 보였고 그 다음이 출산 회수(0.37), 임부의 교육 수준(0.30)의 순이었으며 이 세가지 요인으로 임신 결과를 옳게 판정할 수 있는 비율이 65.6%로 조산원들이 판단하 일치율보다 낮았다. 조산원들이 임상적 경험에 의해 고위험 산모를 판정하고 있는 것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나 그들의 판정 기준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결과와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력을 모두 독립 변수로 하고 불량한 임신결과에 꼭 필요한 제왕 절개 분만, 임신 및 분만의 합병증을 포함하여 종속 변수로 한 판별 분석을 한다면 우리 나라 모자 보건센터에 적합한 위험치 사정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건강보험중 구강요양급여의 청구 및 심사에 관한 치과의사의 견해 (Dentists' Opinions in The Dental Field of Present Health Insurance Claim and Review)

  • 장용석;안용우;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215-230
    • /
    • 2005
  • 이 조사논문은 건강보험 중 구강요양급여의 청구 및 심사등과 관련하여 일선 개원치의들의 견해를 조사하고, 보험관련정책수립에 개원치의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코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조사는 2004년 2월경에 부산광역시 경남일대에 개원하고 있는 1,465명의 개원치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중에서 406명으로부터 답변을 얻었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청구업무와 관련된사항 : 보험청구의 담당은 대체로 치과위생사(간호조무사)와 치과의사의 직접청구방식이 많았다. 대행청구는 그 비중이 전체에서 20%미만을 차지했다. 2.보험강좌의 참여도 : 보험강좌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이의신청유무 : 보험청구에 관련한 이의신청 유무는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4. 건강보험 심사규정에 관한 개원치의들의 견해 : 현재의 진료비 심사규정 지침에 대한 개원치의들의 생각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심사기준이 난해하고 부당한 삭감이 많은 것 같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관련한 사항 : 약 70%의 개원치의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자율지도라는 명분하에 이루어지는 대화방식에 불만을 표시했다. 6. 진료비 영수증 발급에 대한 개원치의들의 입장 : 약 70%의 개원치의들은 진료비 영수증 발급에 여려움을 겪고 있었다. 7.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분야의 급여적용에 관한 사항 : 대다수의 개원치의들은 전악 스켈링처치와 치면열구전색처치 및 불소도포와 같은 예방치료에 대해서는 급여적용을 희망하였다. 노인틀니, 귀금속을 제외한 보철치료, 광중합레진치료 등에 관하여는 비급여적용을 희망하였다.

제왕절개 분만율의 지역간 변이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Regional Variations in the Cesarean Section Rate and It's Determinants in Korea)

  • 김혜경;이정운;박강원;문옥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3호
    • /
    • pp.312-329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esarean section rate in Korea and analyze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health resources which affect regional variation in the rate. Samples were drawn from the record of vaginal and cesarean section deliveries based upon insurance claim bills which have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 for the first three months, January through March, 1991.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 It was found that. cesarean section rate was increasing rapidly up to 23.1% in 1991. Cesarean section per 10 thousand insured people was 4.8 and the number of cesarean section per 10 thousand insured eligible($15{\sim}49$ years old) female was 7.6. The fee for normal delivery was 109,489 won and that for cesarean section was 390,024 won. The average days of hospitalization in normal delivery was 2.3 days, and those in cesarean section was 7.6 days. On the average cesarean section has a longer of stay as much as by 4.3 days and cost 3.6 times more than normal deliveries. Cesarean section rates vary among medical facilities 19.8% at clinics 37.6% in small-scale hospitals, and 29.1% in general hospitals. The regional variation of cesarean section rates was also fairly prominent. The South Cheju Gun has the highest rate of cesarean section, 56.2%. Meanwhile no cesarean section cases has been reported in Sunchang Gun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variation is noted among provinces. The rate for Cheju province has been 3.4 times higher than that for Chunnam. The number of cesarean section per 10 thousand insured people vary greatly among regions, too.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among various geographic units in terms of average length of stay, average cost, number of obsretricians and number of be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explaining the regional variance of various cesarean section rates : In the urban areas, no significant explaining variables were noted except the number of beds for the dependent variable of cesarean section cases per 10 thousand insured eligible females. The smaller the number of bed, the more cases of cesarean section was noted for an urban area. The is mostly because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is higher in medium-size hospitals than in large general hospitals. In the rural areas, the factor of education has been found significant for all three deplendent variables.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is most likely to rise. An income variable measured by the amount of monthly insurance contribution has been identified a powerful predictor in explaining the valiance of cesarean section rates. The same has been noted for the number of obstetricians. Similar findings are observed for the country as a whole. The income level has veen found as the most powerful explaining factor in the regional variance of cesarean section rates. In general the rate is higher in the urban areas, and lower in the area with more small hospitals. As this is the initial attempt to identify the factors relevant to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 rates of cesarean section, more elaborated study is urgently required.

  • PDF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atisfaction level with dental services)

  • 고은정;이용환;허승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93-411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patients with dental servic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atients at three different dental clinic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31,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In regar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nvestigated, the women(61.5%) out-numbered the men. By age,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0 and down made up the largest age group(47.0%). By academic background, the greatest group received junior-college education(54.0%). By occupation, the company employees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50.5%). By income, the greatest group earned an income of 2 to 2.99 million won(75.0%). Second,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treatment and the reason of choosing the dental clinics, the largest group(70.4%) chose the dental clinics by word of mouth or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Concerning the reason of dissatisfaction, the biggest group(72.7%) was unsatisfied with medical costs. As for the degree of explicit complaint, the greatest group(49.7%) sort of complained about what made them dissatisfied. Regarding the type of treatment, the biggest group(49.0%) received prosthodontic treatment. In relation to fear for dental treatment, the largest group(34.0%) feared receiving the treatment, and the biggest group(42.6%) did that due to the sound of machines. Third, satisfaction with services(0.762) had the closest correlation to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employees(0.735), satisfaction with dentists(0.644) and satisfaction with convenient facilities (0.579). Fourth, the factors that affected overall satisfaction level were gender, the reason of choosing the dental clinic, satisfaction with dentist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satisfaction with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convenient facilities. The patients who were better satisfied with services(p<0.001), who were more contented with dentists(p<0.001), who chose the dental clinics by the recommendation of others(p<0.01), who were male(p<0.05), who were more gratified with employees(p<0.05) and who were more contented with convenient facilities expressed better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dental institutions should keep track of the expectations of patients to prepare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marketing and human-resources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circumstances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patients. Specifically, it's required to heighten the satisfaction level of patients with dentists.

쪽 선발계통의 생육특성 및 색소함량 차이 (Difference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lorant Level in Two Breeding Lines of Persicaria tinctoria H. Gross)

  • 김성주;허북구;김관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9-214
    • /
    • 2012
  • 나주재래종과 새로이 선발된 나주2호의 지역별 재배시험 결과, 초장은 나주2호가 다소 컸으며, 분지수는 나주재래종이 나주2호 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엽면적은 나주2호가 더 넓었으며, 엽장폭비도 나주2호가 더 크게 나타나 둥근 잎 특성의 안정성을 보였다. 두 계통의 지상부 생중과 건중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부 전체에 대한 엽의 무게 비율은 나주2호가 더 높아 색소수율면에서 유리하였다. 인디고(indigo) 성분과 니람(泥藍) 함량은 나주2호가 나주재래종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실크로 생엽 이용 염색을 한 결과 청색을 더 많이 나타냈다. 따라서 엽 수량이 높고 색소 품질이 좋은 나주2호가 쪽 재배에 유리한 계통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