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 Coast

검색결과 1,10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연안의 월평균해면의 변화에 대하여 (On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 이석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24-33
    • /
    • 1967
  • 본고는 한국연안의 9개검조소 (울릉도, 묵호, 울산, 부산, 진해, 여수, 제주, 목포 및 인천등)의 최근의 월평균해면의 자료를 분석한 성과이다. 평균해면의 변화가 주로 기압 및 바람의 효과, 해수밀도의 변화, 하천유량의 변화 그리고 경도류의 역학적효과등에 기인한다는 것은 여러 해양학자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특히 근래에는 평균해면의 자료를 해황의 변동의 판단에 이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원래 해양관측은 다액의 경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동일해역을 자주 관측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비교적 용이한 해면의 관측을 통해 해황변동을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사실이라 생각된다. 과거 한국근해의 평균해면에 대한 연구조사는 1930년 소창신길(Ogura,S.)가 원산, 부산, 군산, 인천 및 진남포등의 평균해면의 월편차를 산출발표한것과 금1967년 가을 Listzin, E.가 "도해의 평균해면의 변화"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원산 및 부산의 평균해면을 논한 것뿐이다. 그리고 Miyazaki, M.는 1954년 "일본연안의 평균해면의 계절변화"를 연구발표한바 있다. 앞으로 한국연해의 해황판단 에 평균해면자료를 이용시도함에 앞서 우선 평균해면에 미치는 요소를 특히 기압의 영향과 해수밀도의 변화의 효과를 고찰해 보기로 한다.

  • PDF

한국산 갈조식물 지충이의 지리적 형태변이 (Geographical Variations of Sargassum thunbergii Morphology in Korea)

  • 김상일;오윤식;원남일;박상률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53-362
    • /
    • 2014
  • 이번 연구는 한국산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확인하고, 형태변이에 따른 품종의 구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동해, 서해와 남해안에 분포하는 지충이 개체군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개체가 가장 성숙한 시기인 봄철에 채집하였다. 지충이의 관찰대상 형질은 부착기, 줄기의 길이와 직경, 체장, 중심가지의 직경, 마디간격, 측지의 길이와 직경, 잎의 길이와 폭 및 두께, 기낭의 길이와 직경, 기낭 자루와 기낭 돌기의 길이, 생식기탁의 길이와 직경, 질감이었다. 서해안의 지충이는 엽체가 짧고 가늘며, 마디간격이 넓어서 성긴 느낌이고 질감이 부드러워 다른 두 해역의 지충이와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동해안의 지충이는 체장이 서해안의 것과 비슷하지만 중심가지와 측지가 굵어서 질감이 거칠고, 측지가 없거나 매우 짧은 것도 있으며, 잎과 기낭이 다른 해역에 비해 컸다. 남해안의 지충이는 체장과 측지가 가장 길고 잎과 기낭이 짧은 것이 특징이었다. 동해안 북부에서 채집된 개체들은 f. latifolium과 형질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다른 해역에서는 네 품종의 원기재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품종을 구분하는 식별형질은 한국산 지충이의 형태 변이에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육지에 따라 나타나는 지충이의 다양한 형태변이는 종 이하의 분류군으로 나누는 것보다는 생육지 환경조건에 따른 변이체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연근해 백상아리와 상어류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White Shark, Carcharodon carcharias and Other Sharks around the Korean Waters)

  • 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sup1호
    • /
    • pp.44-51
    • /
    • 2009
  • Greate white sharks, Carcharodon carcharias, are found in almost all the temperate and tropical coastal waters around the world. There have been 19 appearances reported in Korean coastal waters since June 1996 and seven shark attacks have been reported. There are about 400 species of sharks in the world, and 41 species of them have been found in Korean coastal waters. Thirteen of them belong to the Carcharhinidae family, and five of them belong to the Squalidae family. Of these sharks, 15 species of them live off of the East coast, 18 species live off of the West coast, and the other 40 species are distributed around Jeju Island and the South coast. Eleven species of them, including the great white shark, live off of all the coastal waters of Korea.

동해상의 월별 바람응력 및 바람응력컬 분포 (Monthly Wind Stress and Wind Stress Curl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Sea(Japan Sea))

  • 김철호;최병호
    • 물과 미래
    • /
    • 제19권3호
    • /
    • pp.239-248
    • /
    • 1986
  • Monthly wind stress, wind stress curl and volume transport stream functions are computed in the Eastern Sea(Japan Sea) based upon observed wind and atmospheric pressure data respectively. The presented two results show different distributios on locality and season but as common features the results reveal the northwesterly surface wind stress \ulcorner 새 the monsoon in winter, south to southwesterly wind stress \ulcorner 새 the southerly wind in summer and strond anticyclonic curl in the northern part on the Eastern Sea(Japan Sea) in winter. In the distributions obtained from the sea level atmospheric pressure data, the maximum value of the wind stress and of curls of small scales are shown off the southeast coast of Siberia and northeast coast of Korea. Volume transport distributions obtained from the Sverdrup relationship suggest that the strong northward boundary current can be formed along the northeast coast of Korea in winter and weak southward boundary current in summer.

  • PDF

한국연안 이상고수온과 저수온의 지속성 기간의 정량화 (Quantifying of the Persistent Period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at the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 서영상;황재동;장이현;강용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1
    • /
    • 2001
  • The magnitud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omalies at 13 coastal stations alo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ummer and winter for the past 29years (1969-1997) are more larger than those in the spring and autumn. The periods of positive SST anomalies (negative SST anomalies) longer than 1$^{\circ}C$ were 75(74.5) month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47.8(51.6) month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69.5(69.8) month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he past 348 months (1969-1997). The predominant periods of the low-pass filtered monthly SST anomalies are 3 years or 13 months, even another predominant period is 24 months. The spatial variation of SST anomalies were confined by regional sea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East Sea, the South Sea and the West Sea itself.

  • PDF

해안도달 거리에 따른 서해안 지역 염해 오손물의 분포특성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Contaminants in West Coast Region with the Distance from Sea)

  • 최남호;한상옥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0권6호
    • /
    • pp.276-280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contaminants in the west coast region, from Inchon to Yearsoo, of South Korea.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contaminants, we had measured the 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ESDD) with brush wiping method for thirteen month(from May 1999 to June 2000). Under the consideration on the measuring interval and method, normalization method was applied for the ESDD data. Besides the measurement, the chemical analysis (chromatograph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al property and the amount of specific ingredient, such as sodium, magnesium and chloride. From the result, we could get the representative value of contamination for each sit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contaminants with the distance from sea in the west coast.

  • PDF

Redescription of Desmotimmia mirabilis (Timm, 1961) (Nematoda, Desmoscolecida, Desmoscolecidae)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99-203
    • /
    • 2008
  • Desmotimmia mirabilis (Timm), a rarely known desmoscolecid nematode species,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Yellow Sea off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is is the third record of the species, and the first report from the northwestern Pacific region. Redescription is prepared on the basis of a male specimen from South Korea.

Nippoleucon projectus, a New Species of Leuconid Cumaceans (Cumacea, Leuconidae) from Korea

  • Lee, Chang-Mok;Lee, Kyung-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2호
    • /
    • pp.93-101
    • /
    • 2006
  • A new species of leuconid cumaceans, Nippoleucon projectus n. sp.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western shallow coast of the South Korea. This new specie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two previously recorded species (N. hinumensis and N. enoshimensis) in having the fifth abdominal segment prominently projected to rear at dorsal posterior portion and the carapace of the female with three spines on the frontal lobe.

Biogeographic pattern of four endemic Pyropi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including a new species, Pyropia retorta (Bangiaceae, Rhodophyta)

  • Kim, Sun-Mi;Choi, Han-Gu;Hwang, Mi-Sook;Kim, Hyung-Seop
    • ALGAE
    • /
    • 제33권1호
    • /
    • pp.55-68
    • /
    • 2018
  • Foliose species of the Bangiaceae (Porphyra s. l.) are very important in Korean fisheries, and their taxonomy and ecophysiology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or improving aquaculture techniques. Although 20 species of foliose Bangiales have been listed from the Korean coast, some of them remain uncertain and need further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ies with molecular comparison. In this study, we confirm the distribution of four Pyropia species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Pyropia kinositae, P. moriensis, P. onoi, and P. retorta sp. nov., based on morphology and rbcL sequence data. Although P. onoi was listed in North Korea in old floral works, its occurrence o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is first revealed in this study based on molecular data. P. kinositae and P. moriensis, which were originally described from Hokkaido, Japan, are first reported on the east coast of Korea in this study. Pyropia retorta sp. nov. and P. yezonesis share a similar thallus color and narrow spermatangial patche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d, and they have a sympatric distribution. However, P. retort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curled or twisted thalli and by molecular data. The biogeographic pattern of the two native species, P. kinositae and P. retorta, suggests that the east coast of Korea may have been a place of refugi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and then recolonized to the northern part of Japan through the restored East Korean Warm Current after the LGM.

(가칭) 해양경찰기본법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islation Directions of FRAMEWORK ACT ON KOREA COAST GUARD(tentative name))

  • Son, Yeong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96-407
    • /
    • 2014
  • 정부에서는 최근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의 구조조치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해양경찰청 해체를 2014년 5월 19일 발표했다. 그러나 정치계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 일각에서는 일본 등 주요 해양국가의 해양경찰기관과 비교해서 그 위상 저하로 인해 우리영해 해양주권 수호 및 해양경비 기능의 약화를 거론하고 있다. 1953년 창설된 해양경찰은 우리나라 해양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중 가장 체계적인 인프라구축 및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찰이 담당하고 있는 해양에서의 각종 임무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무조건적인 해체보다는 해양경찰 기능을 충실히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좀 더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대안으로 해양경찰 업무 전반을 반영할 수 있는 통합된 법률인 가칭 '해양경찰기본법'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해양경찰이 직면한 현 주소를 통해 해양경찰에 있어서의 가장 이상적인 법체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