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ce Translat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네트웍 관리를 위한 MIB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MIB for Network Management)

  • 유재우;김영철;김성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A호
    • /
    • pp.848-854
    • /
    • 2000
  • TMN에서의 네트웍 관리는 네트웍에 존재하는 운영체제나 통신 장비를 객체로 정의하고 관리한다. 이들 객체를 기술하기 위해 GDMO(Guidelines for the DefInition of Managed Objects)를 사용하고 있다. GDMO는 네트웍 관리를 위해 직접 이용되지 않으며, 객체지향 파라다임을 가지는 언어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또한 GDMO는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을 참조한다. 본 논문에서는 ASN.1 & GDMO 명세를 Managed object Instance Base(MIB)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지향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원시코드 생성기와는 달리 MIB 생성에 이용될 수있는 다양한 객체지향 언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ASN.1과 GDMO를 하나의 부라우져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합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 PDF

문서교환을 위한 ODIF 테이터 스트림 변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ODIF Data Stream Translation System for Document Interchange)

  • 정회경;김용호;김진수
    • 공학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1-80
    • /
    • 1997
  •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시스템들과 응용들 간의 문서 정보 교환을 위해 기존의 워드프로세서(wordprocessor) 화일을 국제 표준 형식인 ODIF(Open Document Interchange Format) 데이터 스트림(stream)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제 기본 표준인 ODA(Open Document Architecture)와 기능 표준인 FOD 26을 채택하며, 기존의 문서 화일은 보석글V 화일을 채택한다. 구현 단계에서 국제 표준의 기능 표준에 기본해 설계함으로써 국제 환경 속에서 문서 교환이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문서 정보통신 분야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시스템은 PC 환경에서 Windows, ODAC(ODA Consortium) 툴킷(toolkit)을 사용한다.

  • PDF

Towards a Student-centred Approach to Translation Teaching

  • Almanna, Ali;Lazim, Hashim
    • 비교문화연구
    • /
    • 제36권
    • /
    • pp.241-270
    • /
    • 2014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of teaching translation that concentrate on text-typologies and, as an alternative, to propose an eclectic multi-componential approach that involves a set of interdisciplinary skills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trainee translators' competences and skills. To this end, three approaches, namely a minimalist approach, a pre-transferring adjustment approach and a revision vs. editing approach are proposed to shift the focus of attention from teacher-centred approaches towards student-centred approaches. It has been shown that translator training programmes need to focus on improving the trainee translators' competences and skills, such as training them how to produce and select among the different versions they produce by themselves with justified confidence as quickly as they can (minimalist approach), adjust the original text semantically, syntactically and/or textually in a way that the source text supplely accommodates itself in the linguistic system of the target language (pre-transferring adjustment), and revise and edit others' translations. As the validity of the approach proposed relies partially on instructors' competences and skills in teaching translation, universities, particularly in the Arab world, need to invest in recruiting expert practitioners instead of depending mainly on bilingual teachers to teach translation.

기존 프로그래밍 원시코드에서 자바 바이트 코드로의 변환 (Program Translation from Conventional Programming Source to Java Bytecode)

  • Jeon-Geun Kang;Haeng-Kon Kim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8호
    • /
    • pp.963-980
    • /
    • 2002
  •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기존 시스템의 유지보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재공학은 역공학과 순공학을 이용하여 기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을 의미하며 기존 시스템에서의 컴퍼넌트들로부터 필요한 기능을 가져와 재구성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시져 언어에 의해 컴파일된 바이너리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서 웹 기반 자바 바이트 코드로 변환한다. 즉 바이너리-바이너리 단계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Pascal-L 에 의해 작성된 기존의 프로그램 언어를 Jasmin 이라는 어셈블리 코드로 먼저 번역하고 사용자 읽기 가능한 자바 바이트 코드 상태인 Jasmin 어셈블리가 실제 자바 코드로 변환된다. 이 시스템은 결국 기존의 원시코드가 번역기를 통해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 형식으로 실행된다. 이 번역과정은 먼저 주어진 바이너리코드에서 언어구조를 식별하는 과정과 변수 객체의 위치를 분석하고 초기화 하는 과정 그리고 주어진 바이너리 코드를 Jasmin 코드로의 매핑하는 단계등으로 구성된다.

  • PDF

CASE 자료 형식으로부터 CDIF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자동 생성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Program Generator for Transforming CASE Data Format into CDIF Format)

  • 배상현;남영광;신규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840-3847
    • /
    • 2000
  • 미국의 전자산업협회(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서는 1991년부터 CASE 도구간의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CDIF (CASE Data Interchange Format) 이라는 표준 형식을 제정해 오고 있다.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CDIF 형식으로 변환만 해주면 다른 CASE 도구에서 이를 자신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CASE 도구 공급자는 CDIF 형식으로 변환 혹은 CDIF 형식을 자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CASE 도구 공급자가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을 지정하여 주면 CDIF 형식을 지원하는 변환기의 소스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생성기를 개발하였다. 이 자동 생성기는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 저장형식에 대한 메타정보, CDIF 메타정보를 입력받아서 CDIF 문장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 생성기는 정보저장소에 관계없이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JDBC 및 Oracle과 Sun O/S 환경하에서 구현하였다.

  • PDF

모바일 콘텐츠의 자동변환을 위한 GNEX C-to-WIPI Java 변환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GNEX C-to-WIPI Java Converter for Automatic Mobile Contents Translation)

  • 이양선;함형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09-617
    • /
    • 2010
  •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서로 다른 모바일 플랫폼을 채택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개발자는 하나의 모바일 게임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각각의 플랫폼 특성에 맞추어 변환 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모바일 게임 콘텐츠를 타 플랫폼으로 이식하기 위한 변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NEX 플랫폼의 모바일 C 게임 콘텐츠를 WIPI 플랫폼의 자바 콘텐츠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GNEX C-to-WIPI Java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은 단시간 내에 다른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이식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 콘텐츠를 다른 이동통신사에 서비스하는데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해준다. 또한, 기존 콘텐츠를 자동 변환하여 타 플랫폼에 서비스함으로써 콘텐츠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신규 콘텐츠의 생산성을 높여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모바일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QEMU를 기반으로 한 ERC32 프로세서 에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ERC32 Processor Emulator based on QEMU)

  • 최종욱;신현규;이재승;천이진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105-113
    • /
    • 2011
  • 위성 탑재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 에뮬레이터와 위성 시뮬레이터는 핵심툴로서, 소프트웨어 개발과 검증 단계에서 사용되며 실제 하드웨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저궤도 위성의 탑재컴퓨터의 프로세서는 SPARC v7 기반의 MCM-ERC32SC 프로세서를 사용하며, 프로세서 에뮬레이터의 경우Aeroflex Gaisler에서 판매되는 TSIM-ERC32 에뮬레이터를 사용한다. 국내 인공위성 개발 시 ERC32 프로세서를 계속 사용할 경우 TSIM-ERC32의 제한 조건과 종속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으며, 추후 위성 시뮬레이터 개발 시 고성능의 프로세서 에뮬레이터가 요구되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세서 에뮬레이터 개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 공개형 프로세서 에뮬레이터인 QEMU를 기반으로 ERC32 프로세서 에뮬레이터 개발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며 개발 된 에뮬레이터 상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디버깅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등가를 통한 번역의 이론과 구성 요소 분석 (Equivalence in Translation and its Components)

  • 박정준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251-270
    • /
    • 2010
  • The subject of the paper is to discern the validity of the translation theory put forward by the ESIT(Ecole Sup?rieur d'Interpr?tes et de Tranducteurs, Universit? Paris III) and how it differentiates from the other translation theories. First, the paper will analyze the theoretical aspects put forward by examining the equivalence that may be discerned between the french and korean translation in relation to the original english text that is being translated. Employing the equivalence in translation may shed new insights into the unterminable discussions we witness today between the literal translation and the free translation. Contrary to the formal equivalence the dynamic equivalence by Nida suggests that the messages retain the same meanings whether it be the original or a translated text to the/for the reader. In short, the object of the dynamic equivalence is to identify the closest equivalence to the suggested source language. The concept of correspondence and equivalence defined by theoriticians of translation falls to the domain of dynamic equivalence suggested by Nida. In translation theory the domain of usage of language and the that of discourse is denoted separately. by usage one denotes the translation through symbols that make up language itself. In contrast to this, the discourse is suggestive of defining the newly created expressions which may be denoted as being a creative equivalence which embodies the original message for the singular situation at hand. The translator will however find oneself incorporating the two opposing theories in translating. Translation falls under the criteria of text and not of language, thus one cannot regulate or foresee any special circumstances that may arise in translation of discourse, the translation to reflect this condition should always be delimited. All other translation should be subject to translation by equivalence. The interpretation theory in translation (of ESIT) in effect is relative to both the empir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and is suggestive of new perspective in translation. In conclusion, the above suggested translation theory is different from the skopos theory and the polysystem theory in that it only takes in to account the elements that are in close relation to the original text, and also that it was developed for educational purposes opening new perspectives in the domain of translation theories.

최신 기계번역 사후 교정 연구 (Recent Automatic Post Editing Research)

  • 문현석;박찬준;어수경;서재형;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99-208
    • /
    • 2021
  • 기계번역 사후교정이란, 기계번역 문장에 포함된 오류를 자동으로 교정하기 위해 제안된 연구 분야이다. 이는 번역 시스템과 관계없이 번역문의 품질을 높이는 오류 교정 모델을 생성하는 목적을 가진 연구로, 훈련을 위해 소스문장, 번역문, 그리고 이를 사람이 직접 교정한 문장이 활용된다. 특히, 최신 기계번역 사후교정 연구에서는 사후교정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학습된 다국어 언어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신 연구들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들과 함께, 해당 모델을 도입한 각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소개한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번역 모델과 mBART모델을 활용하는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지능형 네트워크 로봇을 위한 서비스 지향적인 로봇 클라이언트 미들웨어 설계와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 Client Middleware for Network-based Intelligent Robot based on Service-Oriented)

  • 곽동규;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9A권1호
    • /
    • pp.1-8
    • /
    • 2012
  • 지능형 네트워크 로봇은 다양한 환경에서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하여 인간과 상호작용을 하며, 상황에 따라 주어진 역할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URC 로봇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로봇의 기능을 서버로 분산시킴으로써 클라이언트 로봇을 경량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URC 로봇 환경 중에서 SOMAR는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서비스 지향기법으로 로봇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URC 로봇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SOMAR 로봇 클라이언트를 소개하고 그 구현을 보인다. SOMAR 로봇 클라이언트는 디바이스 서비스 계층과 로봇 서비스 계층을 갖는다. 이 중 디바이스 서비스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비스이고, 로봇 서비스는 다수의 디바이스 서비스를 결합하여 생성된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상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와 로봇 서비스의 결합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RSEL (Robot Service Executing Language)을 이용하였다. 서비스 결합을 기술한 RSEL 문서는 변환기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 언어로 변환하고 컴파일링하여 로봇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업로드한다. SOMAR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호스트/타겟 구조를 갖는 내장형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며, RSEL 처리 엔진에 대한 부담을 줄여서 로봇 클라이언트를 경량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