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Sorghum Hybrid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4초

Sorghum 식물에 있어서 Cyanogenic Glycosides의 합성 및 축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ynthesis and Accumulation Pattern of Cyannogenic Glycosides in Sorghum Piants)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1-126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sorghum식물(植物)에 있어서 Cyanogenic glycosides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sorghum hybrid의 Pioneer과 sorghum X sudangrass hybrid의 Sioux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포장(圃場) 및 Phytotron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온도(溫度)는 30/25, 25/20, 28/18 및 $18/8^{\circ}C$로 하였으며 온도처리(溫度處理)는 출현기(出現期), 4 엽기(葉期), 6 엽기(葉期) 및 8 엽기(葉期)를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다. 1979-'80년간(年間) 얻어진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HCN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출현(出現)과 동시(同時)에 이루어져 출현후(出現后) 5 - 7 일(日) 이 경과된 2 엽기식물(葉期植物)에서 각각(各各) Pioneer 931 2384ppm 및 Sioux 1798ppm으로 최고농도수준(最高濃度水準)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 함량(含量)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어 출수기(出穗期)에는 각각(各各) 173ppm 및 70ppm으로 하락(下落)된다. 2.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HCN의 농도변화(濃度變化)는 LWR 및 LAR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초장생육(草長生育)과는 부(負)(-)의 상관(相關)($P{\leqq}0.1%$)이 있다. 3 . 식물체중(植物體中) HCN 분포(分布)는 유수(幼穗)가 형성(形成)되기 이전(以前)의 유식물(幼植物)에서는 엽부위(葉部位)에 다량(多量) 분포(分布)되어 있으나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이후(以后)에는 엽(葉)과 경부위간(莖部位間) HCN농도(濃度) 차이(差異)가 크지 않다. 4. Cyanogenic glycosides의 합성(合成)은 온도(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나 식물체내(植物體內)의 HCN 축적(蓄積)은 고온(高溫)($30/25^{\circ}C$)에서 보다 저온(低溫)($18/8^{\circ}C$)에서 보다 크게 일어난다. 5. Cyanogenic glycosides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 및 NRA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으므로 sorghum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의 HCN농도(濃度)는 $NO_3$축적(蓄積)과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다.

  • PDF

수수 ·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제조에 있어 BMR 품종과 파옥쇄 첨가 효과 (Effects of BMR Variety and Corn Grain (Grounded) Supplement on Silage Quality of Sorghum × Sudan Hybrids)

  • 권찬호;김은중;조상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0-246
    • /
    • 2014
  • 유기 축산을 위한 여름철 사료작물인 수수 수단그라스교잡종은 생산성이 높고, 잡초발생이 미미하며, 병충해에 의한 피해도 작아서 무농약 재배에 적합하다. 그러나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은 당 함량이 부족하고, 수분 함량이 높아서 낙산발효로 인해 사일리지 품질에 문제가 있다. 최근 육성된 BMR (Brown Mid Rib) 품종은 줄기 내 당도가 높게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은 기존의 수수 수단교잡종과 BMR 수수 수단교잡종을 재배하여 사일리지로 제조하고, 수분 조절 및 영양소 보충을 위해 파옥쇄를 첨가하여 사일리지의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수 수단교잡종과 BMR 수수 수단교잡종 사이에 생육특성 및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내 당 함량은 BMR 품종이 약 $2B^{\circ}$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비율은 대조구(SX17품종)의 78.5%에 비해 BMR 품종은 82.8%로 유의적으로(p<0.05)에 높았고, butyric acid의 비율은 대조구(SX17품종)의 18.5%에 비해 BMR 품종은 9.8%로 유의적으로(p<0.05)에 낮아서 BMR 품종을 사용할 경우 품질이 크게 개선되었다. 파옥쇄 첨가시 첨가수준간에는 NDF 및 ADF 함량은 대조구(SX17) 품종과 BMR 품종(Diamond BMR)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DN 함량 역시 대조구(SX17) 품종의 56.2와 BMR 품종(Diamond BMR)의 57.1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파옥쇄 첨가시에는 대조구(SX17) 품종과 BMR 품종(Diamond BMR) 모두에서 파옥쇄의 첨가수준에 따라 TDN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출수형과 불출수형 품종간 예취횟수가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Varieties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 이종경;김종근;신동은;윤세형;김원호;서성;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42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varieties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in 1998. Treatments were var. TE hay grazer(heading type) and Jumbo(headless type) as main plot, and 1, 2, and 3 cutting times per a year as sub plot. Although plant height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headless type was very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nd both of variety decreased with 1, 2, and 3 cutting times in order. Also, dry matter yie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type. Dry matter yield of first cutting plot in heading type and in headless type was the higher than those of second and third cutting plot.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of headless typ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cid detergent fiber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highest at first cutting plot in both varieties. Neutral detergent fiber of second cutting plot in heading type and first cutting plot in headless type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headless type was very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second cutting plot was the highest in both varieties.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ultivation of headless type and first cutting plot per a year were very good for nutritive value and DM yield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as summer forage crops in Korea. (Key words : Heading, Headless type, Cutting frequency,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PDF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수수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Effect of Different Drained Conditions on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orghum, Sorghum × Sudangrass and Sudangrass Hybrids at Paddy Field)

  • 지희정;조중호;주정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6
    • /
    • 2011
  • 본 시험은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라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수량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충남 아산과 천안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비출수형 2품종과 출수형 4 품종 등 총 6 품종을 시험한 결과 불량한 논에 재배하였을 경우에는 배수 양호한 논에 재배시의 66.4%로 건물수량이 감소하였고,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는 SS405 품종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줄기가 굵으며 건물수량이 ha 당 12.9톤으로 최고의 수량을 보였으며 소르단 79 품종은 배수 양호한 논에서 재배한 성적에 비해 배수가 불량한 논에 재배시에 공시 품종 중에서 수량 감소가 가장 컸으며, 수량 감소가 가장 작은 품종은 점보로 약 2 톤 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사료가치는 ADF, NDF, CP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SS405 품종은 배수 불량한 논에 재배시에만 조단백질이 1.1% 증가 하였고 다른 특성들간에 차이는 없었다.

질소시비수준이 Pioneer 988 ( Sorghum bicolor $\times$ S.Sudanesse ) 의 엽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levels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l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 , Pioneer 988)

  • 김상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8-163
    • /
    • 1983
  •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進行에 따라 증가했는데, 특히 穗孕期까지 그 增加가 급격했으며, 室素施肥水準別로는 幼穗分化期까지 15kg 施肥區에서 컷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컷다. 3. 乾物收量은 穗孕期 以前에는 15kg 施肥區에서 많았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많았다. 4 乾物生産速度는 純同化率 및 平均 葉面積指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生育後期에는 純同化率의 增加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 PDF

우량 품종의 선발을 위한 사초용 수수의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of Sorghum for High-Yielding Hybrid)

  • 김종덕;권찬호;김수곤;박형수;고한종;김동암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25-632
    • /
    • 2002
  • 제한된 종자 공급 때문에 축산농가에서 사초용 정부장려 수수 품종을 선택하고, 재배 이용하는데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성이 높은 사초용 수수 품종을 선발하고, 선발된 품종들을 정부장려 품종으로 추천하는데 있다. 2년간 (1999${\sim}$2000) 2개 지역 (수원 및 성환)에서 ‘P947', 'KF429' 및 'SS405' 3품종의 생육특성과 사초수량을 비교하였다. 'KF429'는 병해에 약하였고 'SS405'는 도복에 강한 품종이었다. ‘P947' 품종의 건물수량은 17,823kg/ha이었으며, 'KF429' 품종과 'SS405'품종은 ‘P947' 품종보다 각각 16% (20,631kg/ha)와 75% (31,157kg/ha)의 수량 증가를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947' 품종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높았으며, ADF 및 NDF 함량은 ’KF429' 품종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내도복성 및 내병성이 좋고 사초건물수량이 높은 ’KF429' 품종과 'SS405' 품종을 정부 장려품종 으로 추천하고자 한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품종 판별 (Variey Discrimin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Seed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이기원;송요욱;김지혜;라하만 아티쿨;오미래;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9-264
    • /
    • 2020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재배중인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품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근적외선분광기를 이용하여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를 가시파장 대역대 (680 - 1,099 nm), NIRS 파장 대역대 (1,100 - 2,500 nm) 및 NIRS 전체 파장 대역대 (680 - 2,500 nm)로 구분하여 스펙트라를 얻은 후 1차 미분과 8 nm gap으로 수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부분최소자승 (PLS) 회귀분석법을 통해 품종판별 검량식을 개발하고 판별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품종 판별의 정확성은 NIR파장대역에서 SECV 8.44 그리고 R2CV 0.89로 가장 판별 정확성이 낮았으며 NIRS 전체 파장대역에서 SECV 7.88 그리고 R2CV 0.90로 가장 높은 판별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파장대역별 예측 정확성은 NIR 파장대역 (1,100 - 2,500 nm)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교차검증오차 (SECV) 8.44에서 예측오차 (SEP) 12.03로 높아졌으며 가시영역대 (680 - 1,099)는 SECV 8.23에서 SEP 12.51로 높아졌다. Discrimination equation 분석법에 의한 NIRS 전체 파장대역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판별 결과는 품종간에 판별 정확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1, 2, 4 그리고 8번 품종 (G-7, BMR Gold II, Honey chew and SX-17)에서는 100 %의 정확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NIRS를 이용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판별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역에서 케나프(홍마 300), 옥수수(광평옥) 및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점보)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품질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Kenaf (Hongma 300), Maize (Kwangpyeongok) and Sorghum × Sudangrass Hybrids (Jumbo) in Middle Region of Korea)

  • 황태영;지희정;김기용;이상훈;이기원;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2-158
    • /
    • 2015
  • 본 시험은 새로운 여름 사료작물인 케나프(kenaf; Hibiscus dannabinus L.)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품질을 다른 사료작물과 비교할 목적으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내의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중부지역에서 케나프(홍마 300), 옥수수(광평옥) 및 수수${\times}$수단그라스(점보)의 생육특성 및 품질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도는 홍마 300이 $5.4Brix^{\circ}$로 광평옥보다 $1Brix^{\circ}$, 점보보다 $2.9Brix^{\circ}$ 높았다. 출현율과 도복은 세 작물 모두 각각 80% 이상, 1.5 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점보가 홍마 300보다 12% 높았으며, 건물중은 홍마 300이 제 작물 중 유의성 있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TDN 수량은 홍마 300이 광평옥보다 13% 유의성 있게 낮았다 (p<0.05). ADF 및 NDF 함량은 홍마 300이 57.8%, 69.5%로 가장 높았으며 TDN 함량 및 건물소화율은 43.3% 및 44.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케나프인 홍마 300은 건물수량은 높지만 사료 품질에서 광평옥 및 점보보다 많이 낮았다. 그 결과 TDN 수량성은 광평옥보다 13% 낮은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새로운 사료작물인 케나프는 단위면적당 생초 및 건물수확량은 옥수수보다 높지만, 건물소화율 및 TDN 함량이 낮아 TDN 수량은 옥수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홍마 300은 높은 수량성을 가지고 있지만 낮은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건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유기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wilting on the Forage Quality of Organic Sorghum$\times$Sudangrass Silage)

  • 임현진;김종덕;이현진;전경협;양가영;권찬호;윤세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9-527
    • /
    • 2009
  •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의 큰 문제점은 낮은 건물률과 품질이다. 본 시험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예건으로 사일리지의 건물률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배치는 5처리 3반복의 완전임의배치법으로 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비예건(대조구), 예건 0.5일, 예건 1일, 예건 2일 및 예건 3일의 5수준을 두었다. 예건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의 pH는 4.0 이하였으나, 비예건 사일리지의 pH는 4.30으로 가장 높았다(p<0.05). 비예건 사일리지의 건물률은 17.6%였으나 예건한 사일리지의 건물률은 예건 1일 후부터는 25.1% 이상이었다(p<0.05). 예건한 사일리지의 침출수는 예건을 많이 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비예건 사일리지의 침출수는 283mL/kg로 가장 많았다(p<0.05). 예건을 함에 따라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조회분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비예건보다 예건 사일리지의 ADF 및 NDF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비섬유성탄수화물(NFC)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젖산 및 유기산 함량은 예건 일수를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예건 1일부터는 변화가 없었다(p<0.05). 유산양의 기호성도 예건 1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 제조시 예건이 건물률 증가에 의하여 침출수를 줄이고, pH와 사일리지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예건일수는 1일이 가장 적합하였다.

  • PDF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사초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김종덕;권찬호;김호중;박진길;이병생;빙기선;문승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7-302
    • /
    • 2002
  • 본 시험은 수단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1년 연암축산원예대학의 부속시험농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한 품종은 농협중앙회의 추천 품종으로 출수형 품종인 'SXl7' 및 '877F'과 비출수형 품종인 'TE Evergreen' 및 'Turbo 9'을 공시하였다. 수단그라스 품종의 당도는 출수형 품종인 SXl7 및 877F 품종이 비출수형인 TE Evergreen 및 Turbo 9 품종보다 높았다. 내병성과 내충성은 공시품종 모두가 높았으나, 내도 복성은 SXl7 품종이 가장 높았다. 수단그라스의 건물 및 TDN 수량은 출수형이 비출수형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중에서 건물 및 TDN 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877F 품종으로 각각 21,007 및 12,276㎏/ha 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Turbo 9 품종이 10.5%로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ADF 함량은 비출수형 품종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으나, ADF 및 ADL 함량은 출수형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TDN 함량은 비출수형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CDOMD도 비출수형이 출수형 품종보다 높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생육특성과 사료수량은 출수형 품종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우수하였으며, 사초의 품질은 비출수형이 출수형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