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 bicolor 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수수 첨가량 및 누룩을 달리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Prepared by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ing Different Nuruks)

  • 우관식;고지연;송석보;이재생;오병근;강종래;남민희;류인수;정헌상;서명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48-553
    • /
    • 2010
  •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수수의 이용성을 제고하고자 누룩의 종류와 수수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누룩의 종류와 수수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찹쌀 100%만으로 발효시킨 시료의 경우 SH업체와 BS업체 누룩에서 각각 21.6 및 $22.4\;^{\circ}Bx$로 나타났으며, 수수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였다. pH는 대조구에서 각각 3.74 및 3.40으로 나타났으며, 수수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산도는 각각 1.40 및 1.51%로 나타났으며, 수수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서 각각 0.441 및 0.149로 나타났고 수수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수수첨가량에 따라 L-value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b-value는 수수 3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찹쌀 100% 처리구와 색차를 계산한 결과 SH업체 누룩의 경우 수수 30, 70 및 100% 첨가구와는 각각 4.33, 6.63 및 26.13으로 나타났고 BS업체 누룩은 각각 4.08, 5.29 및 10.59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lactic acid 및 acetic acid가 주된 구성 유기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리당은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SH업체 및 BS업체 누룩 대조구에서 각각 7.116 및 7.580%로 나타났고 수수첨가량이 증가할수록 glucose 함량은 감소하여 수수를 100%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경우 검출이 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BS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수수 30%를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oundwater Level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and Adzuki bean(Vigna anaularis L.)

  • Ryu, Hee-La;Adhikari, Arjun;Kang, Sang-Mo;Kim, Yoon-Ha;Lee, In-Jung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13-25
    • /
    • 2018
  • Appropriate water level is the primary factor for the optimal yield of crop plants. The required water level vari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the crop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optimum requirement of groundwater level(GWL) to grow sorghum and adzuki bean under paddy field soil. Here, we cultivated sorghum and adzuki bean using lysimeter filled with paddy soil under GWL 0 cm(NT) and GWL(20, 40 cm) where GWL 20 cm is maintained as a waterlogging condition. The plant growth promoting attributes were measured on the first day after treatment(0 DAT), 10 DAT and 20 D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parameter such as shoo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stem thickness of both sorghum and adzuki bean were constantly increased and were found higher at GWL 40 cm(except stem thickness and leaf width in sorghum at 20 DAT).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chlorophyll content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also found higher at GWL 40 cm in all DAT. In addition, the elements like P and K contents in adzuki bean, and Ca content in sorghum were constantly increased and was found higher in GWL 40 cm at all D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WL of 40 cm is appropriate for production of sorghum and adzuki bean especially in case of paddy soil.

Environment influences on agronomic and quality traits of sorghum

  • Choe, Myeongeun;Ko, Jeeyeon;Song, Seokbo;Park, Changhwan;Kwak, Doye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0-210
    • /
    • 2017
  • Sorghum is rich source of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phenolic acids that have potential to significantly impact human health. Phytochemical production may be induced by not only genotype but a number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s and amount of sunshi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nting date and harvesting stage on the agronomic and quality traits of 'Donganme' grain sorghum variety developed to produce high antioxidant activity. 'Donganme' were planted in three locations at four dates from early May to early July. Each planted fractions were harvested five times 35, 40, 45, 50, 55 days after head shooting date,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wth period and the agronomic traits. The interaction effects planting date and harvesting date was significant for plant height, tiller production, grain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indicating that low temperature and integrated sunshine influence on that traits. The result showed that antioxidant activity production occurred when the sorghum crop was grown in late season although the yield is lower. To produce antioxidant activity from sorghum grain nee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nutrition component simultaneously.

  • PDF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the grains of collected Sorghum bicolor varieties

  • Ji Won Seo;Jae Geun Lee;Bimal Kumar Ghimire;Myong Jo Kim;Chang Yeon Yu;Eun Soo Se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27-235
    • /
    • 2023
  •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health-promoting phenolic antioxidants in sorghum seed accessions from seven regions in three different countries (Uzbekistan, Myanmar, and the United Stat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was 13.10±2.37 ㎍/mL in the Uzbekistan sorghum seed extracts, demonstra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dditionally,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Uzbekistan sorghum seed extracts [157.87±4.04 mg GAE/g (gallic acid equivalents per gra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2.69±0.72 mg QE/g (quercetin equivalents per gram) and represents the highest value in the Myanmar collection. The Uzbekistan collection demonstrated the greatest potential for whitening activity, with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79.20±4.15%. The wrinkle improvement function using elastase also showed the highest anti-aging activity of 55.85±4.78% in the same seed extract. The Uzbekistan seed extract had the highest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144.35±4.55%. We conclude from these results that the Uzbekistan sorghum seed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content of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Sugar Yield of Sweet Sorghum in Jeju Island

  • Oh, Hyeon-Do;Kim, Han-Lim;Kang, Young-Kil;Kim, Cha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34
    • /
    • 2001
  • A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ultivar was planted on 9 and 30 June 2000 at plant densities of 4, 6, 8, 10, and 12 plants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 density in Jeju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x plant density interactions for most traits measured. Delaying planting from 9 to 30 June delayed 21 days in heading da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productive stems $m^{-2}$/, and lodging. Fresh stem yield tended to be higher at the 9 June planting date than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but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ate. Percentage of soluble solid was higher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compared with the 9 June planting date.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quadractically increased from 22.9 to 36.7 $t^{-1}$, from 1.66 to 2.54 $t^{-1}$, and from 945 to 1440 $L^{-1}$,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plant density. The optimal plant densities for the maximum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were estimated to be 10.7, 9.6, and 9.9 plants $m^{-2}$ respectively.

  • PDF

질소시비수준과 예취관리가 수단그라스계 잡종 [Sarghum Bicolor (L.) Moench]의 저장탄수화물함량, 재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II. 질소시비수준과 예취높이가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그루터기 고사와 저장탄수화물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Carbohydrate Reserves, Regrowth, and Dry Matter Yei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Sorghum bicolor(L.)Moench] II.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height on the dead stubble and carbohydrate reserves in stubbl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서성;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7-7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1년(年)과 1982년(年) 2년(年)에 걸쳐 서울대 농대(農大) 부속실험목장내 사초시험포(飼草試驗圃)에서 실시(實施)되었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는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높은 구(區)에서, 예취(刈取)높이가 낮은 구(區)에서 증가하였으며, 예취시(刈取時) 비가 올 때도 증가하였다. 2. 그루터기중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은 1회(回) 예취시(刈取時)와 예취후(刈取后) $6{\sim}7$ 일(日)째에는 예취(刈取)높이가 높은 구(區)에서 높게 나타나(p<0.05), 15cm의 높은 예취(刈取)높이는 재생초기(再生初期) 저장탄수화물(貯藏炭水化物)의 급격한 소모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2회(回)와 3회(回) 예취시(刈取時)에는 예취(刈取)높이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경향이었다. 3.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은 기후(氣候)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가뭄은 식물체내(植物體內)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을 높여 주었으며, 강우는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의 감소를 촉진시켜 고사율(枯死率)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루터기의 고사(枯死)를 유발시키는 한계수용성탄수화물함량(限界水溶性炭水化物含量)은 $3{\sim}6%$로 생각된다. 4. 1년생(年生) 사초(飼草)인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에 있어서 재생(再生)에 기여하는 저장탄수화물(貯藏炭水化物)의 역할은 뚜렷하지 못하며, 예취시(刈取時) 기상조건(氣象條件) 등 다른 요인(要因)들이 재생수량(再生收量)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수수 착즙액이용 배양종균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bioethanol production using sweet sorghum juice as a medium of the seed culture)

  • 차영록;문윤호;유경단;이지은;최인성;송연상;이경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7-633
    • /
    • 2016
  • 단수수[Sorghum bicolor (L)]는 당류가 풍부한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주요 바이오연료 작물 중의 하나이다. 단수수 착즙액은 단수수 줄기를 압착하여 추출하며 주요 성분는 glucose와 fructose 그리고 sucrose로 구성되어 있다. 에탄올은 효모발효공정을 통하여 단수수 착즙액으로부터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단수수 착즙액은 당류 뿐만 아니라 질소나 인산과 같은 다양한 무기영양원도 함유하고 있어 종균 배지로 활용성이 높다. 상업적인 에탄올 생산 공정에서 종균배양은 중요한 발효공정 중의 하나이며 공정비용 절감을 위해 최적화된 배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종균의 배지로서 단수수 착즙액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단수수착즙액의 발효기질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YPD 및 억새 당화액을 비교하여 실험하였으며, YPD배지 중 yeast extract 와 peptone은 각각 5 g/L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기질들은 당 농도가 2%, 5%, 10%가 함유되도록 제조하여 발효를 통한 균체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YPD와 단수수착즙액을 배지로 사용하였을 때 발효 24시간 후에 최대 $2.5{\times}10^8CFU/mL$ 이상의 균체농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단수수착즙액은 12시간 발효 후에 $1.0{\times}10^8CFU/mL$ 균체를 생산하여 섬유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종균 배지로서 YPD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sessment of weather events impacts on forage production tren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Moonju Kim;Kyungil S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92-80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weather events on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cultivar production trend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of Korea during the monsoon season, using time series analysis. The sorghum-sudangrass production data collected between 1988 and 2013 were compiled along with the production year's weather data. The growing degree days (GDD), accumulated rainfall, and sunshine duration were used to assess their impacts on forage production (kg/ha) trend. Conversely, GDD and accumulated rainfall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trend of forage production, respectively. Meanwhile, weath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 and typhoon were also collected based on weather warnings as weather events in the Korean monsoon season. The impact of weather events did not affect forage production, even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vy rainfall. Therefore, the trend of forage production for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forecasted to slightly increase until 2045. The predicted forage production in 2045 will be 14,926 ± 6,657 kg/ha. It is likely that the damage by heavy rainfall and typhoons can be reduced through more frequent harvest against short-term single damage and a deeper extension of the root system against soil erosion and lodging. Therefore, in an environment that is rapidly chang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extreme/abnormal weather, the cultivation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would be advantageous in securing stable and robust forage production.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cultiv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as one of the alternative summer forage options to achieve stable forage production during the dynamically changing monsoon, in spite of rather lower nutrient value than that of maize (Zea mays L.).

수수 추출물에 의한 primary 전립선 암세포의 caspase 의존성 apoptosis 유도 및 대식세포 면역활성 증가 (Sorghum Extract Enhanc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Primary Prostate Cancer Cells and Immune Activity in Macrophages)

  • 조현동;김정호;홍성민;이주혜;이용석;김두현;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31-14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수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of Sorghum bicolor L., SE)을 이용하여 RC-58T/h/SA#4 primary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apoptosis 유도효과 및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활성 증진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SE의 처리는 RC-58T/h/SA#4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세포수축을 통한 형태학적 변화를 유발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지표현상인 apoptotic body 및 핵의 형태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RC-58T/h/SA#4 세포에 SE를 처리하였을 때 caspase-8, -9, -3 단백질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 p53, 분절된 PARP 및 세포질의 cytochrome c 단백질은 증가시킨 반면,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 단백질은 감소시켰다. 이는 z-VAD-fmk로 caspase 활성을 억제시켰을 때 SE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를 통해 SE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caspase 의존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반응에서 nitric oxide(NO)의 증가는 면역활성 지표로 여겨지며, 본 연구에서 SE를 처리하였을 때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SE가 primary 전립선 암세포에서 caspase 의존형 apoptosis를 유도하며 대식세포의 면역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수수를 전립선 암 예방 및 면역활성을 증진효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수의 생육과 개화 및 내생 GA 함량에 미치는 지벨렐린 생합성억제제 Ancymidol의 영향 (Effect of Gibberellin Biosynthesis Inhibitor Ancymidol on Growth, Floral Initiation and Endogenous GA levels in Sorghum bicolor)

  • 이인중;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13
    • /
    • 1997
  • 단일식물인 수수의 개화에 지베렐린이 관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지베렐린 생합성 억제제인 ancymidol을 처리한후 내생 지베렐린의 함량과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베렐린 생합성 억제제 ancymidol은 공시한 두 품종 모두의 생육을 억제함과 동시에 개화를 지연시켰다. 2. $GA_3$를 Ancymidol과 동시에 처리할 경우 생육억제와 개화지연이 모두 회복되어 지베렐린이 수수의 개화에 관여함을 보였다. 3. Ancymidol 10ppm은 수수의 모든 지베렐린 ($GA_{12}$, $GA_{53}$, $GA_{44}$, $GA_{19}$, $GA_{20}$, $GA_1$ 합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