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phorae Radix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고삼 (苦蔘, Sophorae Radix) 70% 에탄올 추출물의 비수용성 분획물의 Heme Oxygenase-1 발현을 통한 뇌세포 보호 작용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Roots of Sophora flavescens 70% Ethanolic Extract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 이영숙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6-281
    • /
    • 2011
  • Oxidative stress or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ads neuronal cellular death and dysfunction, and it contributes to neuronal 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stroke. Glutamate-induced oxidative injury contributes to neuronal degeneration in many central nervous system (CNS) diseases, such as epilepsy and ischemia. Heme oxygenase-1 (HO-1) enzyme plays an important role of cellular antioxidant system against oxidant injury. The expression of HO-1 has cytoprotective effects in glutamate-induced oxidative cytotoxicity in HT22 cells. The induction of HO-1 is primarily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and its induction by various inducers is related to th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E2-related factor 2 (Nrf2). Nrf2 is a master regulator of the antioxidant response. NNMBS008,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the 70% EtOH extract of roots of Sophora flavescens, showed dominant neuroprotective effects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by induced the expression of HO-1 and increased HO activity.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NNMBS008 makes the nuclear accumulation of Nrf2 pathway. In conclusion,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the 70% EtOH extract of roots of S. flavescens (NNMBS008) significantly protect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by induction of HO-1 via Nrf2 pathway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extracts could be the effective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ROS-related neurological diseases.

세균성 질증의 한방외치요법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비교 임상시험 중심의 고찰 (Analysis fo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of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 황영식;이진욱;김규태;박승혁;이진무;이창훈;장준복;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0-70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by analyzing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Methods: We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elated with Korean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through national and overseas database and analyzed them in detail. Results: 15 articl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our selection criteria and 2,176 women were involved. 1. All treatment groups were treated with intervention including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and their results were statistically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s. 2. External wash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llowed by vaginal tablet, fumigation and powder. 3. The most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 was Sophorae Radix followed by Phellodendri Cortex, Cindi Fructus, Dictamni Radicix Cortex and Kochiae Fructusa. 4. There were 4 studies reporting side effects of treatment and no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observed. Conclus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cluding Korean external therapy. Based on the analysis, it could be an effective way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vaginosis in clinical practice.

아토피 피부염 외용제에 관련된 국내 임상 및 실험 논문 고찰 (Review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External Application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in the Korean Literature)

  • 민들레;박은정;강경하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6-49
    • /
    • 2013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external application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in Korean literature and to propose for the better method of clinical studies in order to seek mor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Electronic researches were performed with KTKP, OASIS,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n Medicine Database, KISS, DBpia, and KISTI. Results and Conclusions In Twenty six studies, the numbers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re respectively 10 (38.46%) and 16 (61.54%). The numbers of studies that used herbal complex were 20 (76.92%), and out of that, 6 studies had used a single herbal medicine (23.08%). The external application with oriental medicine for the atopic dermatitis used with Phellodendri Cortex (7), Sophorae Radix (6), Scutellariae Radix (6), Lonicerae Flos (5), Coptidis Rhizoma (5) and so on. Among the clinical studies, the 5 studies were double-blind and randomized-controlled study (50%). The numbers of studies that used Hanifin and Rajka Diagnostic Criteria (1980) were 6 (60%), and that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in Korean Atopic Dermatitis (2005) were 4 (40%). Among the clinical studies, categories to evaluate of atopic dermatitis are respectively SCORAD Index (80%), Total IgE (80%), Eosinophil count (70%) and so on. All of the clinical studies (100%)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SCORAD Index, Modified SCORAD Index, the Clinic index score. Among the experimental studies, the numbers of studies that used NC/Nga mice were 9 (56.25%), and out of that 5 studies used BALB/c mice (31.25%). Most of the studies (68.75%) used DNCB as allergy inducing materials. The scales for evaluation of atopic dermatitis were Clinical skin severity scor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mmunohematologic examination, safety test and so on. In 12 cases (75%) of experimental studies, the IgE level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after using external application. In 8 study cases (50%), Clinical skin severity scor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after using external application.

Clostridium perfringens KCTC 5014의 성장 억제를 위한 항산화 천연산물의 효과 (The Growth Inhibiting Effect of Enterobacteria, Clostridium pefringens KCTC 5014, by the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 김종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19-1125
    • /
    • 2002
  • C.perfringens의 성장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이것은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 에 C.pefringens의 성장 억제 물질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항산화 제제의 제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한 종류의 천연산물,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오미자, 기 및 황련 등에 의하여 성장이 저해되었고, 황기는 40%의 제어율을 보여, 이 세균의 대사를 제어하는 성분이 있거나, 세포막의 수송 환경의 변화에 의한 물질의 전달이 제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조합인 황금과 감초, 황금과 상백피, 황백과 감초 및 황금과 황기등의 조합에 의해서 저해되었고, 황백과 감초의 조합에서 64%의 제어 효과를 보였다. 세 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인 황금과 황백 및 구기자, 황금과 황백 및 음양곽의 조합에 의하여 70%의 제어율을 보였고, 황백, 음양곽, 황기 및 감초의 조합등의 4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에 의해서도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75%의 제어율을 보였다. 4종류의 조합의 항산화력은 황백, 음양곽, 황기 및 감초 조합의 AUC가 581.89로써 대조군보다 4.4배 정도 강하였으며, 항산화력 이 강한 조합에서 제어가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l radical의 소거 활성은 황백, 음양곽, 황기 및 감초의 조합이 300배의 희석액에서 93.49%로서 최상의 소거율을 보였고, 방향족의 함량 및 총 phenol할량은 가공된 녹차보다 1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이용하여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C. pefringens의 성장 저해 물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제제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Effects of Kaolinite (Macsumsuk) and Herb Mixtures on the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 Kim, Byung Ki;Hwang, Eun Gyeong;Jung, Dae Jin;Ha, Jae Jung;Oh, Dong Yep;Choi, Chang B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5-402
    • /
    • 2014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rk, based on the meat consumption habits of consumers. Macsumsuk, a type of kaolinite (a clay mineral), and/or a mixture of herbs (Mori Folium, Sophorae Radix, Glycyrrhizae Radix, Citri Leiocarpae Exocarpium, and Pogostemi Herba) were added to the diets of fattening pigs. Sixty barrow pigs (4 kinds of treatment ${\times}5$ pigs/treatment ${\times}3$ replic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no additives), T1 (3% Macsumsuk), T2 (3% Herb mixtures), or T3 (3% Macsumsuk + 3% Herb mixtures) groups, and were fed the diets for 60 d. Dressed weights were in the order of T1 ($93.40{\pm}4.68kg$) > T2 ($91.40{\pm}6.52kg$) > Control ($88.80{\pm}1.57kg$) > T3 ($86.80{\pm}2.01kg$). Back-fat thickness of the Control animals ($23.2{\pm}1.03mm$)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various treatment groups (p<0.01). Numeric values representing the carcass yield and quality grade were higher for all the 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though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ude fat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2.23{\pm}0.34%$) than in the treated groups (p<0.05). The addition of both Macsumsuk and herb mixtures into the diets of the pigs significantly reduced cooking loss of the pork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shear force (average $5.87{\pm}0.54kg/cm^2$), water holding capacity (average $54.59{\pm}3.16%$), or CIE values of the pork, whereas 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in those fed Macsumsuk and/or the herb mixtures. No significant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UFA), or UFA/SFA ratios were observed by any of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Macsumsuk and/or herb mixtures into the diets of growing and fattening pigs improves the pork quality by reducing cooking loss, decreasing cholesterol content, and enhancing sensory characteristics.

ROS 제거기능을 갖는 천연산물로부터 장내 유용세균 Lacobacillus속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조합의 구성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Removing ROS for Growth Promoting Effects of the Useful Enterobacteria Lacobacillus sp.)

  • 김종덕;김민용;서효진;김봉조;김대현;김은옥;정해영;공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0-281
    • /
    • 2002
  • 장내 유용세균인 L. acidophilur및 L. plantarum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및 네 종류의 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L. acidophii요는 이들 천연산물의 배합 중에서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백작약, 석창포, 진피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석창포와 계피, 진피와 갈근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승마와 계피 및 감초 등의 조합이, 네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감초, 녹차, 황금 및 계피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는 1.3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력은 대조 군보다도 4배 이상의 강함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 배 희석하였을 때 70%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또한,1. plantaurm은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산수유, 연자육, 괴화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오미자와 녹차, 백작약과 음양곽, 현초와 녹차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와 녹차 및 백작약, 산수유와 황련 및 오미자, 산수유와 오미자 및 백작약 등의 조합이,4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황금의 조합, 산수유, 오미자,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현초 등의 조합에서 L. plantarum가 잘 성장함을 보였고, 이 례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 1.5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고, 항산화력은 수-5배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배 희석하였을 때 75%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천연산물의 배합으로 생체의 특정부위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항산화력으로 유해 산소를 제거 할 수 있으며, 천연산물 고유의 약성을 활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생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항산화 차등의 건강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증(?證)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병인병기(病因病氣), 치법(治法) 및 치방(治方) 중심(中心)으로 - (A literatural study on the atrophy syndrome(?證))

  • 김성수;금동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81-95
    • /
    • 1999
  • 위증(?證)과 이완성 마비는 각각 한의학과 서양의학에서 쓰여지는 증상의 개념이지만 두개의 개념간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즉, 용어가 조금 다를 뿐이지 지체(肢體)가 위약(委弱)하여 잘 쓰지 못하여 수의적인 운동이 잘 되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임을 알 수가 있다. 이 위증(?證) 이완성 마비는 양측성(兩側性), 상행성(上行性)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편측성(片側性) 및 상하지(上下肢) 동시에 증상이 종종 발현하는 중풍의 후유증과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는 같은 것으로 오인(誤認)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다. 이 고찰(考察)에서는 역대의 중요 문헌을 통하여 위증의 병인병기(病因病機) 및 치법치방(治法治方)과 치방(治方)의 빈도(頻度)를 각 시대별 대표적인 의가(醫家)의 순(順)으로 정리함으로써 위증의 이해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도륵 하였다. 따라서 위증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임상활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고찰(考察)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