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ojichi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보완요법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지식, 태도와 활용 경험 (The Knowledge, Attitude,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on Complementary Therapies)

  • 황성호;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87-105
    • /
    • 2002
  • 보건진료원들의 보완요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활용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지역에서 연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393명을 대상으로 2002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직접 면담 및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1가지 보완요법 각각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관심률은 수지침이 75.3%로 가장 높았고 향기요법 71.0%, 한방요법 68.4%, 마사지 67.4%, 지압 64.6%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이 23.4%로 가장 낮았다. 치료효과에 대한 신뢰율은 한방요법이 92.6%로 가장 높았고 수지침 85.5%, 마사지 83.7%, 지압 81.7% 등의 순이었고, 동종요법은 18.1%로 가장 낮았다. 보완요법을 환자에게 권유한 경험은 한방요법 65.1%, 수지 침 50.4%, 마사지 44.8%, 지압 34.4%, 향기요법 27.5%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이 2.8%로 가장 낮았다. 보완요법의 학습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수지침 33.1%, 한방요법 13.2%, 향기요법 11.2%, 마사지 8.4%, 지압 5.6%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의 학습 경험자는 한명도 없었다. 지난 5년간 보완요법을 직접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한방요법 23.9%, 수지침 18.8%, 향기요법 5.9%. 마사지 5.3%, 지압 5.1% 등의 순이었고 동종요법은 이용 경험자가 없었다. 이용 경험이 있는 모든 보완요법에서 치료 효과가 있었다는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부작용의 사례는 매우 적었다. 각각의 보완요법에 대해 보수교육이나 공무원 교육 훈련시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를 희망하는 비율은 수지침 78.1%, 한방요법 69.2%, 향기요법 67.9%, 지압 63.9%, 마사지 63.1% 등의 순이었다. 보건진료원들의 일차진료시 보완요법 사용 희망률은 수지침 63.6%, 마사지 52.9%, 향기요법 51.9%, 한방요법 50.1% 등의 순이었으며, 카이로프락틱과 동종요법은 각각 170%, 12.2%로 매우 낮았다. 대상 보건진료원의 지난 5년간 보완요법 시술경험률은 수지침 8.4%, 한방요법 4.6%, 마사지 2.5%, 향기요법 2.5% 등의 순이었고 봉침요법과 동종요법을 시술한 경험자는 없었다. 시술받은 환자의 반응은 대부분이 긍정적이라고 하였으며, 부작용의 사례는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보완요법에 대한 보건진료원들의 관심, 신뢰, 권유 경험률 등은 높았지만 실제 학습 경험률은 매우 낮았다. 또한 실제 이용과 시술경험을 통해 부작용의 문제가 없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완요법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에게 보완요법 선택과 관련하여 제공하고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완요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진료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보안요업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과 경험 (Nurs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 손행미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14-323
    • /
    • 2001
  • Purpose :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CAT) are defined as those treatments and healthcare practices not taught widely in medical schools, not generally used in hospitals, and not usually reimbursed by health care insurance. Recently, CAT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with health care consum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This study investigated nurs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CAT. Method: 124 nurses who were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Inchon were randomly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y answered open and closed questionnaires on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CAT. Results: Most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existence of CAT (86.3%), and expected a treatment effect from CAT when it is combined with conventional therapy (84.7%). Nurses accepted CAT positively as complement for conventional therapy and useful modalities of psychological support when its effects have been proven scientifically. Forty nurses (32.3%) had learned CAT including soojichim, aroma therapy, relaxation, meditation, music therapy, massage, and acupressure. Eight nurses (6.5%) used CAT with patients including soojichim, hand massage, relaxation, and music therapy. Conclusion: In spite of the nurses' positive perceptions of CAT, the nurses' professional experiences were quite limited. Nurses need authorized training programs and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ies in CAT. This would increase their ability to use CAT. But to improve scientific knowledge more evidence based research is.

  • PDF

가정간호교육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와 인지정도 조사 연구 (Pre-home Health Nurses' Attitude and Cognition Toward Alternative Therapies)

  • 박지원;임난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0-102
    • /
    • 2002
  • Purpose: Home health nurses could affect patients' choice of alternative therap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me health nurses' attitudes and cognition toward alternative therapy. Method: The subjects were 92 nurses who preparing the home health nurses at 2 university in Seoul and Suwon. Using the questionnaire. we measured the subjects' attitudes and cognition toward alternative therapy. Result: The mean score of attitudes about application was 3.14. and the score of attitudes about therapeutic effect was 2.57. The score of attitudes about therapeutic effect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core of cognition about alternative therapy. The attitudes about therapeutic effect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number of working years. But they commonly wanted to apply the soojichim. aroma-therapy. massage. danjon breathing. music therapy. plant therapy. and foot reflexology to their home health care subjects. Conclusion: Alternative therapies became a popular source of health care in Korea. This study showed pre-home health nurse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alternative therapies and they had wide variations of knowledge in how to use each therapy. But they acknowledge the value of alternative therapies as useful nursing interventions. so we all nurses should pay attention to develope the nursing intervention using alternative therapy.

  • PDF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수지침요법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Self Health Management - Focusing on the Soojichim (Koryo Hand Therapy) -)

  • 정혜명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5-206
    • /
    • 2006
  • Purpose: As Koryo Hand Therapy is generally referenced by a manual, we made a database system to ease. Method: Using the basic theory of Koryo Hand Therapy with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we tested, analyzed,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system and constructed a database system with MS Access according to the symptoms. Results: We constructed the database system of Handing and the symptoms of Koryo Hand Therapy in 3 parts (Basic Data Management, Disorder Therapy Management, Report) for easy management. This database system will be useful for general users to protect, promote and measure their health. The structured database system was valu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basic knowledge of Koryo Hand Therapy. As a result, 8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system is well structured", 78% that "it's convenient to search", and 87% that "it's helpful for self health management".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provides people with information on the basic treatment of symptoms for the self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with Koryo Hand Therapy by constructing a database.

  • PDF

얼굴 영상 및 음성신호 측정을 통한 신장 수지침 효과 분석 기법의 제안 (A Proposal for Effect Analysis Techniques of Kidney Hand Acupuncture through Face Image and Voice Signal Measurement)

  • 김봉현;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C호
    • /
    • pp.217-22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얼굴 영상 및 음성신호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신장에 해당하는 수지침 자극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장 수지침 자극 전과 후의 얼굴 영상과 음성을 각각 수집하고 영상신호 분석 실험에서는 신장 관련 영역인 지각(턱) 부위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음성신호 분석 실험에서는 신장과 관련된 음성신호 분석 요소인 1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과 Shimmer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신장 수지침 자극에 따른 지각 부위의 흑색, 1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 및 Shimmer 측정값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최종적으로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통해 얼굴 영상 및 음성신호 측정 기법에 의한 신장 수지침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